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맨눈 해부학 (관련어 육안해부학) Gross anatomy
    맨눈 해부학(gross anatomy) 또는 육안 해부학은 가시적 또는 거시적 수준에서 해부학을 연구하는 것이다.서적 인용서적 인용 육안해부학에 대응하는 분야는 현미경적 해부학을 연구하는 조직학 분야이다. 인체나 다른 동물의 총체적인 해부학은 유기체의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여 해당 구성 요소의 역할과 생...
    도서 위키백과
  • 해부학 解剖學, anatomy
    의해 형성되고 제한받기 때문에 해부학은 생물학 전반에 대해 가장 기본이 되는 분야이며, 형태학 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해부학은 보조적인 기구 없이 육안으로 구조를 연구하는 육안해부학, 현미경을 사용해 미세구조를 연구하는 현미경해부학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현미경해부학은 다시 대상 생물체의 수준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문
  • 신경해부학의 역사
    구멍(Foramen of Magendie)’라 부른다. 부르다흐(Karl Friedrich Burdach, 1776∼1847년)는 프러시아의 수도였던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해부학 교수로 있었으며 신경해부학육안해부학의 시대에서 현미경을 사용하는 시대로 넘어가던 과도기의 시점에서, 그 이전까지의 모든 업적을 정리한 뛰어난 저술 『Vom Baue und...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조직학의 역사
    비엔나로 이어져 이제는 독일이 그 주체가 되었다. 독일에서 조직학이 동시에 갑자기 발전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해졌다. 그것은 기술의 문제였다. 육안해부학은 칼과 흔히 사용하는 다른 도구들의 도움으로 발전했으나 미세해부학에서는 일련의 정교한 기구와 그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의 계발이 필요하였다. 19...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해부법령의 제정
    해부실습을 제한하고 규정하는 법령의 제정은 영국에서 유럽 전역과 미국으로 전파되었다. 18세기는 네덜란드학파와 이탈리아학파의 해부학이 절정을 이룬 시기였다. 그러나 대부분 육안 해부학에 치중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유럽의 역사에서 매우 역동적인 시기는 19세기였다. 제너는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을...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해부학 解剖學, anatomy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로 의학 분야에서는 인체해부학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맨눈으로 인체 구조를 연구하는 육안해부학과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는 현미해부학으로 구분되는데, 현미해부학 연구는 조직학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역사와 주요 학자 기원전 1600년경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에는 심장...
    분류 :
    의약학 > 해부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해부학 Anatomy, 解剖学
    태아의 해부학적 구조는 발생학, 비교해부학, 계통학웹 인용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해부학은 크게 육안해부학(gross anatomy, 거시해부학)과 현미해부학(미시해부학, microanatomy)으로 구분된다. 이 중 육안해부학은 절개 등의 방법을 통해 별다른 장비없이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학문...
    도서 위키백과
  • 구강해부학 口腔解剖學, oral anatomy
    1910년 전후 서양의학이 도입된 후 비로소 우리나라에서도 체계적 해부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연구 영역 종류 해부학육안 관찰에 의한 구조 연구를 하는 육안해부학(gross anatomy), 현미경으로 구조 연구를 하는 현미경해부학(microscopic anatomy), 인체의 조직과 기관의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발생학...
    분류 :
    의약학 > 치의학 > 구강해부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현미경적 해부학의 발전
    1637년), 코펜하겐(1643년), 알트도르프(1650년), 웁살라(1662년), 파리(1691년), 암스테르담(1691년) 등에서 건립되었다. 특히, 신경해부학은 17세기부터 발전하기 시작했고, 대부분 육안적 관찰에 의한 연구였으나, 17세기 초반 발견된 현미경은 17세기 후반에 실제로 사용되면서 현미경적 관찰이 많이 이루어지기...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신경해부학의 발전
    17세기부터 신경해부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신경해부학은 17세기와 18세기에 육안적인 관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19세기 초반에는 거의 완성되어 신경해부학의 개념이 확립되던 시기였다. 17세기 초반 발견된 현미경은 17세기 후반에 실제로 사용되었고, 19세기에는 특히 뇌 내부의 미세한 구조에 대한 많은 발견...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조직학의 발전
    전쟁이 벌어지면서 정체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8세기와 19세기 초의 해부학 발전은 북이탈리아, 파리, 런던, 비엔나로 이어졌고 이후 독일이 주도적으로 학문...과학이 만나면서 보다 미세한 영역의 관찰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육안해부는 칼과 흔히 사용하는 해부 도구들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였으나 미세해부는...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독일의 실험실 의학과 현대의학의 태동
    비교해부학을 베를린에서 가르쳤다. 훗날 독일 근대의학을 발전시킨 슈반, 헨레, 피르호, 헬름홀츠 등이 그의 제자들이다. 슈반은 1838년 식물학자이던 슐라이덴과 함께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을 발표하고 세포가 블라스템이라는 단백질에서 생긴다고 주장하였다. 1854년에는 피르호(Rudolf Carl...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