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와테 岩手, Iwate
    가장자리는 도와다-하치만타이[十和田八幡平] 국립공원의 일부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임업·광업·어업에 종사한다. 총경작지의 절반 이상이 논이며 일모작을 한다. 기타카미 강[北上川]에 자리잡은 현청소재지 모리오카[盛岡]에는 1949년 설립된 이와테대학이 있다. 모리오카는 주요 철도 중심지이기도 하며 철물...
    위치 :
    일본 혼슈 북동부
    인구 :
    1,218,675명 (2020년 추계)
    면적 :
    15,275㎢
    언어 :
    일본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건답직파법 乾畓直播法
    자라게 하는 방법이다. 이 농법은 보온할 필요가 없는 따뜻한 건답에서 생육 초기부터 주로 맥, 또는 기타 작물간에 간작직파하는 형식을 취하거나, 일모작답 또는 답리작물을 수확한 뒤에 행하는 후작의 형식을 취한다. 이때 관수의 시기가 중요하며, 대체로 장마철에 관수하고 그때부터 일반적인 논과 같이 재배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이모작 二毛作
    내용 학문상 이모작의 대상경지가 논과 밭 어느 것에 한정된 것이라고 하기는 곤란하지만, 대체로 논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 논은 일모작 · 이모작 논으로 구별하고 있지만 밭은 그렇지 않다. 우리 나라의 논 이모작에 관한 기원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아마도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인구증가와...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여족의 경제생활
    여족은 벼농사를 주요 생계 방식으로 하고 경작지는 논과 밭으로 나누며 주로 논농사를 한다. 경작은 일모작 또는 삼모작을 하며 옛적에는 비료를 거의 주지 않았지만 지금은 화학 비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부 편벽한 산간지대에는 ‘칸산란(砍山栏)’이라고 하는 화전(火田) 경작 농업이 존재하였었는데 지금은...
    분류 :
    좡동어족 민족 > 여족
  • 파종 播種
    파종하나 고랭지에서는 늦은 봄에 파종한다. 작부체계상 콩·고구마를 홑짓기할 때에는 5월에 심지만 보리뒷그루로 할 때에는 6월 하순에 심는다. 벼의 경우 일모작을 할 때는 5월 중순∼6월 상순에 이앙하나, 맥류와 이모작을 할 때에는 6월 하순∼7월 상순에 이앙한다. 벼는 보통 이앙하기 30∼40일 전에 파종하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묘족의 경제생활
    경작이 있다. 논은 벼 재배를 주로 하며, 찰벼도 많이 심는다. 밭은 옥수수, 밭벼, 조, 고구마, 감자, 콩류 등 작물을 많이 심는다. 경작은 대부분 일 년에 일모작하거나 2년에 삼모작 한다. 묘족 경제의 주요 특징은 농업, 임업, 목축업의 결합이다. 어로와 채집은 보조적 역할을 하고 있다. 시장경제는 발달하지...
    분류 :
    묘요어족 민족 > 묘족
  • 시보족의 경제생활
    밀, 수수, 보리, 옥수수, 벼, 메기장(糜子), 기장, 유채씨, 참깨, 해바라기씨, 감자, 담배 등이 있다. 기후 등 원인으로 인해 대부분 농작물은 일 년에 일모작하며, 윤작하고 경작을 늦추는 등 전통적인 방법으로 토지의 비옥도를 유지한다. 즉, 한 부분의 땅을 개간하여 2년 내지 3년 동안 경작한 다음 일정한 기간...
    분류 :
    만-퉁구스어족 민족 > 시보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