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무부 (관련어 외무상) Ministry of foreign affairs, 外交部
    외무부(外務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또는 외교부(外交部)는 외교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다. 대한민국 외교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일본 외무성 중화민국 외교부 태국 외무부 베트남 외교부 이란 외교부 몽골 외교부 라오스 외교부 ...
    도서 위키백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外務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의 수장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 소속되어 있는 중앙부처 중 하나이다. 외무상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선출된다.1948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고 1998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외무상으로 쭉...
    도서 위키백과
  • 시게미쓰 마모루 重光葵, Shigemitsu Mamoru
    여러 내각에서 외무상으로 일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연합국에 대한 항복문서에 서명한 사람의 하나이다. 도쿄대학[東京大學]을 졸업하고 1911년 외무성에 들어갔다. 1918년 폴란드 대사관에서 근무했으며 유럽에 있는 동안 파리 평화회의에 참석했다. 독일 대사관에서 일한 후 상하이[上海] 총영사에 임명...
    출생 :
    1887. 7. 29, 일본 오이타[大分]
    사망 :
    1957. 1. 26, 유가와라[湯河原]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한일 위안부 협상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韓日慰安婦協商
    피해자 문제의 해결 방안에 합의하고 합의 사항의 이행을 전제로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을 선언했다.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이날 차례로 자국 정부의 입장을 밝히는 형식으로 진행된 공동 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아베 신조 총리의 사죄 △한국 정부 주관으로...
  • 아베 신타로 安倍晋太郞, Abe Shintaro
    훈련을 받기도 전에 전쟁이 끝나 꿈을 이루지 못했다. 1949년에 도쿄대학을 졸업하고 마이니치 신문사[每日新聞社]의 정치부 기자가 되었다. 1956년 당시 외무상이었던 장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의 개인비서가 되면서 정계에 입문했으며 이듬해 기시가 총리가 되었을 때도 여전히 개인비서로 활약했다. 1958년 중의원...
    출생 :
    1924. 4. 29, 일본 야마구치 현[山口縣]
    사망 :
    1991. 5. 15, 도쿄[東京]
    국적 :
    일본
  • 아오키 슈조 青木周蔵, Aoki Shuzo
    체류중인 1873년에 외무성에 들어갔고, 이듬해에는 독일 주재 공사가 되어 1885년까지 재임했다. 이어 외무대보(외무차관), 추밀고문관을 거쳐 1889년에는 외무상이 되었다. 한때 그는 외무경(卿)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및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밑에서, 또는 그 최고 책임자로서 조약개정에 힘썼으나 1891...
    출생 :
    1844. 1. 15, 일본 야마구치[山口]
    사망 :
    1914. 2. 16, 도쿄[東京]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시데하라 기주로 幣原喜重郞, Shidehara Kijuro
    워싱턴 회의(1921) 이후 만주사변(1931) 초기까지 2차례 외무상이 되어 영국·미국과의 협조를 기조로 한 외교정책을 전개했다. 종전 후 미군점령하에서 총리(1945~46)를 역임했다. 1895년에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했으며 이듬해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1915년에 외무차관, 1919년에 주미대사가...
    출생 :
    1872. 8. 11, 일본 오사카
    사망 :
    1951. 3. 10,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조약개정의 움직임
    메이지 정부의 외무상 이노우에는 외국과의 관세조정 및 일본의 법적 지위 향상을 위한 조약개정안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1885년(메이지 18년) 5월부터 조약개정회의를 개최할 단계에까지 다다르고 있었다. 정부에서는 조약개정안의 내용을 일체 비밀에 붙이고 있었으나 그 내용이 민간에게 누설되자 이것은 망국의 조약...
  • 남일 南日
    9월 제1차 내각에서 교육성 부상이 되었다. 6·25전쟁 당시에는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을 맡았으며, 이후 휴전회담에서 북한대표로 활동했다. 1953~67년까지 외무상, 국가건설위원회 위원장, 철도상 등을 역임했다. 1957년 9월부터 1962년 10월까지는 부수상을 겸임하기도 했다. 197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회주의...
    출생 :
    1913. 6. 5, 함북 경원
    사망 :
    1976. 3. 7, 평양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이노우에 가오루 井上馨, Inoue Kaoru
    신정부의 중심인물이 되었으며 대장성·공부성·외무성에서 중요한 지위를 역임했다. 1885년 이토가 총리가 되자 이노우에는 연이어 외무상·내무상·대장상을 역임했다. 외무상 재임시에 조약개정(條約改正)을 추진하기 위해 이른바 구화정책(歐化政策)을 채택했으나, 여론의 반대로 물러났다. 또 러일전쟁(1904~05...
    출생 :
    1836. 1. 16, 일본 나가토 구니[長門國] 조슈[長州]
    사망 :
    1915. 9. 1, 도쿄[東京]
    국적 :
    일본
  • 오히라 마사요시 大平正芳, Ohira Masayoshi
    그는 이케다 하야토[池田勇人] 내각의 주요각료로서 1950년대말의 반미운동으로 혼란해진 나라를 안정시키는 데 이바지했다. 제2차 이케다 내각(1962)에서 외무상으로서 한국과 국교를 회복하기 위해 김종필과 교환한 '비밀메모'로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으나 결국 한일회담을 타결시켰으며(1965), 다나카[田中] 내각...
    출생 :
    1910. 3. 12, 일본 시코쿠[四國] 가가와 현[香川縣] 도요하마[豊浜]
    사망 :
    1980. 6. 12, 도쿄[東京]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히로타 고키 田弘毅, Hirota Koki
    들어갔다. 1926~30년 네덜란드 주재 공사, 1930~32년 소련 주재 대사를 지냈다. 1933~36년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오카다 게이스케[岡田啓介] 내각의 외무상으로서 온화한 대외정책을 주창했으나 군부의 강경방침을 저지하지 못했다. 1936~37년 총리가 되어 일독방공협정을 체결했다. 1937~38년 제1차 고노에 후미마로...
    출생 :
    1878. 2. 14, 후쿠오카[福岡]
    사망 :
    1948. 12. 23, 도쿄[東京]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