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발자전거 unicycles
    바퀴가 하나인 자전거를 이용하여 즐기는 레포츠로 다양한 응용 경기가 가능하다. 외발자전거의 효시는 1866년 ‘Penny Farthing’이라고 불리는 특이한 자전거가 등장한 이후로 본다. 해당 자전거는 앞바퀴가 매우 크고 뒷바퀴는 단순히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했으며 크랭크와 페달이 앞바퀴에 직접 붙어있는 형태였...
  • 이색 자전거 (동의어 외발자전거)
    싱글족의 부러움을 안고 연인이 타는 2인용 자전거 탠덤바이크(tandem-bike)가 있다. 태생이 두 명의 라이더가 힘을 합하여 주행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한강변에서는 주로 남성이 앞에서 끌고 여성이 편히 뒤에 타고 가는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주로 과거 서커스의 대명사 격인 외발자전거(unicycle), ...
    도서 자전거 홀릭 | 태그 취미
  • 외발자전거 (관련어 외발 자전거) Unicycle, 一輪車
    외발자전거는 바퀴가 하나 달린 인력으로 움직이는 기계이다. 외발자전거자전거와 비슷하지만 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1866년에 제임스 스탠리는 페니파딩이라고 불리는 특이한 자전거를 발명했는데, 앞바퀴가 매우 크고 뒷바퀴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이 자전거외발자전거라는 발상을 일으킨 시초로 보는데, 어...
    도서 위키백과
  • Unicycle 외발자전거, 一輪車
    A unicycle is a vehicle that touches the ground with only one wheel. The most common variation has a frame with a saddle, and has a pedal-driven direct drive. Unicycling is practiced professionally in circuses, by street performers, and in festivals and as a hobby. Unicycles have also been used t...
  • 상주 자전거박물관 세상에서 가장 착한 탈것을 만나다!
    용도별 구분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아이와 함께 배워볼 수 있다. '자전거 체험관'에서는 자전거를 탈 때 움직이는 인체 골격을 확인하고, 아슬아슬한 외발자전거 타기 체험을해볼 수 있다. 아빠와 함께라 무섭지 않은 생애 최초의 운전 연습 아이와 함께 자전거박물관에 왔다면 꼭 자전거를 대여해보자. 6세 이하...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용마로 415
  • 리컴번트 자전거 Recumbent bicycle, リカンベント
    메쉬 안장은 미국에서 인기가 있다. 최근에는 미국이나 유럽 공히 카본으로 성형한 안장을 가장 많이 쓴다. 비싸긴 하지만 확실히 가볍고 좋다. 삼륜차 외발자전거 서적 인용 Fastest Bicycles: Top Speed and One Hour Performances List - updated frequently Fastest Bicycles (HPVs) Ever - beyond 50 mph (80 km/h...
    도서 위키백과
  • 자전거 타기 Cycling, サイクリング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등을 위해 자전거를 타는 것을 말한다. 사이클을 이용하여 속도를 겨루는 것이 자전거 경기이다. 일반적인 이륜 자전거 이외에도 외발자전거나 삼륜, 사륜 자전거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자전거는 19세기에 처음 생겨났고, 현재는 그 수가 약 10억개 정도에 이른다. 많은 지역에서 자전거는 중요한...
    도서 위키백과
  • 국립대구과학관 과학의 신비로 아이들을 유혹하는
    전시장은 어둠 속 정글짐 같은 공간이다. 전시물의 빛 변화를 통해 지구온난화를 몸으로 이해한다. 가장 인기 있는 체험은 '공중외발자전거'다. 무거운 추가 달린 외발자전거를 타고 공중에 설치된 레일 위를 지나는 체험이다. 체험을 통해 아이는 '무게 중심'을 이해하게 된다. 1관이 과학 중에서도 자연과학을...
    위치 :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테크노대로 6길 20
  • 공중곡예 空中曲藝, acrobatics
    고대에 시작된 공중곡예는 그후 장대나 외발자전거, 공, 원통, 줄타기용 밧줄, 트램펄린, 공중그네 같은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1859년에 J.레오타르가 공중그네를 발명하고 찰스 블론딘이 줄타기로 나이애가라 폭포를 횡단하자, 공중 곡예사와 줄타기광대들은 새로이 대중의 관심을 끌게되었다. 공중그네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아크로바틱 체조 acrobatics
    아크로바틱은 고대에 시작된 공중 곡예를 뜻하며 그 후 장대나 외발자전거, 공, 원통, 줄타기용 밧줄, 트램펄린, 공중그네 같은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매트나 지면 위에서 구르기, 몸 비틀기, 재주 넘기, 공중 회전 등의 곡예 동작을 하는 텀블링은 이러한 고대부터 행해지던 맨손 곡예에서 기원했다. 중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 일반
  • 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Lucerium), 國立光州科學館
    360’을 개관하였다. 2019년에 숙박시설, 강의실, 실험실을 구비한 별빛 누리관(교육 숙박동)을 개관하였다. 2020년에 지구 자전축(23.5도)만큼 기울어진 외발자전거 형상의 스페이스 오딧세이를 완공하였고, 별빛 천문대를 완공하였으며, 이동 과학관 루체리움 스타카(star car) 장비를 구축하였다. 2021년에 만지고...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곡예사
    곡예, 그네뛰기, 균형잡기, 근력묘기 등), 기구 또는 도구를 이용한 묘기(밥상돌리기, 훌라후프돌리기, 모자저글링, 검무, 마술 등), 동물을 이용한 묘기(말, 곰, 호랑이, 개 등), 고공묘기(높은 줄 위에 서서 공중회전, 외발자전거타기, 오토바이타기, 그네 옮겨타기 등) 등을 실시한다. 새로운 묘기를 창안하기도 한다.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10년 초과
    작업강도 :
    힘든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균형감각, 웅크림, 손사용, 시각
    직무기능(자료) :
    분석
    직무기능(사람) :
    오락제공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고용직업분류 :
    [4149]기타 시각 및 공연 예술가
    표준직업분류 :
    [2849]기타 시각 및 공연 예술가
    표준산업분류 :
    [R901]창작 및 예술관련 서비스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