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치악산 구룡사 雉岳山 龜龍寺말라 버리고, 그중 용 한 마리는 눈이 멀었으며, 나머지 여덟 마리는 구룡사 앞산을 여덟 조각으로 갈라놓고 도망쳤다. 의상은 절을 창건한 뒤 이러한 연유(緣由)를 기념하기 위해서 절 이름을 구룡사(九龍寺)라 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이후 도선(道詵) · 무학(無學) · 휴정(休靜) 등의 고승들이 머물면서 영서 지방...
- 시대 :
- /삼국/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서목 書目현감·현령·군수 등이 부윤(府尹)·부사(府使)에게 올리는 첩정에도 서목을 첨부하였다. 서목은 지방에서만 사용되었는데, 서목의 결사(結辭)는 ‘緣由牒報狀(연유첩보장)’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문장서목’은 잔글씨[細書]로 쓰는 것이 서목과 다르다. 서목과 문장의 서목은 서울대학교의 고문서에도 많이 남아...
- 성격 :
- 문서양식
- 유형 :
- 문헌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