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정 義淨, Iching
    중국의 승려, 여행가, 불교 경전 번역가. (병). Yijing. (웨). Iching.|속성은 장(張)·제주(지금의 산둥 성 리청 현) 사람인데, 일설에는 범양(지금의 베이징 시 서남부) 사람이라고도 한다. 외국에 나가 불법을 구해온 법현과 현장을 사모하여, 당나라 고종 때인 671년에 바닷길로 인도에 가 법을 구하고, 불교성지...
    출생 :
    635
    사망 :
    713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의정 삼의정, 議政
    조선시대 백관의 장으로서 국정을 통괄하던 의정부의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을 통칭하는 말.|내용 또는, 이를 각각 호칭하던 말이기도 하다. 통칭으로서의 의정은 일명 삼의정·삼정승(三政丞) 또는 삼공(三公)이라고도 불렸다. 의정은 1414년(태종 14) 6월 당시의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와 같은해 4월의 육조(六曹)...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호칭
    유형 :
    제도
    시행일 :
    1466년(세조 12)
    폐지일 :
    1894년(고종 3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의정 醫正
    고려시대 태의감(太醫監)의 종9품 관직.|내용 정원은 2인. 목종 때 이미 설치되어 있었으며,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이 정하여졌다. 이후 1308년(충렬왕 34)에 태의감이 사의서(司醫署)로 개칭되고 직제가 개정될 때 폐지되었으며, 그 뒤로는 설치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폐지일 :
    1308년
    시행처 :
    태의감
    분야 :
    과학/의약학
  • 의정 義正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이찬으로 상대등을 역임한 관리. 대신.|내용 관등은 이찬(伊飡)이었다. 849년(문성왕 11) 1월에 상대등(上大等)에 임명되어서 857년(헌안왕 1)까지 재임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이찬(伊飡), 상대등(上大等)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대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의정대신 의정, 議政大臣
    1896∼1907년간에 설치되었던 의정부의 수석대신.|내용 현재의 국무총리격이다. 이전의 총리대신이 1896년 9월부터 1905년 2월에는 명칭이 의정이었다가 그뒤 의정대신으로 바뀌었고 1907년 6월에 다시 총리대신으로 바뀌었다. 의정대신은 칙임관 정1품으로, 하는 일은 다음과 같았다. ① 각부 대신을 통솔하여 정부 ...
    시대 :
    근대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6년 9월
    폐지일 :
    1907년 6월
    분야 :
    역사/근대사
  • 의정 (승려) Yijing (monk), 義浄
    인물 정보 의정(義淨, 635~713)은 중국 당나라의 고승으로 범어로 된 불경을 가져와 번역하였다. 속세의 성은 장(張)씨이며, 자는 문명(文明). 하북 제주(현재의 산동성 제남시) 사람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15세 때인 649년(정관 23년)에 서역행을 떠났다. 671년(함형 2년) 37세 때 바닷길로 번우현(현재의 광저우)를...
    도서 위키백과
  • 의정
    의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의정(義淨)은 중국 당나라의 승려이다. 의정(義正)은 신라 하대의 대신이다. 의정(意情)은 불교 용어로, 제6의식(第六意識)의 다른 말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나는 의정전문기자입니다
    2004년, 17대 국회 개원과 함께 첫 전파를 발사한 국회방송. 국회와 국민의 가교 역할을 자처하며 의정전문채널로 자리매김한 지 10년째다. 그렇다면 그곳에서 의정뉴스를 담당하는 보도팀은? 국회방송 기자는 의정전문기자이다. 방송사별로 의학전문기자, 기상전문기자가 있듯이 국회방송 보도팀은 명실상부한 의정전문...
  • 의정존안 경장의정존안(更張議定存案), 議政存案
    서지적 사항 1책 41장. 필사본. 표제는 『경장의정존안(更張議定存案)』으로 되어 있다. 군국기무처에서 1894년 6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의결한 약 210건의 사항 가운데 약 190건의 의결사항을 일지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내용 의정된 의안은 계품(啓禀)되어 계하본(啓下本)으로 처리되고, 의안이 업는 회의일에는...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894년
    성격 :
    법제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의정연수원 議政硏修院
    내용 1994년 8월에 설립하였다. 의정연수원의 직무는 국회의원의 각종 입법연구활동(각종 정책토론회, 세미나, 의원연구단체의 활동 등)의 지원, 의회운영 및 제도에 관한 연구, 국회소속 공무원(국회의원보좌직원을 포함)의 직무·전문교육, 정부 및 지방의회 등의 요청 또는 연수원의 자체프로그램 개발에 의한 연수...
    시대 :
    현대
    성격 :
    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4년 8월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헌안왕 의정(誼靖), 憲安王
    개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의정(誼靖) 혹은 우정(祐靖)이다. 신무왕(神武王)의 이복동생으로, 아버지는 성덕대왕(成德大王)으로 봉해진 균정(均貞)이고, 어머니는 충공(忠恭)의 딸 조명부인(照明夫人, 혹은 昕明夫人) 김씨이며, 할아버지는 예영(禮英)으로 원성왕(元聖王)의 아들이다. 슬하에 딸이 둘 있었는데 모두...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861년(헌안왕 5) 1월 29일
    경력 :
    신라 제47대 국왕(재위: 857∼861)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본관 :
    경주
  • 동문자모분해 국문자모분해, 東文字母分解
    내용 ≪의정국문자모분해 擬定國文字母分解≫·≪국문자모분해 國文字母分解≫라고도 한다. 필사본이 등재된 두 종류가 전할 뿐, 그 원본의 소재는 알 수 없다. 널리 알려진 것은 김윤경(金允經)의 ≪조선문자급어학사 朝鮮文字及語學史≫(1938)에 수록된 ≪동문자모분해≫(1869)이며, 근래에 알려진 것은 이능화(李能和...
    시대 :
    근대
    저작자 :
    강위
    창작/발표시기 :
    1869년
    성격 :
    연구서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다양한 의정보고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