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길중 尹吉重
    1938년에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고 이듬해 고등문과 사법·행정 양과에 동시에 합격했다. 1941년 강진·무안 군수를 지냈고, 1946년 국민대학교 초대 학장이 되었다. 1950년 무소속으로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60년 제5대 민의원선거에서 당선되어 통일사회당 총무가 되었다...
    출생 :
    1916. 8. 14, 강원 원주
    사망 :
    2001. 10. 11,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윤길중 청곡(靑谷), 尹吉重
    해방 이후 국회법제조사 국장, 법전편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법조인.|생애 및 활동사항 1916년 9월 11일 함경남도 북청에서 출생했다(음력 생년월일은 1916.8.14). 호는 청곡(靑谷)이다. 1930년 3월 강원도 원주군 문막보통소학교, 1937년 3월 경성법정학교, 1939년 3월 니혼(日本)대학 전문부 법과를 졸업했다. 1...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현대사
  • 윤길중 尹吉重
    1916년 8월 14일 함경남도 북청군 ~ 2001년 10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변호사이다. 호는 청곡(靑谷)이다. 니혼 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ㆍ행정 양과에 합격하여 전남 강진군과 무안군 군수, 조선총독부 상무국 사무관을 지냈다. 해방 이후 국민대학 교수, 입법의원 전문위원, 총무과장, 중앙...
    도서 위키백과
  • 윤길중 (탁구 선수)
    1990년, 1994년 아시안게임에서는 국가대표 전임지도자로 활동했다. 동아증권과 현대시멘트 실업팀 감독을 역임했다.
    도서 위키백과
  • 사회대중당 社會大衆黨
    발표하였다. 이어 6월 17일 시내 삼일당에서 창당준비위원 대표자대회를 열어 집단지도체인 총무위원회를 두고, 대표총무위원에 서상일(徐相日), 간사장에 윤길중(尹吉重)을 선출하였다. 7·29총선거에 임하여 민의원에 129명과 참의원에 6명의 후보를 공천하여 민의원에 4명, 참의원에 1명이 당선되었다. 총선거가 끝난...
    시대 :
    현대
    설립 :
    1960년 5월 13일
    성격 :
    정치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61년 5월 22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공화구락부 共和俱樂部
    반공적 입장에서 반대하고 기성 정당의 이념에 대해서 개혁적인 성향을 띠고 있었다. 무소속구락부 중심 인물은 조헌영, 김광준, 곽상훈 등 재선의원과 윤길중, 오위영, 정헌주, 엄상섭 등 소장층이었다. 조헌영은 납북되고 김광준, 곽상훈 등 재선의원은 1951년 민우회와 순무소속의원으로 흡수되었고, 공화구락부의...
    시대 :
    현대
    설립 :
    1950년 11월 23일
    성격 :
    정치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 헌법기초위원회 憲法起草委員會
    김효석(金孝錫)·이청천(李靑天)·김상덕(金尙德)·김병회(金秉會) 등이 선출되었다. 전문위원으로는 유진오(兪鎭午)·권승렬(權承烈)·노용호(盧龍鎬)·윤길중(尹吉重)·고병국(高秉國)·한근조(韓根祖)·차윤홍(車潤弘)·임문환(任文桓)·노진설(盧鎭卨)·김용근(金龍根) 등이 선임되었다. 헌법기초위원회는 1948...
    시대 :
    현대
    성격 :
    위원회
    유형 :
    제도
    시행일 :
    1948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진보당사건 進步黨事件
    지지를 얻어 이승만과 자유당의 장기집권과 독재체제에 커다란 위협이 되었다. 진보당사건은 이러한 정치적 배경하에 1958년 1월 12일 진보당 간사장 윤길중 등 5명의 간부가 경찰에 검거되고, 이어 15일에는 조직부장 김기철 등 4명의 간부가 추가구속됨으로써 확대되었다. 사전에 피신했던 조봉암은 간부진이 모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진보당사건 進步黨事件
    있다.”는 ‘국가보안법 위반 피의사건 인지보고’를 하였다. 1958년 5월 2일 민의원 총선거를 4개월 앞둔 1958년 1월 12일 서울시 경찰국은 조규희, 윤길중, 김달호, 이동화 등 진보당 간부들을 체포하고, 1월 14일에는 조봉암을 국가보안법위반 혐의로 체포하였다. 서울시 경찰국은 1958년 1월 24일 서울 지방검찰청에...
    시대 :
    현대
    발생 :
    1958년 1월 진보당 위원장 조봉암 등 검거
    성격 :
    정치탄압 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2011년 1월 20일 대법원 조봉암 무죄판결 선고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인물/단체 :
    조봉암, 양이섭, 진보당
  • 민주자유당 民主自由黨
    위원을 총재 겸 대통령후보로 선출했다. 이후 이종찬 의원의 탈탕과 9월 18일 노태우 대통령의 탈당 선언, 10월 9일 박태준 의원의 탈당, 10월 13일 채문식·윤길중 고문 등 15명의 탈당, 10월 14일 박철언 의원을 비롯한 5명의 의원이 민자당을 떠나는 등 혼란이 있었으나, 12월 18일 제14대 대통령선거에서 김영삼후보...
  • 헌법기초위원회 憲法起草委員會
    이종린·이청천·이훈구·정도영·조봉암·조헌영·최규옥·허정·홍익표 등이 선출되었다. 전문위원에는 고병국·권승렬·김용근·노용호·노진설·유진오·윤길중·임문환·차윤홍·한근조 등이 선임되었다. 이들 헌법기초위원과 전문위원은 1948년 6월 3~22일 16차례의 회의를 통해 전문 10장 102조의 헌법안을 초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김정식 金正植
    영주군에 대한청년단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국회의원 당선 후 공화민정회(共和民政會) 소속으로 활동하던 중 의원비행 규탄사건을 계기로 박순천, 윤길중 등과 함께 탈당 성명을 발표했고, 이후 자유당에 입당해 문화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국회 문교위원 소속으로 1951년 11월 일제강점기 식민지 정책을 위해...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