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용두 용두동(龍頭洞), 龍頭
    동대문구 용두동・제기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예전에 마을을 감싸고 있는 산의 모습이 용의 머리와 같이 생겼다 하여 용머리・용두리라고 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제기동과 용두동의 접경지역으로 예전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이 있던 곳을 말한다. 현재 37번지 21호 앞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북바위...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속단 남초, 續斷
    잎 마주나고 길이 10~13cm, 나비 8~10cm인 심장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이고 둔한 톱니가 있다. 뒷면에 잔털이 나 있으며 잎자루는 길다. 꽃 7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붉은색으로 피는데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에 4~5개씩 층층으로 돌려나와 전체가 커다란 원추 꽃차례를 이룬...
    학명 :
    Phlomis umbros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지의 습지나 숲속
    번식 :
    분근·씨
    약효 부위 :
    줄기·뿌리
    생약명 :
    속단(續斷)
    키 :
    1m 정도
    과 :
    꿀풀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달고 떫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줄기·뿌리 4~6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용두 동대문구청
    동대문구 용두동 47-1번지에 있는 지하철 2호선 신설동~성수간 지선의 역 이름이다. 2005년 10월 20일에 운행을 개시하였다. 용두동 동명을 따라 역 이름을 붙였으며, 인근에 동대문구청이 있어 병기하였다.
    유형 :
    시설명
  • 용두 龍頭
    유물설명 용머리 모양으로 만들어 용마루나 내림마루 끝에 설치하는 장식기와로, 화마(火魔)를 막고자하는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다.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47.0cm, 가로: 16.0cm, 높이: 36.0cm
    재질 :
  • 산토끼꽃 (동의어 용두) 남초(南草), 山토끼꽃
    잎 마주나며 줄기 밑 부분의 잎은 깃처럼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잎자루가 길고 날개가 있다. 갈라진 조각은 밑에 달린 것일수록 작고 끝의 것이 제일 큰데 길이 6~15cm의 긴 타원형 또는 4각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 위쪽의 잎은 작고 갈라지지 않으며 잎자루가 없다. 꽃 8월에 ...
    학명 :
    Dipsacus japonicus
    분포지역 :
    중부 지방
    자생지역 :
    산과 들의 반음지
    번식 :
    실생·분주
    약효 부위 :
    뿌리·꽃
    생약명 :
    속단(續斷)
    키 :
    1m 정도
    과 :
    산토끼꽃과
    생활사 :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
    9~10월(1년생 뿌리)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6~10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천속단의 뿌리
  • 용두
    용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용두항 용두동 용두리 금동 당간 용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국립대구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당간 용두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의 등장인물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용두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자연환경보전지역, 수산자원보호구역 ㆍ지목 : 기타 ㆍ지자체 개발 계획 : 해당사항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해당사항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없음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해당사항없음...
    면적 :
    8,331m 2
    좌표 :
    34° 45′ 19.26″ N, 128° 17′ 5.09″ E
    해도번호 :
    236
    지번 :
    통영시 산양읍 추도리 산 46
    소유현황 :
    사유(김상조)
    육지와의 거리 :
    8.5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경상남도 ,
  • 용두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농림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개발계획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해당사항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주변...
    면적 :
    14,867m 2
    좌표 :
    34° 16′ 42″ N, 127° 16′ 33″ E
    해도번호 :
    213
    지번 :
    삼산면 초도리 산2941
    소유현황 :
    국유지
    육지와의 거리 :
    83.9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금동 용두 토수 金銅 龍頭 吐首
    형태를 하고 있다. 아래 뿔은 위의 뿔보다 조금 더 길게 뒤쪽으로 뻗어가다가 안쪽으로 말려 있다. 통일신라 때 제작된 경주 안압지(雁鴨池) 출토의 금동제용두(金銅製龍頭)나 경상북도 영주 출토의 금동용두보당(金銅龍頭寶幢) 등과 비교하여 볼 때 사실적인 면이나 역동감이 부족한 느낌이 든다. 또한 주름 등의 세부...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금동당간용두 금동용형당간두, 金銅幢竿龍頭
    개설 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당간(幢竿)이란 절에서 큰 행사를 벌일 때 크고 긴 깃발을 매달아 올리기 위하여 길쭉한 철통을 겹겹이 연결하여 만든 높은 깃대를 말한다. 이 유물은 바로 이러한 당간의 꼭대기를 장식하는 부분이며, 대부분의 당간두는 용머리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내용 이 용형 당간두는 일반적...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용두보살상 龍頭菩薩像
    한 손에 연꽃을 들고 선 여성의 모습이 일반적인데, 옷이나 함께하는 상징물을 바꿔서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를 그림으로 그린 것이 33관음상이며, 용두관음은 그중에서 구름 속을 나는 용의 등에 올라탄 관음보살을 그린 것이다. 용은 용왕의 현신으로 관음보살의 명을 받들고 옆을 지킨다. 관음보살의 표정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불교
  • 금동 용두보당 金銅龍頭寶幢
    하고 그 위에 도금을 한 것이었으나, 현재는 도금이 거의 벗겨져 파란 청록색을 띠고 있다. 불단과 흡사한 장방형 기단 위에 2개의 지주가 있고, 그 사이에 용두가 장식된 당간이 세워져 있는 형태이다. 기단은 하대와 상대에 각각 복련과 앙련이 새겨져 있고 그 사이에 간주가 있으며, 하대와 간주에는 우주와 탱주가...
    문화재 지정 :
    국보(1971.12.21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4건

용두
용두돈대
용두여
용두도
금동 당간 용두
금동 용두보당
금동 당간 용두
금동용두토수
금동 당간 용두
금동 용두보당
백자용두강판
용두도 동쪽
용두여 해도
용두도 해도
용두도 남쪽
용두도 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