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보선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尹潽善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4·19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무너진 이후 치러진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나서 제4대 대통령에 선출됐다. 5.16군사정변이 일어나, 임기 1년 5개월 만에 하야했다. 이후 민중당·신한당을 창당하고 통합 야당이었던 신민당의 대표를 지내는 등 야당 정치권을 대표하는 정치가로 활동했다...
    출생 :
    1897. 8. 26, 충남 아산
    사망 :
    1990. 7. 18,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정치인,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호 :
    해위(海葦)
  • 윤보선 해위(海葦), 尹潽善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생애 및 활동사항 1897년 8월 26일 충청남도 아산(牙山) 출생으로, 본관은 해평(海平), 호는 해위(海葦)이다. 사업가이자 개화파 기독교인인 아버지 윤치소(尹致昭)와 어머니 이범숙(李範淑) 사이의 9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야(東野) 윤치소는 1911년 한국인...
    시대 :
    현대
    출생 :
    1897년
    사망 :
    1990년
    경력 :
    미군정청농상국고문, 민중일보사장, 서울시장, 상공부장관, 한영협회회장, 대한적십자사총재, 국회의원, 대통령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부산정치파동, 5·16군사정변, 민청학련사건, 3·1민주구국선언사건, YWCA위장결혼사건
    직업 :
    정치인
    대표작 :
    구국의 가시밭길, 외로운 선택의 나날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해평(海平)
  • 제2공화국이 단명한 이유, 윤보선 vs 장면
    제2공화국은 학생과 시민들이 직접 거리로 나서서 이승만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4·19혁명의 결과 탄생한 민주 정부예요. 따라서 이 정부가 정치를 잘 이끌었다면, 우리 역사는 지금보다 훨씬 더 민주적으로 발전했을 거예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결과는 그렇지 못했어요. 왜냐고요?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정권을 ...
  • 윤보선 Yun Po-sun, 尹潽善
    대통령 정보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이다. 국회의원과 1948년 12월 15일부터 1949년 6월 5일까지 서울특별시 시장을 지냈고, 1960년 8월 13일부터 1962년 3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호서 지역의 대한제국 명문가에서 태어난 그는 청년 시절...
    도서 위키백과
  •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牙山 尹潽善 大統領 生家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인데 1907년 윤치소(尹致昭)가 건립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바깥사랑채는 건축양식으로 미루어볼 때 1920년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평야마을 가운데에 위치하여 동남향하고 있다. ㄴ자형 행랑채의 뒤쪽에 ㄱ자형 안채와 ㄴ...
    시대 :
    근대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윤보선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하였으며, 헌정 사상 최초의 의원 내각제 하 대통령이다. 본적은 충청남도 아산, 호는 해위(海葦), 기독교 집안인 중추원의관 동야 윤치소 씨와 중추원의관을 지낸 전주 이 씨 이재룡 씨의 장녀인 이범숙 씨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913년 일본 유학길에 올랐던...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길52번길 29
    문화재 지정 :
    중요민속문화재 제196호(1984.12.24 지정)
  • 공덕귀 孔德貴
    윤보선 전 대통령의 부인이다. 행동하는 신학자로서 평생에 걸쳐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보살피고 조국의 민주화와 인권회복, 여성문제 해결 등을 추구하며 사회활동에 활발히 참여했다. 공덕귀는 여장부였던 어머니로부터 그리스도교 신앙과 독립심 강한 여성상을 배우며 성장했다. 일신고등여학교와 일본 요코하마...
    출생 :
    1911. 4. 21, 경남 충무
    사망 :
    1997. 11. 24,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제5대 대통령선거 박정희 후보 승리
    대선에 출마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오락가락하는 태도를 보였다. 대선은 군복을 벗은 박정희 민주공화당 후보와 5 ・ 16쿠데타 후 대통령에서 물러난 윤보선 민정당 후보의 양자 대결 구도로 진행됐다. 박정희는 황소를 상징으로 내세우고 '농민의 아들'인 자신은 귀족적인 윤보선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윤보선...
    시대 :
    1963년 10월 15일
    국가/대륙 :
    한국
  • 대한민국 제2공화국 Second Republic of Korea, 第二共和国 (大韓民国)
    4월 27일 ~ 6월 14일)를 거쳐 6·15 개헌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 역사상 유일한 양원제 의원내각제 기반의 헌정체제이다. 국무총리는 장면, 대통령은 윤보선이다.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한 후, 국회는 의원내각제와 양원제를 권력 구조의 핵(核)으로 헌법을 개정하였다. 이 헌법에 따라 총선거가 실시되어...
    도서 위키백과
  • 안국동 윤보선가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다. 대한민국의 임시 의정원 의원과 제4대 대통령과 상공부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정치인 겸 독립운동가 윤보선의 사저였다. 99칸의 대저택으로 일부는 해방 직후 6.25 전쟁때 일부 소실되기 전까지 형태를 유지하였다. 제2공화국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의 저택으로도...
    도서 위키백과
  •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용산 윤영렬 묘역(芙蓉山尹英烈墓域) 또는 부용산 윤보선 대종묘(芙蓉山尹潽善大宗廟)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산 3-1번지 부용산에 마련된 조선 말기의 장군 윤영렬, 한진숙 일가족의 묘역이다. 윤영렬과 한진숙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과 한국의 초기 병리학자이며 병리학과 해부학의...
    도서 위키백과
  • 신민당 新民黨
    黨), 장면(張勉)의 민주당(民主黨)을 원류로 한다. 1961년 5 · 16군사정변으로 모든 정당이 소멸되었다가 1963년 정치활동 재개와 함께 같은 해 2월 4일 윤보선(尹潽善)이 중심이 된 구파가 민정당(民政黨)을, 박순천(朴順天)을 추대한 신파가 민주당이라는 옛 이름 그대로 창당하였다. 같은 해 8월 국민의 당 창당...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윤보선
윤보선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안채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정면
고 윤보선 전 대통령 영결식
3.16성명에 반기를 든 윤보선씨와 허정씨의 데모
제4대 대통령 취임식
윤보선 vs 장면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전대통령생가
장면 총리와 윤보선 대통령
대통령 취임식(제4대) / 윤보선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배치평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