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이현보 비중(菲仲), 李賢輔조선전기 형조참판,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개설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비중(菲仲), 호는 농암(聾巖)·설빈옹(雪鬢翁). 예안 출신. 아버지는 참찬 이흠(李欽)이다. 홍귀달(洪貴達)의 문인. 생애 및 활동사항 1498년(연산군 4)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32세에 벼슬길에 올라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67년(세조 13)
- 사망 :
- 1555년(명종 10)
- 경력 :
- 형조참판, 호조참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중종반정
- 직업 :
- 문신, 문인
- 대표작 :
- 농암집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본관 :
- 영천(永川)
-
이현보 덕승(德升), 李玄輔조선후기 정언, 좌부승지,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덕승(德升). 만상(萬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봉조(鳳朝)이고, 아버지는 정신(正臣)이며, 어머니는 유이진(柳以震)의 딸이다. 1723년(경종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4년(경종 4)에는 지평(持平)을 지냈다. 1725...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9년(숙종 5)
- 사망 :
- 미상
- 경력 :
- 정언, 좌부승지, 강원도관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이현보 종가 문적 李賢輔 宗家 文籍같다. 첫째, 고문서는 교지류(敎旨類: 조선시대 임금이 4품 이상의 관리에게 주던 글)로 총 23점인데, 1498년(연산군 4)에서 1560년(명종 15) 사이의 것으로 이현보 14점, 이파(李坡) 1점, 이문량(李文樑) 8점 등 3인에게 발급한 백패(白牌: 소과에 급제한 생원 · 진사에게 주는 흰종이의 증서) · 사령(辭令) · 증...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이현보 초상 李賢輔 肖像비단 바탕에 채색. 개인 소장. 전해 오는 이야기로는 관찰사로 있던 1537년(중종 32)에 동화사의 화승인 옥준상인(玉峻上人)이라는 사람이 그렸다고 한다. 이현보의 오른손에 쥐고 있는 불자와 경상(經床)이 등장하고 금은니의 화려한 채색이 사용되어 불화 요소가 엿보인다. 이 후 1827년(순조 27)에 훼손을 우려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농암 이현보 선생 유물 聾巖 李賢輔 先生 遺物後寫本) 및 금서대(金犀帶). 영정 크기 세로 126cm, 가로 103cm. 금서대 크기 폭 3.5cm. 1994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농암이현보(1467∼1555)는 영천인으로 1498년 문과에 급제하여 안동부사 · 경상도관찰사 · 형조참판을 거쳐 1542년 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으나 치사(致仕)하고 고향...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분강가단 汾江歌壇개설 분강가단은 16세기 중반 이후 경상도 예안의 분강에서 이현보(1467∼1555)를 중심으로 시회를 즐기고 뱃놀이를 하면서 강호의 즐거움을 누린 일군의 시가활동을 말한다. 이현보는 벼슬살이에서 물러나 고향인 분강에서 이해, 이황, 이문량, 이중량, 황준량 등과 뱃놀이를 하면서 〈어부가〉를 산정하고, 놀이를...
- 시대 :
- 조선
- 위치 :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
- 설립 :
- 16세기 중엽
- 성격 :
- 시가 창작 및 향유 집단
- 유형 :
- 단체
- 해체 :
- 18세기 전반
- 설립자 :
- 이현보(李賢輔)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