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립주택 (동의어 연립 주택) 聯立住宅한 건물에 두 가구 이상이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은 4층 이하의 공동주택. 특징 건물의 전면과 후면에 가구마다 정원과 뜰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이웃간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독립성을 가지는 옥외생활이 되도록 하여 주거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저층 주거형식을 의미한다. 아파트보다 소규모 토지의 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
주택 한옥, 住宅벽체의 고급주택으로, 마루와 복도로 안방과 사랑방을 접속시킴으로써 전통적인 한식주택에서의 안채와 사랑채의 기능을 접속시킨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연립주택이 우리 나라에 건축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 철도건설에 종사하던 노무자들을 위한 합숙소와 제2차 세계대전시 군수공장과 무기고를 설립, 주민들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주생활
-
8·15해방 이후 한국 주택국민주택 이외에 건축가들은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단독주택을 건축하기도 했는데, 이는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1960년 이후에도 다량 건축되었다. 연립주택은 2·4·6호 정도가 한 줄로 늘어선 장옥(長屋) 형태인데 이것은 1910년 이후 철도건설에 종사하던 노무자들을 위한 합숙소 등에서 볼 수 있다. 1950년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