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오곡밥 五穀飯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내용 대보름 절식(節食)의 하나이다. 오곡은 곡식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고 또 쌀·보리·조·콩·기장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이르기도 한다. 오곡밥을 찰곡식만 가지고 지으려면 찹쌀·차수수·차좁쌀·붉은팥·검정콩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시루에 쪄낸다. 솥에 지으려면 멥쌀 분량을...
- 성격 :
- 음식, 밥
- 유형 :
- 물품
- 재질 :
- 찹쌀, 차수수, 차좁쌀, 붉은팥, 검정콩
- 용도 :
- 절식용
- 관련 의례 :
- 대보름
- 분야 :
- 생활/식생활
-
-
오곡밥 오곡잡밥식재료 팥 100g(1/2컵), 밤콩 80g(1/2컵), 수수 70g(1/2컵), 차조 80g(1/2컵), 쌀 90g(1/2컵), 찹쌀 90g(1/2컵), 소금 1큰술, 물 (밥 짓는 물+팥 삶은 물) 800mL(4컵) 조리방법 1. 팥은 씻어서 충분히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끓인다. 끓어오르면 물을 따라 버리고, 다시 3컵 정도의 물을 부어 팥알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
- 분류 :
- 주식류 > 밥류 > 잡곡 및 견과류밥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오곡밥과 나물의 조화, 정월대보름 이야기더위 팔기, 다리 밟기, 액막이 연 날리기, 달집 태우기, 쥐불놀이, 줄다리기 등이다. 독특한 음식도 빠질 수 없다. 정월 대보름에는 다섯 가지 곡식으로 오곡밥을 지어먹고 열 가지 나물로 반찬을 만들며 단단한 견과류를 입에 넣고 부럼 깨물기를 한다. 차가운 술을 남녀노소가 함께 마시는 귀밝이술, 솔잎을 깔고 떡을...
-
대보름 상원, 上元일반 세시풍속에서는 여전히 달의 비중이 결정적이었고, 대보름은 바로 그 대표요 상징적인 날로 여겨져왔던 것이다. 한편, 대보름날에는 절식으로서 약밥·오곡밥, 묵은 나물과 복쌈·부럼·귀밝이술 등을 먹으며, 기풍·기복행사로서 볏가릿대[禾竿]세우기·복토(福土)훔치기·용알뜨기·다리밟기·나무시집보내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
Ogokbap 오곡밥Ogokbap or five-grains rice is a kind of Korean food made of a bowl of steamed rice mixed with grains including barley, foxtail millet, millet and soy beans. Ogokbap usually served during the end of winter, especially on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jeongwol daeboreum). In the past, many Kore...출처 영어 위키백과
-
단양군의 식재총 강우량은 882.5㎜이다. 주요농산물은 감자, 고추, 더덕, 마늘, 사과, 수박, 잡곡 등이 있으며 가공식품으로 갈은마늘, 고추장 장아찌, 된장, 버섯 장아찌, 오곡밥, 청국장 등이 있다. 주요 식재 단양육쪽마늘 단양이 석회암 지대라는 지리적 특성, 작토층이 식양토라는 그리고 pH가 마늘 재배에 적합한 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