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립주택 (동의어 연립 주택) 聯立住宅
    한 건물에 두 가구 이상이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은 4층 이하의 공동주택.|특징 건물의 전면과 후면에 가구마다 정원과 뜰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이웃간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독립성을 가지는 옥외생활이 되도록 하여 주거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저층 주거형식을 의미한다. 아파트보다 소규모 토지의 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연립주택 聯立住宅, row house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한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봄) 합계가 660㎡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다만, 연립주택 층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한다. 연립...
    유형 :
    건축물용도
    관련법령 :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 연립주택 (관련어 연립 주택)
    연립 주택(聯立住宅, 주택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건물 하나당 건축 연면적이 660m2를 초과하는 4개층 이하의 건물을 말한다. 공동주택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테라스 하우스 (관련어 연립 주택) Terraced house, テラスハウス
    테라스 하우스(terraced house)는 벽을 공유하는 여러 단독 주택을 연속적으로 모아놓은 저층 집합 주택을 말한다. 건축과 도시 계획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로, 미국에서는 로 하우스(row house)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위 같은 부분에는 방화에 취악할 수 있다. 반단독주택 타운하우스 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연면적 延面積, gross area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한다. 다만, 용적률을 산정할 때에는 다음에 해당하는 면적은 제외한다. ① 지하층의 면적 ② 지상층의 주차용(해당 건축물의 부속용도인 경우만 해당)으로 쓰는 면적 ③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④ 건축물의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의 면적 ※ 최신...
    유형 :
    기타(도시 ・ 군계획 ・ 건축용어)
    관련법령 :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 주택 한옥, 住宅
    벽체의 고급주택으로, 마루와 복도로 안방과 사랑방을 접속시킴으로써 전통적인 한식주택에서의 안채와 사랑채의 기능을 접속시킨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연립주택이 우리 나라에 건축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 철도건설에 종사하던 노무자들을 위한 합숙소와 제2차 세계대전시 군수공장과 무기고를 설립, 주민들을...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 8·15해방 이후 한국 주택
    국민주택 이외에 건축가들은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단독주택을 건축하기도 했는데, 이는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1960년 이후에도 다량 건축되었다. 연립주택은 2·4·6호 정도가 한 줄로 늘어선 장옥(長屋) 형태인데 이것은 1910년 이후 철도건설에 종사하던 노무자들을 위한 합숙소 등에서 볼 수 있다. 1950년대...
  • 도시형 생활주택 都市型生活住宅
    공동주택 - 세대별 주거전용면적은 12㎡ 이상 50㎡ 이하일 것 - 세대별로 독립된 주거가 가능하도록 욕실, 부엌을 설치할 것 - 욕실을 제외한 부분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할 것(다만, 주거전용면적이 3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음) - 지하층에는 세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② 단지형 연립...
    유형 :
    기타(일반용어)
    관련법령 :
    「주택법」 제2조, 「주택법」 시행령 제3조
  • 공동주택 共同住宅, flats
    에서는 공동주택의 종류와 범위를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및 기숙사로 규정하고 있다. ① 아파트 :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 층수를 산정할 때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한다. ② 연립주택 :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유형 :
    건축물용도
    관련법령 :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주택법」 제2조, 「주택법」 시행령 제2조
  • 현대주택의 형태
    치수상 유기적인 연계성을 만들어냄으로써 건축물의 생산효율을 높이고 미적 질서를 갖게 하는 것을 건축척도 조정(modular coordination/MC)이라고 한다. 연립주택은 몇 개의 독립주거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한 건물로 된 공동주택이다. 이것은 건축연면적이 660㎡를 초과하는 4층 이하의 주택인데, 서민주택 부족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주택의 분류
    건물에 몇 세대가 거주하는가 하는 집합의 정도에 따라 단독주택과 집합주택으로도 분류한다. 한국의 건축관계법에서는 집합주택을 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다중주택(학생 또는 직장인 등의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은 단독주택에 포함시키고 있다. 사용목적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주택거래신고제
    도모하기 위해 주택시장안정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주택거래 신고대상은 전용면적이 60㎡(18평)을 넘는 아파트와 전용면적 150㎡(45평)을 넘는 연립주택으로, 재건축·재개발 정비구역에서는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아파트와 연립주택의 거래시 이를 신고해야 한다. 신고지역은 주택가격이 급등하거나 지속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동산 ,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연립주택
연립주택
연립주택
오사카 스미요시 연립주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