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원형로 원형원자로(原形原子爐), 原形爐
    상업용 발전로 등의 새로운 노형의 개발에 있어서는 원자로 형식의 선정 또는 피저빌리티 스터디 후 실험로 및 시험로에 의해 미임계 및 임계 실험, 원자로 실험이 추진되고 동시에 재료시험로에 의해 새로운 연료·재료의 조사 실험이 행해진다. 이들의 단계를 거쳐 개발 목표의 원자로에 대한 모든 기능을 갖추고 그를...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원형질연락사 原形質連絡絲, plasmodesma
    현미경으로만 관찰되며 서로 이웃한 식물세포간의 물질들이 이 통로로 직접 이동하게 된다. 원형질연락사는 세포가 분열할 때, 세포 외막을 합성하는 세포소기관인 소포체의 일부가 모세포에서 떨어져 새로 만들어지는 세포벽에 모여 형성된다. 새롭게 만들어진 서로 이웃한 2개의 식물세포는 수많은 원형질연락사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원형직기 原形織機, circular loom
    날실을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원통상으로 배열하고 개구는 원통에 따라서 차례로 행해 씨실을 삽입하는 직기로서 호스의 제직은 이 방식을 따르고 있는데 일반의 천물제직하는 것은 개발단계이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원형 발동기 原形發動機, prototype engine
    새로 설계, 시작되어 아직 소관 관청 등의 정규 형식 승인 시험을 받지 않은 발동기.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원형질사 原形質絲, plasmomite
    플라스모솜과 더불어 세포의 과립간 물질을 만드는 미세한 원섬유.
  • 문화원형
    지배하고 순화시키면서 자신의 이상을 실현해 가는 과정에서 얻어낸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사회, 경제와 같은 모든 산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또한 원형(原形, originality 또는 archetype)은 고유성과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디 모양'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문화원형'은 민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도서 위키백과
  • 란타넘 Lanthanum
    란타넘 계열 원소의 원형(原形)인 은백색 금속으로 연성과 전성이 있으며, 부드러워 칼로 자를 수 있다. 란타넘은 1839년 카를 구스타프 모잔더가 산화물(란타나)로서 발견해 산화세륨(세리아)과 구분했다. 란타넘은 희토류 광물 모나자이트와 배스트뇌사이트에서 산출된다. 상업적으로는 질산란타넘암모늄을 결정화시켜...
    분류 :
    란타넘족
    원자번호 :
    57
    원소기호 :
    La
    상태 :
    고체
    원자량 :
    139
    녹는점 :
    920℃
    끓는점 :
    3,464℃
    원자가 :
    3
    전자배열 :
    2-8-18-18-9-2 또는 (Xe)5d6s
    비중 :
    6.166(25℃)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과학 일반
  • 스프링클러 시스템 sprinkler system
    원형(原形)은 1800년경 영국에서 개발되었는데, 줄로 연결된 평형추에 의해 닫혀 있는 여러 개의 밸브가 장치된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줄에 불이 붙어 끊어지면 밸브가 열리게 된다. 19세기의 건물에는 수동장치를 주로 사용했다. 이 장치는 유사시에 수동으로 한꺼번에 열 수 있는 꼭지들로 이루어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의림지 義林池
    하였다. 단면이 이중의 사다리꼴을 이루고 외면은 석재로 보강하였다. 출수구는 본래의 자리가 원토인 석비레층으로 그 위에 축조되었던 것이나 지금은 원형(原形)이 사태로 말미암아 없어지고 패어나간 흔적만 남아 있다. 이 제방은 신라 진흥왕 때 우륵(于勒)이 처음 쌓았다고 하고 그 뒤 약 700여 년 뒤에 박의림...
    시대 :
    고대/초기국가
    유형 :
    유적
    분야 :
    경제·산업/산업
  • 해서 楷書
    그 대표적 서가로는 구양순(歐陽詢) · 우세남(虞世南) · 저수량(褚遂良) · 안진경(顔眞卿) · 유공권(柳公權)을 들 수 있다. 북위해는 예서에서 해서로 옮겨지는 과도기적 형태로 방필 위주의, 아직 예서에서 탈피되지 않은 원형(原形)의 해서이며, 당해는 숙달되고 규구가 짜임새 있게 틀이 잡힌 해서이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서예
  • 조남리 지석묘 鳥南里 支石墓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나 북쪽의 지석은 상석 아래에 깔려 보이지 않는다. 상석의 전체적인 형태는 장방형이고, 장축방향은 동­서이다. 상석은 대체로 원형(原形)을 유지하고 있으나 가운데 일부분에는 최근에 깨어진 흔적이 있다. 상석 윗부분에는 직경 5∼9㎝, 길이 2.5∼5.0㎝의 성혈(性穴)이 22개 있다. 시흥지방에서...
    시대 :
    선사/청동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브래그 Sir William (Henry) Bragg
    실제 실험교육에 필요한 모든 장비들을 스스로 만들었다. 초기의 이 훈련 덕택으로 나중에(1912) 영국으로 돌아간 뒤 현대의 모든 X선과 중성자 회절계의 원형(原形)인 브래그 이온화 분광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분광학). 이 기구로 X선 파장과 결정체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실험들을 해냈다. 브래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생 :
    1862. 7. 2, 잉글랜드 컴벌랜드 위그턴
    사망 :
    1942. 3. 12,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