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1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광수 흠 많은 근대 문학의 아버지1940년대 초엽 어느 겨울날의 일이다. 덕수궁에서 도쿄 유학생들의 미술 전람회가 열린다. 마침 겨울 방학을 맞아 일본에서 돌아와 서울에 있던 20대 초반의 문학 청년 김춘수(金春洙)는 그 전람회장에 갔다가 뜻밖에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 1892~1950)를 만난다. 춘원은 여러 학생에게 둘러싸여 나직한 목소리로 무...
- 출생 :
- 1892년
- 사망 :
- 1950년
-
이광수 춘원(春園), 李光洙일제강점기 「무정」「소년의 비애」, 「방황」 등을 저술한 소설가. 언론인,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춘원(春園)이다. 아명은 이보경(李寶鏡)이며, 필명으로는 장백산인(長白山人)·고주(孤舟)·외배·올보리·노아자·닷뫼·당백·경서학인(京西學人) 등을 썼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2년 2...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2년(고종 29)
- 사망 :
- 1950년 10월 25일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2·8독립선언, 수양동우회사건
- 직업 :
- 소설가, 언론인, 친일반민족행위자
- 대표작 :
- 사랑인가, 무정, 검둥이의 설움, 소년의 비애, 개척자, 허생전, 재생
- 성별 :
- 남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전주(全州)
-
-
-
이광수조선 말기에 이르러 개화와 근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이전 서사 문학과는 다른 새로운 소설 형식이 등장했다. 주로 근대적인 사상과 문물 도입, 이에 따른 풍속 변화 등 당대 시대상을 바탕으로 장면 묘사가 보다 확장되고, 사건 전개에 있어 우연성이 보다 줄어들며, 평면적 인물상과 대립 구도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새로...
- 출생 :
- 1892년 03월 04일
- 사망 :
- 1950년 10월 25일
- 대표작 :
- 《무정》, 《재생(再生)》, 《마의태자》, 《단종애사》, 《흙》, 《이순신》 등
-
이광수 (1978년)프로게이머 정보 이광수(1978년 6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전직 프로게임단 코치이다. 2001년 여름에 활동한 1세대 프로게이머로 당시 e스포츠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2001 KPGA 8월 투어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우승 직후인 2001년 9월 공군에 입대한 이광수는 2003년 11월 제대...도서 위키백과
-
이광수 (1873년)출처 필요 이광수(李光秀, 1873년 ~ 1953년)는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조선 왕족의 후손으로 자(字)는 미중(美中), 호는 옥산(玉山), 양녕대군의 17대손이며 추성수(秋城守) 이서(李緖)의 14대손이다. 본관은 전주이다. 1900년(광무 4)에 관직에 제수되고 가자(加資)를 받아...도서 위키백과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이광수에 대한 열 가지 시각 마침내 ‘현대’를 ..이런 고로 그의 도덕성은 예수의 도덕성보다도 톨스토이의 인생관보다도 한층 비열하고 무활기(無活氣)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박영희, 「문학상으로 본 이광수」, 『개벽』(1925. 1.) 둘. 이광수류의 문학을 매장하라 역사는 필연이고 결정이고 과정을 가진 궤로(軌路)이다. 문단의 역사도 그렇다. 그러므로 근 십 년...
- 시기 :
- 19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