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공기북한의 공화국 국기인 인공기는 담홍색 공화국 국기 또는 홍림 오각 별기라고도 불린다. 북한은 1948년 태극기를 버리고 자체 제작한 인공기를 채택했다. 인공기의 빨강은 혁명 정신을, 붉은 별은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상징하고 별의 흰색 바탕은 음양사상, 파랑은 평화에 대한 국민의 희망을, 흰색은 광명을 의미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관련어 인공기) Flag of North Korea, 朝鮮民主主義..국기 정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는 1948년 7월 10일에 열린 북조선인민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태극기(현재의 대한민국의 국기)를 폐지하면서 정한 국기이다. 문화어로 람홍색공화국기(藍紅色共和國旗, 람홍색국기(藍紅色國旗, 홍람오각별기(紅藍五角星旗)라고도 부르며 대한민국에서는 인공기(人共旗, 인민공화...도서 위키백과
-
만무방 Man Mu Bang내용 한국전쟁이 끝으로 치닫던 무렵, 외딴 곳에 자리 잡은 한 인가에 전쟁통에 남편을 잃은 중년여인(윤정희)이 살고 있다. 낮에는 태극기를 밤에는 인공기를 바꿔 달며 위태롭게 연명하던 그녀의 집에 다리를 다친 한 노인(장동휘)이 찾아들고 언제 죽음을 맞을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두 사람은 살을 섞게 된다...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엄종선(감독), 오유권(원작), 홍지운(각본)
- 성격 :
- 극영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소장/전승 :
- (주)대종필름
-
-
조양규 曺良奎정치적인 탄압을 피해 1948년 2월 부산으로 도피한 뒤 친구의 소개로 토성국민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러나 당시 남한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해 학교에서 인공기를 게양하는 사건을 주도하면서 다시 도피생활을 시작했다. 같은 해 일본으로 밀항에 성공하여 도쿄 에다가와죠[技川町]의 조선인 부락에 정착했다. 도일...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8년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서양화가
- 대표작 :
- 조선에 평화를, 창고, 맨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인공기후 人工氣候기후를 의미하며, 실외에서는 벽이나 나무 등을 이용하여 기후를 조절할 수 있다. 내용 실내를 쾌적하게 할 목적으로 기온과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대표적인 인공기후이다. 겨울과 여름의 차이가 심한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가옥에서는 가옥의 재료나 특수시설 등을 이용하여 기후에 적응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겨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울사대독서회사건 ─師大讀書會事件또한 김기수는 1967년 4월 초 서울시내사직공원 뒤 활터와 서울대 향토개척단 본부사무실 등에서 신입생 두 사람을 불러내 노트를 찢어 만든 북한 인공기를 오른손에 들게 하고, ‘생명과 재산을 바쳐 공산당 수령에 충성을 맹세한다’는 내용으로 선서식을 하게하여 북한을 이롭게 하였다.” 이상이 검찰이 밝힌 김기수...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68년 4월 3일
- 성격 :
- 공안사건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현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독서회, 김기수, 김정남
- 관련 장소 :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균열 龜裂불에 태웠을 때 갈라지는 모습을 가리킨다. 열(裂) - 찢어지다. 옷 따위가 찢어진 것을 나타낸다. 균열은 갈라지고 찢어진다는 뜻을 다 포함한다. 바뀐 뜻 갈라진 것도 균열이라고 하고, 찢어진 것도 균열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보기글 ㆍ가뭄에 논바닥이 갈라진 것은 균이고, 보수파들이 인공기를 찢는 것은 열이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