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육구
    육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육구(肉灸)는 뜸을 가리키는 한의학 용어이다. 육번뇌구 6구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오장육부 五臟六腑
    본 뜻 사람 뱃속에 있는 다섯 가지 내장을 오장이라 하는데 간장(肝臟), 심장(心臟), 비장(脾臟), 폐장(肺臟), 신장(腎臟)을 가리킨다. 육부는 뱃속에 있는 여섯 가지 기관으로 담(膽), 위(胃), 대장(大腸), 소장(小腸), 삼초(三焦), 방광(膀胱)을 가리킨다. 바뀐 뜻 뱃속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형 :
    한자어
  • 중국 삼국시대, 관우의 죽음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촉의 형주 경영의 중심지는 강릉(江陵)에 있었고, 유비와 손권의 타협으로 나누어진 오나라측의 형주 경영 중심지는 육구(陸口)였다. 이때 육구에는 오나라 명장 여몽(呂蒙)이 버티고 있었다. 관우는 동쪽의 육구와 맞닿아 있으면서도 조조가 있는 북쪽 중원도 노리고 있었다. 조조 세력의 남방...
  • 강아지 관련 용어
    빠지고 새로 나는 시기로, 계절의 기온변화에 의해 일어난다. 10~11월경 생겨난 언더코트는 겨울털이 되었다가 4~5월경 빠지기 시작한다. 패드 발바닥의 육구. 다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완화시키는 쿠션 역할을 하며 미끄러짐 방지 효과도 있다. 늑대발톱 개의 다리에 있는 발톱으로 퇴화된 엄지 부분에 있다. 오래 전...
  • 수형도위 水衡都尉, 水衡都尉
    때에는 폐지되고 소부로 흡수되었다. 속관은 다음과 같다.col-4 상림: 승 4명을 두었다. 어수: 위 2명을 두었다. 집탁(輯濯) 종관: 오수전을 주조하였다. 육구(六厩) 변동 수사공(水司空) 도수 감천상림 기교 · 육구는 성제 때 각각 종관과 태복에 합병되어 폐지되었다. 반고, 《한서》 권19상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上
    도서 위키백과
  • 히라미츠 히나타
    치마 뒤가 뾰족뾰족한 테일코트 형태로 되어 있다. 짧은 흰색 장갑에 허벅지까지 오는 갈색 사이하이삭스에 노란색 구두를 신고 있다. 사용 기술 푹신 실드 육구가 그려진 배리어로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프리큐어 공용 기술. 빔 힐링 스틱에서 노란색 빔을 발사한다. 큐어 스캔 힐링 스틱으로 적을 스캔하는 기술으로...
    도서 위키백과
  • 여몽 Lü Meng, 呂蒙
    건너 조인을 격퇴하고 남군에 깃발을 꽂았다. 돌아와 편장군에 심양현령(尋陽―, 지금의 후베이성 황메이 현)을 겸하였다. 210년 주유 사후 그 뒤를 이은 노숙이 육구(陸口)로 가던 길에 혹자가 이르기를, ‘여몽의 공명이 나날이 높아져 예전같이 대해서는 안 된다’며 꼭 들렀다 가라 하므로 그렇게 하였다. 한창 술로...
    도서 위키백과
  • 그리지와 레밍스 Grizzy & the Lemmings, グリジーとレミングス
    온 신선한 연어, 초콜릿, 코코넛, 암곰 등을 좋아한다. 그러나 집이 만리장성 으로 날아가며 암곰을 만날 수 없게 된다. 특이하게도 윗발에는 육구와 발톱이 있는데 뒷발에는 육구와 발톱이 없다. 레밍들의 전체 횟수가 약 40마리 정도이며 1인당 모두 크기가 약 10cm 정도인데 레밍들이 서로 합쳤을 때 그리지와 크기가...
    도서 위키백과
  • 지바냥 Jibanyan, ジバニャン
    때문에 푸퉁화로는 地缚猫, 광둥어로는 地縛喵,중화민국 궈위로는 吉胖喵, 吉胖貓라고 한다. 냐KB(한국판은 냥이핑크)와 초코바를 좋아한다. 아마노 케이타가 자주 불러내는 바람에 싸움에서 자주 밀릴 때가 많다. 또한 요괴한테 자주 씌이는 일도 많다. 주 기술은 백렬육구가 있다. 요괴워치 (등장인물 목록)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1408호)
    조계종의 근본경전으로 반야심경과 함께 가장 많이 읽히는 경전이다. 고려 충렬왕 31년(1305) 청주 원흥사(元興寺)에서 개판된 점이 주목되는데, 곧 원흥사의 육구(六具), 박지요거사(朴知遙居士) 등이 발원한 사찰판이다. 이는 1377년의 흥덕사(興德寺) 간행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이전에 간행된 판본...
    도서 위키백과
  • 학보 郝普, 郝普
    이 해에 손권은 유비가 반환을 주저하고 있던 장사·영릉·계양의 3군에 태수를 파견하였는데, 관우는 이들을 쫓아내었다. 이에 손권은 친히 군세를 이끌고 육구(陸口)에 주둔하였고, 노숙을 파구(巴丘)에 주둔시켜 관우를 포위하였으며 여몽에게 3군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장사군과 계양군은 바로 항복하였으나, 영릉군...
    도서 위키백과
  • 괄목상대
    그런데 경은 왜 노력을 안 하는가?” 여몽이 비로소 학업에 열중해 그 경지가 옛 학자들을 뛰어넘었다. 210년(건안 15년) 주유 사후 그 뒤를 이은 노숙이 육구(陸口)로 가던 길에 혹자가 이르기를, ‘심양현령(尋陽―, 지금의 후베이성 황메이 현) 여몽의 공명이 나날이 높아져 예전같이 대해서는 안 된다’며 꼭 들렀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