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재봉 裁縫선(bias線) 대기: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가장자리에 장식을 목적으로 대는 선이다. 이때 바이어스로 말라진 선의 곡에는 가는 코드를 넣기도 한다. ④ 옷고름달기: 옷고름을 유행의 치수에 따라 박아 뒤집은 다음, 오른쪽의 옷고름은 깃머리가 옷고름 너비의 중앙에 오게 놓고 박는다. 왼쪽의 옷고름은 왼쪽 고대 끝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신라와 백제의 마지막 결전, 김유신 vs 계백훗날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았어요. 그래서 그는 김춘추와 자신의 여동생을 맺어 주려 했어요. 어느 날이었어요. 유신은 공을 차며 놀던 도중에 춘추의 옷고름을 고의로 밟아 떼어 버렸고, 이것을 빌미 삼아 집으로 춘추를 초대했어요. “미안하구먼. 우리 집에 가서 옷고름도 달고, 술 한잔 하세.” 유신의 숨은 의도를...
-
-
김춘추 삼국통일의 기초를 다진 영웅김유신은 김춘추를 자기 집에 초대했다. 두 사람은 집 앞마당에서 제기차기를 하며 즐겁게 놀던 중 김유신이 놀이에 열중한 김춘추 옆으로 다가가 일부러 옷고름을 밟아 떨어뜨렸다. 김유신은 그에게 집 안으로 들어가 옷고름을 달자고 했다. 김유신은 첫째 여동생 아해에게 이 일을 시켰는데 아해가 부끄러워하며 사양...
- 출생 :
- 604년
- 사망 :
- 661년
-
삼짇날 풍습제비에게 절을 하고 옷고름을 풀었다 여미는 날 음력 3월 3일은 삼짇날로 이날은 설날(1월 1일), 단오(5월 5일), 칠석(7월 7일), 중양절(9월 9일)처럼 양수(陽數)가 겹치는 좋은 날입니다. 삼짇날은 봄을 알리는 명절인데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고, 뱀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나오기 시작하는 날로 뱀 사(巳) 자를 넣은...
-
사복변제절목 私服變制節目제한하였다. 사복으로 정해진 착수의에는 다른 색의 연(緣)을 달 수도 있는데 연의 폭은 포백척 1촌(寸)으로 제시하고 있다. 7번째 항목부터는 대, 갓끈, 옷고름에 대한 내용을 정한 것으로 대의 남는 부분이 1척(尺)을 넘지 못하게 하고 갓끈과 옷고름 역시 늘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11번째 항목은 상복(喪服)을 입은...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구성이씨, 烏山 駒城李氏·驪興李氏 墓 出土服飾남성의 단령과 비교하여 둥근 깃은 같으면서 짧은 소매와 접선(摺扇)형 무에서 형태 차이를 보이는 옷이다. 구성이씨의 단령형 원삼은 몸판은 운보 문사, 옷고름은 명주로 만든 홑옷으로, 가장 겉에 착장하고 있던 수의이다. 저고리류에는 단저고리와 장저고리, 적삼이 있는데, 겉깃이 모두 목판깃 형태이며 옷품이 매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복 입는 방법(남자)정리한다. 남자 고름 매는 방법 고름은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길을 여며 고정시키기 위해 가슴 위치에서 맺는 길고 짧은 두 개의 끈이다. 남자 저고리는 옷고름을 잘 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안고름 못지 않게 겉고름을 잘 매야 한다. 오른쪽 짧은 고름을 왼쪽 긴 고름 위에 올려준다. 올려 둔 짧은 고름을 긴 고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