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효성 validity[1] 정확성 특히 반복적인 결과가 옳은 결과에 대해 근접하는 정도. [2] 건실성, 정당성, 효율성 등에 대한 상대적인 척도. [3] 임의의 wff가 가능한 모든 해석을 통해서 참값을 유지시킬 경우의 wff. [4] 데이터의 정확성을 의미하며 쓸모없는 갱신으로부터 데이터 베이스를 보호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 분야 :
- 인공지능, 데이터 베이스
-
유효성 검사 validity check비트 구성인가 어떤가를 체크하는 경우이다. 이를테면, 어떤 컴퓨터가 4비트로서 한 자리의 숫자를 표현한다고 하면, 아래 표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경우는 유효성 검사에서 오류로 인식된다. 이 밖에도 뜻을 갖지 않는 데이터를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세 자리의 숫자로서 연간의 날짜 수를 표현할 때, 369...
- 분야 :
- 소프트웨어 기초
-
유효성 척도 MOE, measure of effectiveness시스템의 수행 결과를 판정하는 기준으로서, 유효성 척도의 선정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시스템의 유효성을 측정할 수 있을 것, ② 정량적일 것, ③ 통계학적 의미에서 효율성이 있을 것. 즉, 비교적 분산이 작고 충분한 정확성을 가져야 된다. 예를 들면, 경영 시스템에서의 경비, 군사 시스템에서...
- 분야 :
- 시스템 프로그램
-
정밀화학안전유효성시험원수행직무 정밀화학제품의 안전성·유효성 실험을 위한 시약·기기·장비를 관리한다. 정밀화학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실험 평가를 준비하고 안전성 평가과 유효성 평가 실험을 수행한다. 일반독성시험, 인체첩포시험, 이화학시험, 미생물 시험, 효력 시험을 실시하며 실험결과를 확인하고 정리한다. 인체 자극에 대한...
- 교육수준 :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분석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1542]화학공학 시험원
- 표준직업분류 :
- [2322]화학공학 시험원
- 표준산업분류 :
- [C203]비료, 농약 및 살균, 살충제 제조업 / [C204]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 조사연도 :
- 202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정밀화학안전성유효성연구원수행직무 정밀화학제품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 동향을 조사·분석하고 안전성·유효성 연구에 대한 중·장기계획(로드맵)의 수립과 안전성·유효성 연구 계획 및 목표를 설정한다. 효력 시험방법 설정과 미생물 시험방법 설정 등 안전성·유효성 평가방법을 개발하고 데이터 통계분석 등 안전성·유효성 평가 결과의...
- 교육수준 :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 숙련기간 :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종합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1541]화학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표준직업분류 :
- [2321]화학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표준산업분류 :
- [C203]비료, 농약 및 살균, 살충제 제조업 / [C204]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 조사연도 :
- 202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유효성 추정 원칙 [미국] 有效性推定原则, presumption of val..무효로 확정되기까지의 특허는 유효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원칙. 미국 특허법 제282조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특허청의 심사를 거쳐 등록된 특허의 유효성을 추정하도록 하고 해당 특허의 무효를 주장하는자에게 무효의 입증책임을 부담시키기 위한 것임.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유효성 검사 有效性檢査, validity check①문자 표시의 정확도에 대한 검사. ②이미 알려진 합리적인 자료의 한계나 계산된 결과에 바탕을 둔 검사 기법. 사람이 일주일에 400시간 일할 수 없다거나, 한 달이 32일이 될 수 없다거나, 시간제 고용자가 주당 350달러 이상의 순수입을 지급받기 힘들다거나 하는 것 등이 있다.
-
유효성 척도 有效性尺度, measure of effectiveness시스템 수행 결과의 만족도를 판단하는 기준. 유효성 척도의 선정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시스템의 유효성을 측정할 수 있을 것. ㉡정량적일 것. ㉢통계학적 의미에서 효율성이 있을 것. 즉 비교적 분산이 작고 충분한 정확성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