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지그릇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린 뒤 위에 오짓물을 입혀 구운 용기.|내용 오지그릇의 ‘오지’는 오자기(烏瓷器)의 준말로 검은빛을 띤 고화도로 구워진 그릇을 칭하는 말이다. 자연유약인 잿물이 입혀진 오지그릇은 가야시대와 신라 초기에 이미 나타나는데 조선시대의 것과 유약 및 강도가 비슷하여서 그 역사가 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오지그릇
    도기의 하나로서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리거나 구운 뒤에 오짓물을 입혀 구운 그릇.|옹기그릇·오자기·오지 등으로도 불린다. 오지그릇은 가야시대와 신라시대 초기에 이미 나타났는데 불투명한 자갈색의 신라 토기와 고려의 유색토기는 이로부터 발전된 것으로 여겨진다. 광택이 적고 투박하지만 견고하고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토기 (동의어 오지그릇) 土器, earthenware
    토기는 인간이 흙·물·불·공기 등을 섞어 만들어낸 인류역사 최초의 합성물이다. 토기는 신석기시대 이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데,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오산리유적에서 토기가 출토되었다. 흙은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이며 물과 섞어 반죽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빚어낼 수 있고, 마른 뒤에도 그 형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푼주
    으깨어서 조금만 기울이면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떡류를 만들어 기름을 빼는 데 이용되어 왔다. 또한 약식이나 떡을 담는 데도 쓰였다. 질그릇이나 오지그릇이 서민들의 식기였다면, 이 푼주는 궁중을 비롯한 양반가의 식기로 쓰여왔다. 푼주가 궁중의 식기였음은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일화를 통해서도 알 수...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용도 :
    식기
    분야 :
    생활/식생활
  • 화로 火爐
    내용 오지 · 무쇠 · 놋쇠 · 곱돌 따위로 만들며 형태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또, 쓰임에 따라 불씨 보존 및 보온을 위한 것, 차를 달이는 것, 난방을 위한 것, 여행 때 가마 안에서 쓰던 수로(手爐) 따위로 나눌 수 있으나 몇 가지 구실을 함께 하는 것이 보통이다. 화로는 본디 화덕에서 비롯되었으며 등듸나 화투...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주생활
  • 방구리
    약간 좁으면서 둥글다. 또한 양쪽에는 손잡이가 붙어 있고 뚜껑은 없으며, 크기는 물동이보다 약간 작다. 이러한 모양의 방구리는 질그릇으로 된 것도 있고, 오지그릇으로 된 것도 있다. 이 중 질그릇으로 된 것은, 가벼운 데다 물건을 오래 담아두면 그릇 자체에서 거무스름한 물이 우러나므로 주로 물을 길어 나르는...
    성격 :
    생활용품, 식기
    유형 :
    물품
    재질 :
    진흙
    용도 :
    음식보관용, 음식운반용
    분야 :
    생활/식생활
  • 돌턴도자기회사 Doulton ware
    존 와츠와 같이 만들어 돌턴앤드와츠사로 알려져 있다가 1858년경에 돌턴사가 되었고 1956년 문을 닫았다. 주로 실용적인 오지그릇과 도기를 만들다가 1871년부터 램베스 예술학교의 학생들이 돌턴사의 솔트 유약을 바른 갈색 오지그릇에 장식을 입히기 시작했다. 학생들의 작품은 장식용 오지그릇에 대한 관심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
  • 옹기 甕器
    질박함이 느껴지는 서민의 다용도 그릇 옹기(甕器)는 삼국 시대 이전부터 만들어 쓴 것으로 짐작되는 우리의 독특한 그릇입니다. 옹기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사람의 손길조차 닿지 않았던 것 같은 원시 그대로의 자연성이 있다'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옹기는...
  • 뚝배기
    내용 크기는 대·중·소의 여러 가지가 있고, 아주 조그맣고 밥공기만하게 만들어 달걀을 쪄 그대로 상에 올리는 알뚝배기도 있다. 뚝배기는 오지그릇으로 된 것도 있고, 질그릇으로 된 것도 있다. 오지뚝배기는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다흑색(茶黑色)의 잿물을 입혀 다시 구워 만든 것으로...
    성격 :
    생활용품, 식기
    유형 :
    물품
    용도 :
    식기
    분야 :
    생활/식생활
  • 은천옹주 Princess Euncheon
    왕족 정보 은천옹주 임씨(銀川翁主 林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28대 왕 충혜왕의 후궁(제 4비)로, 사기옹주(沙器翁主), 오지옹주서적 인용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사기그릇을 팔던 상인 임신(林信)의 딸로, 원래 종실인 단양대군(丹陽大君) 왕후(王珛)의 여종이다. 사기그릇을 팔아 생계를 삼다가 왕의 눈에 띄어...
    도서 위키백과
  • 묘지 墓誌
    標柱形) 등 다양하다. 당시에 지석을 묻는 방식은 묘지의 입지에 의해 두 종류로 나뉘어진다. 묘지가 평지에 있으면 광중(壙中) 남쪽 가까운 곳에 먼저 오지그릇 하나를 묻고, 그 위에 지석을 놓은 다음, 또 작은 오지그릇을 사면으로 둘러 묻어, 먼저 묻은 그릇이 덮이게 만들었다. 또, 묘지가 가파른 산기슭에 있으면...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옹기장 甕器匠
    빚어 건조시킨 다음 불에 구워 만든 그릇이다. 800~900℃ 정도의 저온에서 유약을 바르지 않고 구운 질그릇, 1200℃ 정도의 고온에서 유약을 발라 구운 오지그릇으로 크게 나뉜다. 근대 이후 질그릇의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지금은 옹기 하면 오지그릇을 주로 가리킨다. 국가에서는 1990년부터 옹기장(甕器匠)을...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오지그릇
오지그릇
오지그릇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