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가볼만한 곳44건
-
난고 김삿갓 유적지
-
함백산
-
영월 섶다리 마을
-
김삿갓 계곡
-
강원특별자치도 탄광문화촌
- 서강
-
동강(영월)
- 구봉대산
- 난고 김삿갓 문학관
- 매봉산
- 사자산
-
법흥계곡
-
태화산(강원)
-
요선정·요선암
-
강원 영월 김삿갓면
- 백덕산(영월)
- 한반도 뗏목마을
- 단종역사관
-
내리계곡
-
영월 청령포 관음송
현재 페이지
1
/
총 페이지
5
항목
-
영월군 寧越郡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있는 군. 남서쪽으로는 제천·단양과 접하여 충청북도와, 남동쪽으로는 영주·봉화와 맞닿아 경상북도와 도계를 이루고 있다. 청령포는 조선시대 단종이 유배되었다가 죽음을 당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광천리의 관음송이 단종과 관련된 명소이다. 수려한 자연경관을 아우르...
- 위치 :
- 강원특별자치도 남부
- 인구 :
- 37,260 (2024)
- 면적 :
- 1,127.45㎢
- 행정구역 :
- 2개읍 7개면 177개리
- 사이트 :
- http://www.yw.go.kr/site/executive/page/index.jsp
-
영월군 寧越郡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군. 개관 동쪽은 태백시, 서쪽은 원주시, 남쪽은 충청북도 제천시 · 단양군 및 경상북도 영주시, 북쪽은 평창군 · 정선군 등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 06′∼128° 54′, 북위 37° 01′∼37° 24′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1,127.60㎢이고, 인구는 4만 216명(2015년 현재)이다. 행...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단종의 한이 서린 유형의 땅, 영월 청령포장소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2008년 문화재청에서는 청령포를 명승 제50호로 지정했다. 청령포가 명승으로 지정된 후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고 있다. 영월군에는 청령포 외에도 선돌, 한반도 지형 등이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명승들은 볼거리로 연결되어 활용의 상승효과를 높여주고 있다. 따라서 영월을...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50호
- 소재지 :
- 강원 영월군
-
영월군의 식재강원도 최남단에 위치하고 자연경관이 수려한 아름다운 곳 영월군은 태백산맥, 차령산맥, 소백산맥이 뻗어있는 내륙산간지역으로 한서의 차이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연평균기온 10.8℃, 1월 평균기온 -5.7℃, 8월 평균기온 25.5℃이고, 연강수량은 1,100mm로 6∼8월에 3/4이 집중되고 있다. 주요 농산물...
-
영월군의 유물·유적·관광있다.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고구려시대부터 독립된 현으로 지역문화를 꽃피워왔기 때문에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수주면 법흥사 경내에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寧越興寧寺澄曉大師塔碑, 보물 제612호)·징효대사부도(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72호)·흥녕선원지(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제...
-
영월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영월읍 영흥리에 영월향교가 있었다. 최초의 근대 교육기관은 1912년에 개교한 영월공립보통학교이며, 그뒤 1개면 1개교 정책에 따라 각 읍·면에 공립보통학교가 세워졌다. 2018년 기준 유치원 15개소, 초등학교 13개소, 중학교 11개소, 고등학교 6개교, 전문대학 1개교가 있다. 1965년에 문을 연...
-
영월군의 산업과 교통지하자원의 매장량이 풍부해 일찍부터 광업이 발달했으며, 탄광지대를 배경으로 한 서비스업도 활발하다. 총경지면적은 67.66㎢로 경지율이 5%에 불과하며, 논이 7.29㎢, 밭이 60.37㎢로 밭농사가 주를 이룬다(2013).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 외에 옥수수·감자 등이며, 최근에는 고추·땅콩·잎담배의 재배면적이 증가...
-
-
태백산 太白山장성 · 황지 · 고한 · 함백 · 사북 등은 석탄 산지로서 탄광 때문에 생긴 도시인데, 이 일대는 매장량 · 생산량에 있어서 국내 제일이다. 또한, 영월군 상동(上東)에는 우리 나라 제일의 중석광산이 있다. 이 지역에서 석탄 개발이 시작된 것은 1937년 일본인이 조선무연탄주식회사로부터 광업권을 양도받아 삼척...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