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방 吏房조선시대 지방관서에서 인사 관계의 실무를 맡아보던 부서 또는 그 일에 종사하던 책임 향리. 내용 지방관서의 행정업무는 중앙부서와 같이 6전 체제로 편성하였다. 그 중 하나가 이방이며 향리의 인사·고과 등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또 이방은 지방아전의 대표자로서 수리(首吏)라고 불렸고, 호방(戶房)·형방(刑房 ...
- 시대 :
- 조선
- 성격 :
- 신분, 지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방 吏房조선시대 승정원 소속의 이전(吏典) 담당 관서. 내용 문관의 인사·서훈·고과(考課) 관계 사무의 출납을 맡았다. 그 담당 승지[色承旨]는 도승지로서 정3품 당상관이었다. 승정원은 육조(六曹)의 체제에 맞추어 6방으로 편성되었다. 그 중 이방은 이조 및 그 속아문(屬衙門 : 소속된 하급관서)의 경우『경국대전』...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방면 梨房面, Ibang-myeon경상남도 창녕군 서북부에 있는 면.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서북부에 있는 면. 대체로 200m 이하의 구릉성 산지를 이루며, 곳곳에 독지골산(219m)·구룡산(208m) 등이 솟아 있다. 낙동강이 서쪽 면계를 따라 곡류하며, 평야는 낙동강과 그 지류연안을 따라 소규모로 발달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양파·단...
- 인구 :
- 2,575 (2019)
- 면적 :
- 46.41㎢
- 행정구역 :
- 21개리 48개반 (법정리 13개리)
- 소재지 :
- 경상남도 창녕군
- 사이트 :
- http://www.cng.go.kr/country/cntwn006.web
-
정종 왕자들의 반란 속에 왕위에 오르다태조의 둘째 아들 방과, 역성혁명에 공을 세우다 정종은 함흥 사저 시절인 1357년(공민왕 6) 이성계와 첫째 부인 한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경(曔), 초명은 방과(芳果), 자는 광원(光遠)이다. 정종은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정국의 주도권을 잡기 전인 1377년(우왕 3)에 아버지를 도와 왜구 토벌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57년(공민왕 6)
- 사망 :
- 1419년(세종 1)
- 본명 :
- 이경(李曔), 이방과(李芳果)
- 본관 :
- 전주(全州)
-
정종 광원(光遠), 定宗개설 재위 1398∼1400.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경(曔)이고, 초명은 방과(芳果)이다. 자는 광원(光遠)이다. 태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이다. 정종의 비 정안왕후(定安王后)는 판예빈시사 증문하좌시중월성부원군(判禮賓寺事贈門下左侍中月城府院君) 김천서(金天瑞)의 딸이다. 성품...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57년(공민왕 6)
- 사망 :
- 1419년(세종 1)
- 경력 :
-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삼사우사(三司右使)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순천 낙안읍성 이방댁 順天 樂安邑城 吏房宅내용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동네 노인들의 말에 따르면 성안 사옥(司獄) 터에 이웃한 향리의 집이었다고 한다. 네모난 모양의 집터에 안채와 아래채가 ㄱ자형으로 배치되었는데, 주향(主向)은 간좌곤향(艮坐坤向)으로 서남향집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곧바로 안마당이고, 이 마당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이방일 관보(寬甫), 李邦一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관보(寬甫). 증조는 이세선(李世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3년(영조 39) 영흥부사를 지냈으나 파직당하여 단천에 유배되었다. 1766년 경상좌도수군절도사가 되고, 1769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거쳐 영광군수를 역임하고, 1773년 남양부사를 지냈다. 1776년(정조 즉위년) 경기도수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 2대 왕, 정종 조선 제2대 왕, 定宗6월에는 노비변정도감을 설치했다. 같은 해 11월 세제 방원에게 선위(禪位)했다. 그뒤 상왕(上王)으로 인덕궁(仁德宮)에 거주하면서 격구·사냥·연희를 즐기며 유유자적한 생활을 했다. 1419년(세종 1) 온인공용순효대왕(溫仁恭勇順孝大王)의 시호를 받았다. 1420년 명나라로부터 공정의 시호를 받았다. 1681년(숙종 7...
- 출생 :
- 1357(공민왕 6)
- 사망 :
- 1419(세종 1)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398년 9월~1400년 11월
- 시호 :
- 정종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定宗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 출생지 :
- 함흥(咸興) 귀주동(歸州洞) 사저
- 능묘 :
- 후릉(厚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