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1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광수 흠 많은 근대 문학의 아버지
    1940년대 초엽 어느 겨울날의 일이다. 덕수궁에서 도쿄 유학생들의 미술 전람회가 열린다. 마침 겨울 방학을 맞아 일본에서 돌아와 서울에 있던 20대 초반의 문학 청년 김춘수(金春洙)는 그 전람회장에 갔다가 뜻밖에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 1892~1950)를 만난다. 춘원은 여러 학생에게 둘러싸여 나직한 목소리로 무...
    출생 :
    1892년
    사망 :
    1950년
  • 이광수 춘원(春園), 李光洙
    일제강점기 「무정」「소년의 비애」, 「방황」 등을 저술한 소설가. 언론인, 친일반민족행위자.|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춘원(春園)이다. 아명은 이보경(李寶鏡)이며, 필명으로는 장백산인(長白山人)·고주(孤舟)·외배·올보리·노아자·닷뫼·당백·경서학인(京西學人) 등을 썼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2년 2...
    시대 :
    근대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50년 10월 25일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2·8독립선언, 수양동우회사건
    직업 :
    소설가, 언론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표작 :
    사랑인가, 무정, 검둥이의 설움, 소년의 비애, 개척자, 허생전, 재생
    성별 :
    남자
    분야 :
    문학/현대문학
    본관 :
    전주(全州)
  • 이광수, 무정
    부르주아 계몽주의 입장에서 전통적 인습과 윤리를 반대하고 신교육과 신문명을 통한 자강주의를 주장했다. 식민지 현실에 대한 인식은 철저하지 않았다. 1917년 1월 1일부터 “매일신보”에 126회에 걸쳐 연재되었고, 1918년 광익서관에서 단행본으로 펴냈다. 이광수를 근대문학 초기의 개척자로 인정받게 한 대표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한국문학 , 문학
  • 이광수 가야마 미쓰로, 李光洙
    소설가∙문학평론가. 한국근대문학의 선구자로, 소설 외에도 시가·평론·수필 등 전영역에 걸친 집필을 했다. 대표작으로 <무정>, <유정>, <흙>이 있다.|한국근대문학의 선구자로 계몽주의·민족주의 문학가 및 사상가로 한국 근대정신사의 전개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관은 전주. 아명은 보경. 호는 춘원·고주...
    출생 :
    1892, 평북 정주
    사망 :
    1950. 10. 25, 자강도 강계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광수
    조선 말기에 이르러 개화와 근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이전 서사 문학과는 다른 새로운 소설 형식이 등장했다. 주로 근대적인 사상과 문물 도입, 이에 따른 풍속 변화 등 당대 시대상을 바탕으로 장면 묘사가 보다 확장되고, 사건 전개에 있어 우연성이 보다 줄어들며, 평면적 인물상과 대립 구도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새로...
    출생 :
    1892년 03월 04일
    사망 :
    1950년 10월 25일
    대표작 :
    《무정》, 《재생(再生)》, 《마의태자》, 《단종애사》, 《흙》, 《이순신》 등
  • 이광수 Yi Gwangsu, 李光洙
    중립 필요작가 정보 이광수(李光洙, 대한민국의 언론인, 문학가, 시인, 평론가, 번역가이다. 애국계몽운동가로서의 공로가 있으나, 최남선 등과 함께 변절한 친일파로 평가된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차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
    도서 위키백과
  • 이광수 (배우) Lee Kwang-soo, イ・グァンス
    영화인 정보 이광수(李光洙, 1985년 7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이다. 신장 = 193cm 6ft4 체중 = 72kg 160ibs 발 = 290mm US11 2011년 영화 《평양성》 ... 문디 역 2012년 영화 《원더풀 라디오》 ... 차대근 역 2012년 영화 《간기남》 ... 최기풍 역 2012년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 ... 최 PD 역...
    도서 위키백과
  • 이광수 (성우)
    성우 정보 이광수(1975년 1월 29일 ~ )는 한국의 남자 성우다. 2003년 KBS 30기 공채 성우로 데뷔했다. 꽉 잡아! (KBS) - 나대우 역 원피스(KBS) - 갓 에넬 / 햄버그 엘리먼트 헌터(KBS) - 아나운서 로봇 찌빠(KBS) - 블랙펄 / 촉새 삼촌 / 네모로봇 / 보라티셔츠 최강 합체 믹스마스터(KBS) - 바벨 / 로파 / 에그몬...
    도서 위키백과
  • 이광수 (1978년)
    프로게이머 정보 이광수(1978년 6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전직 프로게임단 코치이다. 2001년 여름에 활동한 1세대 프로게이머로 당시 e스포츠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2001 KPGA 8월 투어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우승 직후인 2001년 9월 공군에 입대한 이광수는 2003년 11월 제대...
    도서 위키백과
  • 이광수 (1873년)
    출처 필요 이광수(李光秀, 1873년 ~ 1953년)는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조선 왕족의 후손으로 자(字)는 미중(美中), 호는 옥산(玉山), 양녕대군의 17대손이며 추성수(秋城守) 이서(李緖)의 14대손이다. 본관은 전주이다. 1900년(광무 4)에 관직에 제수되고 가자(加資)를 받아...
    도서 위키백과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이광수에 대한 열 가지 시각 마침내 ‘현대’를 ..
    이런 고로 그의 도덕성은 예수의 도덕성보다도 톨스토이의 인생관보다도 한층 비열하고 무활기(無活氣)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박영희, 「문학상으로 본 이광수」, 『개벽』(1925. 1.) 둘. 이광수류의 문학을 매장하라 역사는 필연이고 결정이고 과정을 가진 궤로(軌路)이다. 문단의 역사도 그렇다. 그러므로 근 십 년...
    시기 :
    1917년
  • 이광수의 문학세계
    되기도 한다. 〈무정〉과 같은 계몽소설의 연장에 놓이는 〈흙〉은 농촌계몽소설로서, 브나로드 운동 등의 민족적 교화운동의 일환에서 나온 작품이다. 이광수의 농촌현실에 대한 관심은 이보다 앞선 1916년 〈매일신보〉에 발표한 〈농촌계발〉이라는 논문에서 발견되는데, 그는 이 글에서 우리 농촌의 결점 중의 하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4건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무정 / 이광수
흙 / 이광수
이광수의 무명
마의태자 / 이광수
춘원 이광수 기념비
1964년에 삼중당에서 나온 〈이광수 전집〉
1933년 〈삼천리〉 3월호에 실린 이광수의 만화상
1922년 장편소설 〈개척자〉를 집필하던 시절의 이광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