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사소송법, 영장주의 잠깐 가주어야 되겠소
    사례 그리 오래지 않은 옛날에 당나귀 귀를 가진 왕이 살았다. 그런데 이를 함부로 발설하는 자는 일급 기밀 누설죄로 처벌받았다. 잡아가는 사람이나 이를 재판하는 사람이나 모두 법대로 할 뿐이라고 하였다. 모두가 무서워 입을 닫고 살아가는데 드디어 어떤 참을성 없는 사나이가 광화문 네거리에서 "임금님 귀는 당...
  • 영장주의
    형사소송법 영장주의(令狀主義)는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구속 등의 강제처분에는 법관의 영장을 받도록 하는 원칙이다. 한국도 영장주의를 따르고 있다. 즉, 강제처분을 함에는 원칙적으로 법원 또는 법관의 사전 영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체포, 구속, 압수 또는 수색에 있어서의 영장주...
    도서 위키백과
  • 형사소송법, 영장주의의 예외 숏다리가 유죄?
    ③ 집주인의 양해를 구하면 된다. 정답 ② 해설 피의자의 구속, 증거물의 압수, 압수를 위한 주거나 신체의 수색에는 반드시 사전에 법원의 영장이 있어야 한다. 영장주의의 원칙 때문이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영장 없이도 구속, 압수, 수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한편에서는 인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영장...
  • 형사소송법, 긴급 체포 얼굴이 비슷한 죄
    나라 형사소송법상 수사 기관이 수사의 필요성 때문에 용의자, 피의자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법원의 구속 영장을 받아야 한다. 이를 '영장주의'라고 함은 이미 설명한 그대로이다. 그러나 예외는 있다. 긴급 체포의 경우가 그렇다. '긴급 체포'는 문자 그대로 사건의 법정형이 사형, 무기 또는 장기...
  • 영장 令狀, warrant
    215조)은 법원 또는 수사기관이 강제처분(구속·압수·수색·검증)을 함에 있어서 법원 또는 법관이 발부한 영장에 의해야 한다는 영장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형사소송법상 영장주의의 원칙이 적용되는 강제처분으로는 ① 피고인구속(제73조), ② 감정유치(제172조 4항), ③ 피고인소환(제73조), ④ 증인의 구인(제155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구속적부심사 拘束適否審査
    기본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인신보호를 위한 중요한 사법절차적 기본권으로 남아 있다. 인신보호를 위한 헌법적 기속원리(羈束原理)로서 사전영장주의가 채택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구속적부심사청구권을 국민의 사법절차상의 기본권으로 다시금 인정하고 있는 것은 영장발부에 대한 재심사의 기회를 마련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별건수사 別件搜査
    아닌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적법성 논란이 있다. 별건에 대한 체포·구속사유가 있으므로 적법한 행위에 해당하지만, 본건 수사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영장주의에 반하는 행위로 판단할 수 있어서다. 법관은 본건이 아닌 별건에 대한 영장심사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본건을 수사하는 것은 영장주의의 근본 취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법
  • 주거의자유 住居─自由
    다르다. 따라서 주택뿐만 아니라 여관·기숙사의 거실도 이에 해당되며, 학교나 회사 등도 그 관리자의 주거가 된다. (2) 주거침입에 대한 영장제도 ① 영장주의:주거에 대한 압수·수색에는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해야 한다. 영장은 정당한 이유에 의하여 권한 있는 법관이 발행한 것이어야 하며, 수색할 장소와...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수사편의보다 시민 권리가 우선 불심검문, 무조건 응해야 한다?
    말이다. 사람을 가두거나 물건을 뒤지는 등 물리력을 행사하려면 법원이 발부한 영장(체포, 구속, 압수, 수색영장)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것이 이른바 영장주의이다. 참고로 경찰이 도로에서 자동차를 세울 수 있는 근거가 있을까. 도로교통법에 나와 있다. 법에 따르면 경찰공무원은 자동차 운전자가 무면허 운전...
    도서 생활법률 해법사전 | 태그
  • 통신비밀보호법 通信秘密保護法
    제11731호까지 16차례 개정되었다. 특히 2005년 개정을 통하여 입법자는 종래 임의수사에 가까운 것으로 취급되었던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취득에 관해서도 영장주의를 도입하여 엄격한 절차를 규정해 놓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국가기관에 의한 감청은 헌법상 보장된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와 통신의 비밀의 침해를 가져온다...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3년 12월 27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구속 拘束
    없는 때에 한하여 구속할 수 있다(제70조 2항). 피고인을 구인 또는 구금함에는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구속영장에 의해야 한다(강제처분영장주의:헌법 제12조 3항, 형사소송법 제73조). 피의자에 대한 구속기간은 사법경찰관이 구속한 경우에는 10일이며(제202조), 검사가 구속한 때나 사법경찰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법
  • 영장 없이 체포하겠다고?
    하고 도망가는 범인을 발견하고도 영장이 없다는 이유로 잡아갈 수 없는 걸까. 피의자를 체포, 구속하려면 법관이 발부한 영장이 있어야 한다. 법은 영장주의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외도 있다. 긴급체포와 현행범 체포다. 긴급체포 긴급체포는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의심되는 피의자를 수사기관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영장주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