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율법 律法, Law
    (1) 구약성서의 첫 다섯 권을 가리킨다(모세오경이라고도 함). 첫 다섯 권은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이다. 이들은 예언서와 성문서와 더불어 유다 경전을 형성한다. 전례 독서에서는 미사의 제1독서나 서간을 모세오경에서 취했을 경우, 이를 율법이라 한다. (2) 이 용어는 모세오경에 담겨 있는 법 ...
  • 율법 律法, Law
    율법은 구약의 신앙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율법이란 희브리어 torah를 번역한 것이며, 성서의 처음 5책의 중요한 내용이 되어 있다. 성서의 처음 5책을 특히 오경(pentateuch)이라 하는데, 이 오경에는 고대 유대민족의 생활을 포괄하는 여러 규범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 율법은 오늘날의 법보다는 ...
  • 율법
    율법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다. 율법은 법률과 동의어이다. 율법은 신의 이름으로 규정된 규범을 가리킨다. 율법은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모세오경을 가리킨다.
    도서 위키백과
  • 유대교 유태교, Judaism
    하느님의 임재를 인간행위와 역사에서 경험한다고 주장하는 유일신교이다. 유대교는 광의로는 아브라함·이사악·야곱 등 족장시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4,000여 년에 걸친 유대 민족의 종교현상 전부를 뜻하며, 협의로는 BC 5세기 유대 민족이 바빌론 유수에서 이스라엘로 돌아와 유대교를 재건한 때부터 지금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탈무드 구전 율법에 해석을 덧붙인
    방대한 양의 구전 율법을 집대성한 《미쉬나》 구전 해설을 곁들인 구전 율법은 아무리 기억력이 좋은 사람일지라도 선대의 구전 설명을 그대로 후대에 전하기가 힘들었다. 게다가 교사 역할을 담당했던 랍비들도 시대에 따라 저마다 조금씩 해석방법이 달랐다. 때문에 심지어 해석방법이 크게 서른 두 가지로 분류되기...
  • 노아 시대 율법 Noahide Laws
    거세, 마술, 기타 의식들을 금지하는 조항을 덧붙여 계명의 숫자가 30개로 늘어났으나, '7가지 계명'은 소수의 변형문들과 함께 권위있는 계명으로, 또다른 율법들의 근거로서 원래의 지위를 유지했다. 유일신론을 수호하고 사회 안에서 적절한 도덕행위를 보장하는 기본적인 법규로서 이 계명들은 유대 지역에 거주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토라 모세오경, Torah
    즉 유대 백성에게 내린 계시의 본질이며, 하느님이 인류를 위해 계시한 가르침 또는 지침이다. 토라는 종종 <구약성서> 처음 5권을 가리키는 데 국한되며, 율법 또는 오경(Pentateuch)이라고도 한다. 토라는 전통적으로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으로부터 계시를 받은 모세가 썼다고 인정된다. 유대교, 로마 가톨릭 교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영정법 영정과율법, 永定法
    내용 정식 명칭은 영정과율법(永定課率法)으로 1635년(인조 13)에 제정되었다. 세종 때 제정된 공법(貢法)은 전분6등(田分六等)·연분9등(年分九等)으로 나누어 총 54등급의 과세 단위를 설정, 그 판정과 운영이 복잡했고 전체적으로 세율이 높아 현실적으로 시행되기 어려웠다. 따라서, 15세기 말부터 전세는 풍흉에...
    시대 :
    조선 후기
    성격 :
    법률, 재정, 조세
    유형 :
    제도
    시행일 :
    1635년(인조 13)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매출액 비율법 賣出額比率法, percentage-of-sales method
    임의로 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작년도 매출액이 100억원이었고 이의 5%를 적정예산으로 설정할 경우, 광고예산은 100억원×0.05=5억원이 된다. 매출액 비율법은 판매량을 고려해서 광고비를 산정하므로 재무적으로 안전하고, 전체 산업의 대부분이 이 방법을 사용한다면 광고경쟁이 과열될 우려가 없으며, 기법을...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영정법 영정과율법, 永定法
    1635년(인조 13)에 제정되어 전세 징수를 공정히 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전토의 비옥도를 표준으로 고정된 세율을 적용했다. 양란 이후 농민이 피폐하고 전국토가 황폐해진 데도 불구하고 각종 세목이 토지에 가중되어 농민의 유망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 법은 전세의 부담을 감소해서 백성을 안집시키고 또 세종대 이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바리사이 바리사이파, Pharisees
    이 가운데 바리사이들이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이었다. 바리사이라는 말은 어원으로 보면 ‘분리된 사람, 구분된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들은 율법을 준수하는 데 있어서 일반 대중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태도를 간직하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으며, 율법을 통해 거룩함에 이를 수 있다는 그들의 관점에서...
  • 모세 Moses
    그는 이스라엘 민족을 이집트의 종살이로부터 탈출시켰고 이후 광야에서 방랑생활을 하는 동안 그들을 이끌었으며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율법을 그들에게 전해 준 장본인이었다. 그는 이스라엘이 민족으로서 형성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모세는 탈출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 등장하는 성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구스타브 도어, 〈율법을 낭독하는 에스라〉(188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