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동빈 여암, 呂洞賓
    중국 당대의 도사. (병). L Dongbin. (웨). L Tungpin.|이름은 여암. 자는 동빈, 호는 순양자. 중국 신화에 나오는 도교의 8선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학령에서 3종류의 공덕과 5등급의 혼백에 대해 설교했다. 예술작품에서 마법의 칼과 채찍을 들고 있는 학자로 묘사된다. 그에 관한 많은 전설 가운데, 그가 정직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여동빈 Lü Dongbin, 呂洞賓
    번역 확장 필요 여동빈(呂洞賓, 796-1016) 은 중국 도교의 신선이다. 중국 당나라 때 살았던 전설적인 학자이자 시인이다. 그가 실제로 220년을 살았는지는 알 수 없다. 도교신자들에 의해 중국 문화권에서 불멸의 지위로 승격된 그는 팔선으로 알려진 신 그룹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그룹 중 하나이다. 여동빈은 또한 역...
    도서 위키백과
  • 지남궁 마오쿵 최고의 뷰포인트, 즈난궁
    지남궁은 무자(木柵) 지역의 즈난산(指南山) 기슭에 위치해 있다. 도교 8선 중의 하나인 여동빈(呂洞賓)을 모시는 대규모 도교 사원으로, 도교 이외에도 불교와 유교를 함께 모시고 있다. 총 면적 80ha의 넓은 면적에 4동의 주요 전각과 5동의 부속 건물이 있으며, 주변에는 산책로, 정자, 계곡과 바위 등이 함께...
    위치 :
    MRT 둥우위안(動物園) 역 2번 출구로 나와 마오쿵 곤돌라를 타고 지남궁(指南宮) 하차.
    소재지 :
    台北市 文山區 萬壽路 115號(전화: 02-2939-9922)
    사이트 :
    www.chih-nan-temple.org
    이용 시간 :
    24시간
  • 검선도 劒僊圖
    위로 곧게 뻗은 소나무를 배경으로 정면을 향한 검선의 반신상이 묘사되어 있다. 검선은 당나라 신선으로 자가 동빈(洞賓)인 여암(呂巖)으로 추정되고 있다. 여동빈은 포주(浦州) 출신으로, 호가 순양자(純陽子)·회도인(回道人)이다. 여산(廬山)에서 화룡진인(火龍眞人)을 만나 천둔검법(天遁劍法)을 얻었다고 한다...
    저작자 :
    이인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인물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96.7㎝, 가로 61.8㎝
    권수/책수 :
    1점
    재질 :
    종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 팔선도 八仙圖
    개설 팔선도(八仙圖)는 종리권(鍾離權), 장과로(張果老), 한상자(韓湘子), 조국구(曹國舅), 여동빈(呂洞賓), 이철괴(李鐵拐), 남채화(藍采和), 하선고(何仙姑) 등 8인의 신선을 묘사한 그림이다. ‘팔(八)’이라는 숫자의 의미는 문학작품에서 여러 사람을 지칭할 경우 ‘등등’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팔선이란 곧...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중묘문 衆妙門
    등 내단수련을 보조하는 여러 기법 등에 관한 것도 보인다. 내용의 전개는 주로 관련 주제에 관해 중국의 도교문헌에서 내용을 가려 뽑아서 편집하는 형식이나, 여동빈(呂洞賓)의 『고효가(敲爻歌)』, 최희범(崔希范)의 『입약경(入藥鏡)』 등 원문 그대로 실린 것도 있다. 이 밖에 권극중의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7세기 후반 이후
    성격 :
    도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도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신선도 神仙圖
    많이 그렸다. 여러 신선전에 등장하는 신선들은 500여 명이 넘는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그림의 소재로 많이 다루어졌던 대표적인 신선은 종리권(鍾離權) · 여동빈(呂洞賓) · 장과로(張果老) · 한상자(韓湘子) · 이철괴(李鐵拐) · 조국구(曹國舅) · 남채화(藍采和) · 하선고(何仙姑) 등의 8선이다. 그리고 노자...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싼셴타이 세 신선이 놀다 간 아름다운 섬, 三仙台
    鎮) 동북 방향으로 가면 싼셴타이가 나온다. 작은 섬이지만 이제는 다리가 연결되어 차로 갈 수 있게 되었다. 고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여덟 명의 신선 중 여동빈(吕洞賓), 이철괴(李鐵拐), 하선고(何仙姑) 세 명의 신선이 놀다 간 곳이라는 전설이 있어 이곳을 싼셴타이(三仙台)라고 부른다. 섬의 풍경을 즐기면서 일주...
    소재지 :
    台東縣 成功鎮 三仙里 基翬路 74號(전화: 089-854~097, 850~785)
    이용 시간 :
    08:30~17:00
  • 군선도 群仙圖
    群仙慶壽圖 : 壽老人을 사모하는 군선들을 묘사한 것), 파상군선도(波上群仙圖 : 바다 위에 떠 있는 군선들의 행렬을 그린 것), 팔선도(八仙圖 : 종리권·여동빈·이철괴·장과로·한상자·조국구·남채화·하선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18세기에 제작된 작품들에서 빽빽한 공간개념과 경물과 인물의 배치에서 보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화 , 미술
  • 왕중양 王重陽, Wang Ch'ungyang
    성[陝西省] 셴양[咸陽] 사람이다. 세도 있는 부호 집안 출신으로, 예부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했으며 그뒤 무과에 응시하여 갑과에 합격했다. 48세 때 선인 여동빈을 만나 수련비결을 얻었다. 이에 집을 버리고 떠나 중난 산[終南山]을 유람하다가, 땅굴을 파고 그 속에서 정좌하여 스스로 '활사인묘'라고 불렀다...
    출생 :
    1112
    사망 :
    1170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8선 八仙, Eight Immortals
    중국 회화에서 때로 1명 또는 이중 일부만 표현될 때도 있다. 예를 들면 이중 4명이 소나무 아래 기대 서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 것도 있다. 이때 종리권과 여동빈이 이철괴(李鐵拐)가 데운 술을 마시고, 남채화가 그들을 위해 피리를 부는 모습을 하고 있다. 8명의 이름은 문헌마다 다르지만 나머지 4명은 대체로 장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군선도 群仙圖
    인물의 포치 방식에서 보이는 평면적 효과가 같은 시대에 제작된 십장생도(十長生圖) 같은 민화류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팔선도는 종리권(鍾離權), 여동빈(呂洞賓), 이철괴(李鐵拐), 장과로(張果老), 한상자(韓湘子), 조국구(曹國舅), 남채화(藍采和), 하선고(何仙姑) 등 8명의 신선을 소재로 한 그림이다. 각기 다른...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여동빈(呂洞賓)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