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범석 철기, 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서울 용동(현 명동)에서 아버지 이문하(李文夏)와 어머니 연안 이씨(延安 李氏)의 2남 1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호는 철기(鐵驥, 哲琦), 자는 인남(麟男)이다. 이명은 이국근(李國根) ・ 윤형권(尹衡權) ・ 김광두(金光斗) ・ 왕운산(王雲山) ・ 왕모백(王慕白) 등이다. ...
    출생 :
    1900년 10월 20일, 서울
    사망 :
    1972년 5월 11일
    업적 :
    1919년 3월 중국의 운남강무당을 졸업 후 중국군 복무, 같은 해 10월 신흥무관학교 교관, 1920년 북로군정서 연성대장 및 청산리대첩 참전, 이후 동북항일군 마점산(馬占山)부대의 작전참모, 1934년 낙양군관학교 학생대장, 1936년 12월 중국군 양호성(楊虎城) 부대 기병연대장 이후 중일전쟁에 참전, 1940년 9월 한국광복군 참모장, 1942년 10월 시안의 광복군 제2지대장, 1944년 10월 광복군과 미국의 전략첩보기구인 OSS의 군사합작 교섭, 이후 국내침투작전 주도
    본관 :
    전주(全州)
    포상훈격 :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3년
    관련 인물/단체 :
    운남강무학당, 신흥무관학교, 북로군정서, 낙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한국광복군
  • 이범석 李範奭
    일제강점기 북로군정서 교관, 고려혁명군 기병대장, 광복군 참모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철기(鐵驥). 다른 이름으로 인남(麟男), 철기(哲琦) 등을 사용했다. 서울 출신. 아버지는 이문하(李文夏)이며, 어머니는 연안 이씨(延安李氏)이다. 8세 때 김해 김씨를 새어머니...
    시대 :
    근대
    출생 :
    1900년
    사망 :
    1972년
    경력 :
    광복군 참모장, 국무총리, 국방부장관, 주중국대사, 내무부장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족청계 숙청
    직업 :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대표작 :
    방랑의 정열, 민족과 청년, 우등불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전주(全州)
  • 이범석 李範錫
    해방 이후 국토통일원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외무부장관 등을 역임한 외교관.|내용 1922년 9월 14일 서울 출생으로,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1942년 평양 제2공립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해 1944년 10월 도쿄[東京]의 호세이대학[法政大學] 예과를 수료했다. 해방 직후, 1945년 9월 보성전문학교 경제과 2학...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이범석 李範奭
    일제강점기에 항일 무장 투쟁에 앞장서서 청산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정부 수립 후 초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이범석은 경성고등보통학교 3학년 때인 1915년에 여운형을 만났다. 당시 독립운동에 참여할 학생을 물색하기 위하여 잠시 귀국한 여운형을 따라 상하이로 건너갔다. 그 후 중국육군강무학교를 수석으로 졸업...
    출생 :
    1900. 12. 1, 서울
    사망 :
    1972
    국적 :
    한국
    자 :
    인남(麟男)
    호 :
    철기(鐵驥, 哲琦)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이범석 Lee Beom-seok (prime minister), 李範奭
    1900년 10월 20일~1972년 5월 1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초대 국무총리이다. 그는 고등보통학교 재학 당시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9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와 북로군정서 등지에서 항일독립활동을 하였으며, 북로군정서 연성대장으로 청산리 전투에 참전하기도...
    도서 위키백과
  • 이범석 (1925년) Lee Bum Suk (foreign minister)
    공직자 정보 이범석(李範錫, 1925년 9월 14일~1983년 10월 9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이다. 인도 주재 대사 등을 지냈으며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독립운동가이자 목사, 총리 서리 백사 이윤영의 사위이다. 경성부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황해도 평산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훗날 평안남도...
    도서 위키백과
  • 이범석 (1985년) 李範錫 (野球)
    야구 선수 정보 이범석(李範錫, 1985년 12월 29일 ~ )은 KBO 리그 전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다. 충청남도 아산시 출신으로 청주기공에 입학했으나 1년 유급한 전력으로 1차 지명을 받지 못했고, 2005년 신인 드래프트 2차 2순위(전체 14위) KIA 타이거즈에 지명되어 2005년에 입단하였다. 고등학교 시절 포지션은 주로...
    도서 위키백과
  • 이범석 (1967년)
    인물 정보 이범석(李範錫, 1967년 3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30대 청주시장이다. 종암국민학교(폐교) 졸업 미원중학교 졸업 신흥고등학교 졸업 충북대학교 행정학 학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1992: 제36회 행정고시 합격 충청북도청 기획관리실 충청북도청 도정혁신기획단장 기획예산처 재정기획실...
    도서 위키백과
  • Lee Beom-seok 이범석
    Lee Beom-seok (sometimes transliterated in other ways such as Yi Pom-Sok) was the name of two important 20th century politicians in South Korea: Lee Beom-seok (Prime Minister) (1900–1972),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later the first Prime Minister of South Korea from 1948 until 1950 Lee Beo...
  • SS-081 이범석 SS-081 이범석, ROKS Lee Beom-seok ..
    군함 정보 SS-081 이범석은 손원일급 잠수함의 8번함이다. 2016년 11월 8일 : 오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에서 이범석함 진수식이 열렸다. 황교안 국무총리 내외, 엄현성 해군참모총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참석했다. 이범석 (1900년) 장군은 일제강점기 당시 신흥무관학교 교관, 북로군정서 교관 등을...
    도서 위키백과
  • 철기이범석장군기념사업회
    회장으로 추대하고 기념사업회 준비위원회 발족을 통하여 창립 되었다. 기념사업회 준비위원으로는 정ㆍ관ㆍ재ㆍ언론계 소속의 인사 200여명과 1946년 철기이범석장군이 중심이 되어 창립된 민족정신의 전통을 계승할 청년운동단체인 조선민족청년단 단원 및 후예들로 구성되었다. 철기이범석장군기념사업회는 이범석...
    도서 위키백과
  • Lee Beom-seok 이범석 (1925년), Lee Beom-seok (foreign..
    Lee Bum Suk (1925–1983, revised romanization I Beom-seok) was the Foreign Minister of South Korea from 1982 until his death. He was among the victims of the Rangoon bombing in 1983.He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in 1946, and attended University of Maryland in 1961 and George Washington...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1건

이범석
이범석
이범석
이범석
이범석
이범석
이범석
이범석 장군
민필호, 이범석, 정환범
광복군과 이범석
훈시하는 이범석
이범석의 글
거수 경례하는 이범석
지청천・이범석・이준식・왕영생 사진
한국민족청년단 사열식 / 이범석
한민소학교 생도와 이범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