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원화평 袁和平, Yuen Woo ping빚어낸 영화이기도 하다. <취권> 이후, 원화평은 당시 홍콩에서 가장 무술안무를 잘하는 배우들을 출연시킨 쿵푸영화들을 연달아 연출했다. <소림사-인자무적>(林世榮, 1979)에서 홍금보(洪金寶, Sammo Hung)와 원표(元彪), <철마류>(少年黃飛鴻之鐵馬騮, 1993)에서 견자단(甄子丹), <태극권>(太極張三豊, 1993)에서...
- 출생 :
- 1945년 1월 1일 중국 광저우
- 본명 :
- 원화평(袁和平)
- 수상 :
- 도빌아시아영화제 액션아시아영화상(<소걸아 : 취권의 창시자>(蘇乞兒, 2010)), 홍콩금마장영화제 무술감독상(<무인 곽원갑>(霍元甲, 2006), <일대종사>(一代宗師, 2013))
- 데뷔 :
- <풍광살수>(瘋狂殺手, 1971)
-
어부사 漁父辭동물을 등장시켜 각각 그 직분에 따른 움직임이 볼 만하다. 그런데, 개구리만은 올챙이 때를 생각하지 못하고서 함부로 행동한다고 여러 모로 비방하며, ‘인자무적(仁者無敵)’을 깨달아서 어질고 착한 마음을 닦으라고 하였다. 「몽경가」는 2율각 1구로 241구이며, “여부아라 창생(蒼生)덜아/봄갈기가 늦어간다”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미상, 1932년
- 성격 :
- 동학가사집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양암집 陽庵集는 성정(性情)은 중화(中和)요 덕행은 중용(中庸)이냐는 물음에 답한 글로, 중화와 중용은 현인도 행하기 어렵다고 설명하였다. 「답정택원(答鄭宅源)」은 인자무적(仁者無敵)을 물은 데 답한 것으로, 인(仁)이란 마음의 온전한 덕을 뜻하고, 덕이 온전하면 물욕이 본심을 가리지 않아 처사(處事)가 정당해 자체가 견고...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유지혁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4책
- 간행/발행 :
- 유춘걸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