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손자병법 군쟁편, 고선용병자 피기예기 격기타귀 故善用兵者 避其銳氣 擊其惰歸
    한다. 이는 군대에서뿐만 아니라 어느 조직에서나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손무는 이에 대해 ‘피기예기, 격기타귀(避其銳氣, 擊其惰歸)’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적의 사기가 날카로울 때는 피하고, 적의 사기가 나태해졌거나 사라졌을 때 공격하는 것이다. 타(惰...
  • 모석유고 慕石遺稿
    李守一)에게 화답한 시가 그 대표작이다. 서(書) 가운데 곽재우에게 올린 글은, 국난을 당하여 임금이 피난가게 된 것은 신하들이 불충한 때문이며 왜적의 예기(銳氣)를 기습공격으로 꺾어서 군부에 대한 원수를 갚고자 하니 장군의 지휘를 기다린다는 내용이다. 김응서(金應瑞)와 김덕령(金德齡)에게 답한 글도 역시...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극복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이중석(편집)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연세대학교 도서관
  • 9.28수도탈환 15주년 기념 중앙청과 국기를 게양하는 용사
    수도탈환 15주년이 되는 날이다. 돌이켜 보면 당시에 불리하였던 전세를 만회하고자 전 UN군과 국군은 사력을 다하였으며 특히 수도를 탈환하고 공산군의 예기(銳氣)를 꺾으려고 감행된 역사적인 인천상륙작전은 216척의 대함대와 7만 5천 명의 미 상륙군 및 우리 해병대의 분투로 훌륭한 승리를 거두고 마침내 수도를...
    발행일 :
    1965.9.28
    발행량 :
    1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3원
    디자인 :
    중앙청과 국기를 게양하는 용사
    우표번호 :
    475
    인면 :
    25×37
    천공 :
    13½
    전지구성 :
    10×5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적등색,흐린청록색,암록색
    디자이너 :
    전희한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