항목
-
청나라 시대의 인문, 〈홍루몽〉과 조설근모든 면에서 대조적이었다. 설보채는 용모가 아름답고 행실이 단정하였으며 명랑활발하고 붙임성이 있는 처녀로 장래 남편될 사람이 학문에 전념하고 입신 출세하여 봉건 제왕의 현신양상(賢臣良相)이 되는 것이 꿈이었다. 한편 임대옥은 다정다감하고 고독과 애수를 담은 가냘픈 처녀로 오로지 자신과 깊이 사랑을...
-
삼동굿놀이 三童굿놀이읊는다. 이어서 남자 세 사람(중동받이)이 어깨를 짜고 그 위로 산모역 한 사람이 올라가 동자를 어깨 위로 올린다. 높이는 출산과장 · 성장과장 · 입신출세과장 등 세 과장으로 진행된다. 출산과장은 산모역이 아기를 분만하는 행위를 하고, 성장과장은 젖먹이의 시늉과 고난극복을 상징하는 놀이를 한다. 그리고...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치악산 雉岳山의식을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대목으로 해석되어 왔다. 위나라 사람 오기는 증자(曾子)의 문하에서 수학하던 중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입신출세를 이룰 때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않겠다던 다짐 때문에 어머니 장례에 가지 않았다가 증자에게 파문당했다. 이후 노나라 왕이 제나라와 싸울 때 오기를 장군...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꿈을 사면 효과가 있을까누구나 좋은 꿈을 꾸기를 소망합니다. 꿈 중에 으뜸가기로는 용꿈입니다. 입신출세할 수 있는 관문을 ‘등용문(登龍門)’이라 하고, 사람이 출세하면 ‘개천에서 용 났다’고 표현하는 데서도 잘 알 수 있지요. 흥미로운 점은 등용문이라는 말이나 개천에서 용 났다는 속담 모두 처음부터 용이 아니었고, 용이 태어날...
-
효부 孝婦관계에 준하는 행동규범에 입각하여 시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해드리고 몸을 편안히 돌보아드리며 몸가짐을 단정히 하여 보존하고 남편을 내조(內助)하여 입신출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문을 빛내는 것이 효행의 길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부공(婦功)은 아들을 낳아 대를 잇고 시가(媤家)를 번창하게 하는 것...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가족
-
제국주의의 함정에 빠진 지식인의 두 얼굴, 니토베 이나조 新渡戸稲造설립한 삿포로 농학교에 입학했고, 이곳에서 만난 우치무라 간조와 가장 친한 친구 사이가 되었다. 당시 일본에서 영어와 서양 학문을 배운다는 것은 입신출세의 방편이었다. 근대화를 추진하는 정부 정책상 영어 교육을 받은 이들은 관료, 신문기자, 기업체 고위 관리자가 되는 길이 열려 있었다. 당시 근대 교육을...
- 출생 :
- 1862년
- 사망 :
- 1933년
- 국적 :
- 일본
- 대표작 :
- 《무사도》, 《일미관계사》
-
-
-
효녀 孝女부모를 영광되게 하는 것이 효도의 끝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해드리고 몸을 편안히 돌보아드리며 몸가짐을 단정히 하여 보존하고 입신출세하여 가문을 빛내는 것이 효행의 길이었다. 부계의 가계존속을 중시하던 우리의 전통적 가족에서는 부자관계가 중심이었으므로 ‘효’는 가장과 집을 계승할...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가족
-
등용문 登龍門거의 없다. 그러나 만약 이 급류를 거슬러 오르기만 하면 용(龍)이 된다고 한다. 이로부터 용문에 오른다는 것은 곧 크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바뀐 뜻 입신출세나 벼슬길에 오르는 관문 등을 통과한 것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대학 입학시험을 통과한 것 등을 말하기도 한다. 흔히 ‘인재를 뽑아 쓴다’는 뜻...
- 유형 :
- 한자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