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임화 시대의 전위에 선 불패의 정신
    한국 문학사는 곧 ‘이식 문학사’임을, 그 본질을 단번에 꿰뚫은 임화(林和, 1908~1953)는 시인이자 사회주의 문학 운동가이며 ‘근대성’의 체계와 선명한 이념으로 무장한 문학 평론가이기도 하다. 그는 스스로 몸담은 식민지 문학의 발생론적 근저를 정치적 역장화(力場化)하며, 1930년대에 카프 진영의 전위에서 불...
    출생 :
    1908년
    사망 :
    1953년
  • 임화 림인식, 林和
    시인. 일제 강점기 및 8·15해방 직후에 활동한 사회주의 문예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대표작으로 <우리 오빠와 화로>, <현해탄>이 있다.|일제 강점기 및 8·15해방 직후에 활동한 사회주의 문예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본명은 인식(仁植). 필명은 청로(靑爐)·임화(林化 또는 林華)·성아(星兒)·김철우(金鐵友...
    출생 :
    1908. 10. 13, 서울
    사망 :
    1953. 8. 6,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임화 임인식, 林和
    일제강점기 「담-1927」, 「네거리의 순이」, 「어머니」 등을 저술한 시인. 평론가, 문학운동가.|개설 본명은 임인식(林仁植). 서울 출생. 문필 활동을 시작하였던 1926년에는 성아(星兒)라는 필명을, 1928년부터는 임화 · 김철우(金鐵友) · 쌍수대인(雙樹臺人) · 청로(靑爐) 등의 필명을 썼다. 생애 및 활동사항 ...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임화 임인식(林仁植), 林和
    임화는 시인이나 문학평론가 혹은 카프 서기장으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1930년대부터 카프 영화 활동의 일환으로 줄기차게 영화 분야와 인연을 이어온 영화인이기도 했다. 그의 연기는 아마추어 수준을 넘어서지는 못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임화와 그들의 그룹이 만들었던 영화는 조선 영화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전...
    출생 :
    1908년
    사망 :
    1953년
    본명 :
    임인식(林仁植)
    데뷔 :
    1928년 <유랑>
  • 임화 (관련어 임 화) Im Hwa, 林和
    공직자 정보 임화,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이며 문학평론가, 정치인(소설가, 영화평론가, 영화배우, 연극배우 등으로도 잠시 활약.)이다. 대한제국 한성부(지금의 대한민국 서울) 출신이며, 본명은 임인식(林仁植)이며, 아호(雅號)는 쌍수대인(雙樹臺人), 성아(星兒), 청로...
    도서 위키백과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임화와 김남천의 월북
    자파 세력에게 지령을 내린다. 말하자면 남로당이 결성될 당시에 박헌영은 서울에 없었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정세가 조직의 약화를 가져올 것을 우려한 임화는 1947년 2월 13일에 ‘문화 옹호 남조선 문화 예술가 총궐기 대회’를 열어 「남조선 현 정세와 문화 예술 위기에 관한 일반 보고에 대한 결정서」를 공포...
    시기 :
    1947년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임화와 김남천의 대립 ‘물’ 논쟁
    한동안 카프 진영을 주도하던 임화와 김남천 사이에 갑자기 균열이 생긴다. 1930년께 카프 도쿄지부의 근거지인 ‘무산자사’에서 처음 만나 한솥밥을 먹고, 귀국한 뒤에도 이념을 같이하며 프로 문학의 주체를 확립하기 위해 함께 애쓰던 두 사람의 대립 원인은 무엇일까? 이 일은 1931년 카프 1차 검거 때 임화를 비롯...
    시기 :
    1933년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임화의 본격 소설론 이념을 뛰어넘는 다양한 리..
    사실성을 근간으로 하는 것인 만큼 시론보다는 소설론 분야에서 활기를 띠는데, 1938년에 들어 김남천의 ‘고발 문학론’ · ‘관찰 문학론’ 등과 함께 임화의 ‘본격 소설론’이 나와 이런 흐름을 이어간다. 이른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흘러들 무렵 임화는 이를 전면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혁명적 낭만주의...
    시기 :
    1938년
  • 임화의 문학세계
    1926년 〈매일신보〉에 시 〈무엇 찾니〉·〈서정소시 抒情小詩〉 등을 발표해 문단에 나왔다. 초기에는 사회적·예술적 전통을 부정하고 반이성·반예술을 내세우는 다다이즘에 열중하는 듯했으나, 1926년말 KAPF에 가입하면서 계급문학론으로 옮겨갔다(→ 프롤레타리아 문학). 당시 KAPF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현해탄 해협(海峽)의 로맨티시즘, 玄海灘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현해탄을 건너 일본으로 가서 신문명을 배워 오려는 청년들의 기상이 주된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초기 임화의 작품들이 구체적인 인물의 등장을 통해 노동쟁의와 계급투쟁을 다루는 경향이 강했다면,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모습이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신...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프레임화 인터페이스 -化-, framed interface
    직렬 비트 스트림이 주기적인 물리적 프레임으로 세분되는 인터페이스. 이 인터페이스에서 세분된 각 프레임은 고정적인 분할 방식에 의해 오버헤드 부분과 정보 페이로드 부분으로 분할된다.
  • 프레임화 framing
    팩시밀리 용어. 행전송중에 화면을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는 것 〈참조어〉 기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임화
임화(林和)
임화의 평론집 〈문학의 논리〉
시인이자 사회주의 문학 운동가이며 선명한 이념으로 무장한 평론가로도 활동한 임화
조선민요선
임화(林和)
 근대적 의미에서 본격적 문학비평서인 (1940)를 쓴 임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