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TTA 표준TTA는 정보통신 산업과 기술진흥, 국민경제 발전을 목표로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34조에 근거하여 1988년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ICT 표준화 및 시험인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정보통신표준화위원회’에서는 통신망, ICT융합, 정보보호, 소프트웨어, 방송, 전파통신, 지능정보, 이동통신 등의 분야에 대한 TTA 표준...
-
표준화기구표준을 제정하는 ICT 표준화기구는 대한민국의 TTA를 비롯해 전 세계에 100개가 넘게 존재하고 있다. UN 산하의 ITU, 유럽의 ICT 표준화기구인 ETSI, 기업 및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포럼 ・ 컨소시엄인 IEEE, IETF, W3C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각 ICT 표준화기구는 자체 절차와 규정에 따라 표준문서를 제정한다...
-
악양 들녘 감아 흐르는 우리 시대의 전설이 글은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의 배경인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찾아가 현장을 답사하고 작품을 비평한 글이다. 박경리의 토지는 1969년부터 1994년까지 만 25년에 걸쳐 5부로 완성된 대하소설이다. 구한말부터 일제 강점기, 광복에 이르기까지의 파란만장한 민족 근대사를 배경으로 하여 민중들의 삶의 역정...
-
데이터 융합, 인공 신경망 ANN, 人工神經網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세부 방법론 중 하나로, 신경 세포인 뉴런(neuron)이 여러 개 연결된 망의 형태이다. 구조 및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가장 일반적인 인공 신경망은 한 개의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다수의 은닉층(hidden layer)이 있는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이다. 인공...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많은 정보들이 온라인 뉴스 기사, 기술문서, 도서, 전자 우편(e-mail) 메시지, 마이크로 블로그(micro-blog), 누리소통망 서비스(SNS) 및 웹페이지와 같은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된다. 이렇게 공개된 다양하고 풍부한 텍스트 정보에서 특정 주제와 관련한 부분을 뽑아 의미를 분석하고 사회 현상이나 여론의 경향 등...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온톨로지 Ontology온톨로지는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형이상학(Metaphysics)의 한 분야인 존재론(ontology)을 기반으로 실재(reality)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추구하는 철학에서 유래한다. 온톨로지를 정보 시스템에 사용하게 된 것은 1980년대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AI 구축의 핵심 요소로 지식...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질의 언어 QL, 質疑言語질의 언어는 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생성, 접근, 수정하거나 삭제할 때 사용한다. 초기 질의 언어는 매우 복잡하였으나 최근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자연어 처리(NLP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등의 기술을 사용한 음성 기반의 자연어 질의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보다 유연하고 사용하기 쉬운...
-
데이터 관리, 구조화된 질의 언어 SQL, 構造化質疑言語일반적으로 기업 등 조직은 조직 내에서 생산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시스템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호출하거나, 수정하고 삭제하는 데에 구조화된 질의 언어(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를 사용한다. 구조화된 질의 언어는...
-
데이터 융합, 인공지능 AI, 人工知能인공지능은 사람 또는 동물의 지능이 컴퓨터로 모사될 정도로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기반을 두며 지능에 대한 정의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정의한다. 1950~60년대 초창기의 인공지능 연구는 정리(theorem) 증명과 게임 등의 분야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으나, 이후 과도한 기대에 따른 실망과...
- 참고 :
-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는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Dartmouth College)에서 열린 워크숍 제안서에서 존 매카시(John McCarthy)가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분산 파일 시스템 DFS, 分散-분산 파일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원격으로 데이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의 가용성(data availability)을 향상하고,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중복하여 저장함으로써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단일 서버 환경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복구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
데이터 관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 關係型-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1970년대 IBM의 에드거 F. 커드(E. F. Codd)가 제안한 관계형 모델(relational model)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관계형 모델은 실제 세계의 데이터를 수학적 논리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행(row)과 열(column)로 표현한 표(table)와 행과 열의 상관관계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 표 :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