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外務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의 수장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 소속되어 있는 중앙부처 중 하나이다. 외무상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선출된다.1948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고 1998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외무상으로 쭉...도서 위키백과
-
-
-
아베 신타로 安倍晋太郞, Abe Shintaro훈련을 받기도 전에 전쟁이 끝나 꿈을 이루지 못했다. 1949년에 도쿄대학을 졸업하고 마이니치 신문사[每日新聞社]의 정치부 기자가 되었다. 1956년 당시 외무상이었던 장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의 개인비서가 되면서 정계에 입문했으며 이듬해 기시가 총리가 되었을 때도 여전히 개인비서로 활약했다. 1958년 중의원...
- 출생 :
- 1924. 4. 29, 일본 야마구치 현[山口縣]
- 사망 :
- 1991. 5. 15, 도쿄[東京]
- 국적 :
- 일본
-
-
-
이노우에 가오루 井上馨, Inoue Kaoru신정부의 중심인물이 되었으며 대장성·공부성·외무성에서 중요한 지위를 역임했다. 1885년 이토가 총리가 되자 이노우에는 연이어 외무상·내무상·대장상을 역임했다. 외무상 재임시에 조약개정(條約改正)을 추진하기 위해 이른바 구화정책(歐化政策)을 채택했으나, 여론의 반대로 물러났다. 또 러일전쟁(1904~05...
- 출생 :
- 1836. 1. 16, 일본 나가토 구니[長門國] 조슈[長州]
- 사망 :
- 1915. 9. 1, 도쿄[東京]
- 국적 :
- 일본
-
오히라 마사요시 大平正芳, Ohira Masayoshi그는 이케다 하야토[池田勇人] 내각의 주요각료로서 1950년대말의 반미운동으로 혼란해진 나라를 안정시키는 데 이바지했다. 제2차 이케다 내각(1962)에서 외무상으로서 한국과 국교를 회복하기 위해 김종필과 교환한 '비밀메모'로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으나 결국 한일회담을 타결시켰으며(1965), 다나카[田中] 내각...
- 출생 :
- 1910. 3. 12, 일본 시코쿠[四國] 가가와 현[香川縣] 도요하마[豊浜]
- 사망 :
- 1980. 6. 12, 도쿄[東京]
- 국적 :
-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