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왕룡
    배우 정보 왕룡은 대한민국의 배우 및 영화감독이다. 만화주제가를 불렀다는 기록들이 있지만 근거없는 소문이다. 1971년 용호투금강 1978년 소림사 십대장문 1979년 무림대협 1980년 요사권 1981년 대형출도 1981년 소림사 주방장 1982년 무림사부대행 1982년 무림 걸식도사 1983년 돌아온 소림사 주방장 1986년 외계에...
    도서 위키백과
  • 경주 왕룡사원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慶州 王龍寺院 木造 阿彌陀如來 坐像
    개설 200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왕룡사원 대웅전의 목아미타불좌상(木阿彌陀佛坐像)은 1466년에 조성된 조선 초기의 대표적 불상으로 평가된다. 특히 불상의 복장에서 아미타불조성기와 중수기를 비롯하여 다수의 복장품이 발견되어 조선시대 불교조각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조성기에는...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문화재 정보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慶州 王龍寺院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09년 4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15호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환성사미타삼존조성결원문(還城寺彌陁三尊造成結願文)」을 통해 1466년에 조성역사를...
    도서 위키백과
  • 삼세불상 三世佛像
    공간적인 삼세불을 봉안했다. 이러한 삼세불을 도상화하면 삼세불상이 된다. 내용 조선시대 대웅전의 삼세불상은 현재 상당수 남아 있는 편이다. 예컨대 왕룡사원 삼세불상(1579년), 논산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상(1605년), 동학사 대웅전 삼세불상(1606년), 관룡사 대웅전 삼세불상(1629년), 하동 쌍계사 대웅전 삼세...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상 妙法蓮華經三昧懺法 卷上
    근거하여 상‧중‧하 3권으로 편찬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저자인 산긍은 물론 이 책의 간행 시기 또한 권상만으로는 알 수가 없다. 다행히 2006년 경주 왕룡사원 삼존불상에서 발견된 3권 전권의 동일한 판본을 통해 이 판본이 1326년(충숙왕 13)월산사(月山社)에서 간행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서지적 사항 상권 1책...
    시대 :
    고려후기
    저작자 :
    산긍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519호
    창작/발표시기 :
    고려시대, 고려말기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첩(62절)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국립고궁박물관
  • 경순왕신 敬順王神
    충청북도의 제천 · 청풍, 경기도의 안산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이른다. 경주에서 포항에 이르는 지역의 주민들은 경순왕을 인근의 형산(兄山) 왕룡사원(王龍寺院: 과거의 玉蓮寺)에 신으로 모시고 기원을 드린다. 전설에 의하면, 형산과 강 건너의 제산(弟山)은 원래 연결되어 있어 , 비만 오면 물이 빠지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聞慶鳳巖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腹藏遺物
    주름을 표현하였고, 살짝 굴곡진 가슴 아래로 일자형 승각기가 보이며 양 무릎 위 주름은 뚜렷하게 각진 듯 굴곡이 강하다. 이러한 착의법은 대체적으로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1466년),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1564년 이전) 등과 닮았으나 이들 조각보다 좀더 형식적이고 간결하게 변화된 모습...
    시대 :
    조선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48호
    성격 :
    불상
    유형 :
    유물
    크기 :
    불상 높이 51.5㎝, 무릎 너비 36㎝
    재질 :
    목조
    제작시기 :
    조선, 1586년
    분야 :
    예술·체육/조각
    소장/전승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봉암사
  • 영구와 땡칠이
    촬영부: 이규민 촬영부: 허봉완 조명: 강광호 조명부: 김양현 조명부: 민덕기 조명부: 김태인 조명부: 민덕기 조명부: 조영철 연출부: 김동준 연출부: 김현미 조감독: 고진아 녹음: 김병수 녹음: 이성근 미술: 김유준 소품: 이원우 특수효과: 김득용 특수효과: 왕룡 분장: 송일근 무술감독: 왕룡 협찬: 엠티엠 효과: 양대호
    도서 위키백과
  • 용호쌍권
    영화 정보 "용호쌍권"(The War Between Dragon and Tiger)은 한국에서 제작된 최동준 감독의 1985년 영화이다. 왕룡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화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왕룡 최성식 김영일 이은숙 조명: 손한수 녹음: 김성찬 미술: 김유준
    도서 위키백과
  • 귀문기담
    영화 정보 "귀문기담"(鬼門奇譚, Weird Story)은 한국에서 제작된 최동준 감독의 1983년 판타지 영화이다. 왕룡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화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왕룡 윤도리 김유행 이은숙 조명: 김기수 녹음: 김성찬
    도서 위키백과
  • 디지몬 제볼루션 Digital Monster X-Evolution, デジタルモンスター ゼ..
    이때 주입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알파몬으로 진화한 후의 힘은 압도적으로 오메가몬조차도 능가할 정도. 공식적인 설정으로는 날개나 궁극성진 왕룡검은 오우류몬과의 융합을 하고나서야 생기는 것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날개를 갖고 있었고 궁극성진 왕룡검 또한 어디선가에서 소환했다. 오메가몬 X항체 와는...
    도서 위키백과
  • 소림사 십대장문
    영화 정보 "소림사 십대장문"(少林寺 十大長文)은 한국에서 제작된 김선경 감독의 1978년 영화이다. 왕룡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강대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왕룡 설지연 양위 강전 조명: 조기남 녹음: 김성찬 미술: 김성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8건

경주 왕룡사원
경주 왕룡사원 무량수전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주왕룡사원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부분
경주 형산 왕룡사원 대웅전 목신상
경주 형산 왕룡사원 대웅전 목신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