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안 해저유물 泰安 海底遺物개설 태안 해저유물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1980년대 초이다. 1976년에 신안 해저유물이 출토된 후 어민들의 신고에 따라 수중 탐사를 실시하였는데 태안반도 일대에도 유물이 산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침몰 선박을 찾지는 못하였고, 도자기 150여 점만이 수습되었다. 2007년 대섬 앞바다에서 주꾸미...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물품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남원시의 유물·유적·관광삼국시대 이래 남부내륙지방의 행정·경제·교통·군사상 중심지로 유물·유적이 많다. 세계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24, 사적 6, 중요무형문화재 1, 민속자료 3, 천연기념물 2)와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6, 무형문화재 8, 기념물 8, 민속자료 5), 문화재자료 29점이 있다. 아영면 청계마을 주위에...
-
청원 전 박장군 묘 출토 유물 淸原 傳 朴將軍 墓 出土 遺物개설 1980년 4월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후곡리노계산의 대청댐 수몰지역 내에 있던 전(傳) 박장군 묘에서 출토된 33점 일괄유물로 1981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며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박장군 묘라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묘에서 출토된 것이므로 연대가 확실하지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공주시 유물·유적·관광16, 보물 18, 사적 7),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31, 기념물 19, 민속자료 2, 무형문화재 4), 문화재자료 33점이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으로는 소학동 일대의 구석기시대 유물이 있으며 장기면 장기리의 구석기 유적과 탄천면 남산리의 기반식고인돌, 반포면 상신리의 선돌과 탄천면 송학리 독무덤 등 청동기시대...
-
합천군의 유물·유적·관광군내에는 세계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국보 3, 보물 19, 사적 및 명승 3,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34, 민속자료 1, 기념물 16), 문화재자료 43점이 있다. 신석기시대 유적이 봉산면 봉계리와 대양면 대목리 등지에서 발견되어 이 시기부터 인간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 합천군은...
-
춘천시의 유물·유적·관광자료 10점, 등록문화재 3점이 있다. 각종 선사시대 유적들을 통해 춘천분지에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봉의산 기슭에서는 신석기시대 유물과 함께 혈거유지(穴居遺址,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호)가 발견되었으며, 의암호 가운데에 있는 중도(中島)에서는 빗살무늬토기가 발견되었다. 서면...
-
신안 해저유물 新安 海底遺物추진되었다. 1977년 5월문화공보부에 의해 발굴조사단이 조직되고, 해군으로부터 51전대 소속의 함정과 해저구조대요원들로 구성된 지원단이 참가해 합동으로 유물의 인양과 해저 유적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매년 여름에 2개월 내지 4개월에 걸친 발굴이 연차적으로 계속되었다. 1982년부터는 이 유물들을 적재해온...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천안시 유물·유적·관광문화재(국보 1, 보물 9, 사적 1, 천연기념물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7, 기념물 12,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27점, 등록문화재 60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물·유적으로는 1963년 두정동에서 발굴된 움집·돌칼·돌도끼, 1965년 봉명동에서 발굴된 민무늬토기·돌도끼·붉은간토기, 성남면 봉양리에서 발굴된 간...
-
충주시 유물·유적·관광소나무와 아울러 관아 공원 내에 수령이 500년이나 되는 느티나무가 있으며,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된 전통 무술인 '택견'이 전수되고 있다. 또한 유물·유적과 더불어 탄금대(彈琴臺:충청북도 기념물 제4호)와 충주8경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 이래 중원문화권을 형성하는 역사의 고장이며, 남한강의...
-
의원군 이혁 일가 묘 출토 유물 義原君 李爀 一家 墓 出土 遺物묘의 이장 과정에서 능창대군 이전(李佺) 묘, 의원군 이혁과 그의 부인 안동권씨 부부묘, 그리고 이연응의 묘에서 복식 · 서간(書簡) · 지석(誌石) 등 유물 130종 181점이 출토되었다. 형태 및 용도 능창대군의 묘에서는 보공품(補空品)이었던 망건(網巾)이 출토되었다. 의원군의 묘에서는 염습의 12종 26점, 염습제구...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통영시 유물·유적·관광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3, 사적·명승 5, 천연기념물 5, 중요민속자료 2, 중요무형문화재 7),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4, 기념물 11,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10점, 등록문화재 5점이 있다. 조선시대 통제영이 있었고 임진왜란 당시 격전지로서 이순신과 관련된 유적지가 많다. 선사시대 유적으로 욕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