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에피쿠로스학파
    에피쿠로스학파에피쿠로스(Epikouros, 기원전 342~271)가 죽은 뒤 약 600년간 뚜렷한 수정 없이 이어졌다. 제자들을 정원에서 가르쳤기 때문에 정원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저서로 《자연에 대하여》가 있지만 남아 있지 않아서 다른 철학자들의 저작에 인용된 단편을 통해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제자 ...
  • 에피쿠로스학파
    에피쿠로스학파는 기원전 300년경 아테네가 배출한 걸출한 그리스 철학파로서 철학자 에피쿠로스를 따르던 사람들을 가리킨다. 사도 바오로가 두 번째 선교 여행 중에 아테네에서 예수님과 부활에 관한 복음을 전할 때 논쟁을 벌인 그리스 철학자들 가운데 그들도 끼어 있었다. 이 학파의 사상은 헬레니즘 세계뿐 아니라...
  • 에피쿠로스 학파 Epicureanism
    일반적으로 쾌락·행복이 최고선이라고 주장하는 쾌락주의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 고대 그리스 철학.|에피쿠로스 학파에피쿠로스(BC 341~270)가 가르친 철학 또는 이 철학의 원리에서 유래한 인생관과 삶의 양식을 포괄하는 윤리 체계를 주장하는 학파를 말한다. 자연학에서 에피쿠로스주의는 기계적 인과관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서양철학
  • 에피쿠로스 학파 (관련어 에피쿠로스학파) Epicureanism, エピ..
    에피쿠로스 학파(Epicureanism)의 창시자는 신(神)과 같이 추앙을 받던 에피쿠로스이다. 사모스섬에서 태어난 에피쿠로스는 기원전 306년 아테네에 정원 딸린 집을 구입해서 여러 제자들을 모아서 가르쳤다. 이후, 이 정원은 에피쿠로스 학파의 근거지가 되었다.서적 인용 에피쿠로스의 저작 중 남은 것은 거의 없다. 기...
    도서 위키백과
  • 쾌락주의 (관련어 에피쿠로스 학파) 快樂主義, hedonism
    인생의 목표는 행복이고 행복은 쾌락을 추구함으로써 달성된다는 쾌락주의의 전형은 고대 그리스의 키레네학파에피쿠로스학파에서 나타난다. 키레네학파의 창시자는 아리스티포스이다. 그는 덕이 있는 사람이 추구해야 할 행복의 원리를 강조했다. 키레네학파는 미래가 인간의 능력을 벗어나 있다는 이유로 현재의 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에피쿠로스학파 윤리관
    두 가지 편향을 다 경계해야 한다. 하나는 그의 쾌락을 물질주의나 향락주의 정도로 여기고 비판하는 경향이다. 특히 후대의 기독교 신학자들은 에피쿠로스학파가 쾌락주의를 표방했다는 이유로 “술 취한 돼지들”에 비유하면서 비난하는데, 지독한 오해이자 악의적 왜곡이다. 그는 육체적 향락과 관련해서 “즐거운 삶...
  • 에피쿠로스학파 정치관
    에피쿠로스학파는 정치적 삶에서 벗어나 개인적 삶의 행복을 추구했다. 불필요한 욕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공공생활의 잡다함을 피해야 한다. 인위적 욕망에 의존하면 고통이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에피쿠로스 자신이 “숨어서 살지어다.”라고 주장할 정도로 정치관에서도 개인주의 요소가 강했다. 정의나...
  • 에피쿠로스 Epicouros
    에피쿠로스는 32세 때 처음에는 미틸레네에서, BC 311(또는 310)~307(또는 306)년에는 람프사코스에서 가르쳤다. 여러 곳에서 에피쿠로스는 장차 그를 따라 아테네로 가 에피쿠로스 학파를 한층 발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중간역할을 하게 될 제자들을 만났다. 미틸레네에서 만난 첫번째 제자 헤르마르코스는 결국 그의...
    출생 :
    BC 341, 그리스 사모스
    사망 :
    BC 270, 아테네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회의주의학파
    전 214~129) 등이 있다. 퓌론은 회의론의 기초를 만들었다. 그래서 고대 회의론을 퓌론주의라고도 부른다. 퓌론은 이론을 회의적으로 봐서 그랬는지 직접 글을 쓰지 않았고, 제자나 다른 철학자의 글에서 생각을 접할 수 있다. 이들도 에피쿠로스학파나 스토아학파처럼 개인의 행복을 추구했다. 마음의 평정을 통해 현실...
  • 스토아학파 Stoicism
    이성에 의해 움직이는 자연 법칙이 적용된다. 세계는 목적을 갖는 원리에 따라 질서 정연하게 사물과 인간이 배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에피쿠로스학파의 자연관과 구별된다. 에피쿠로스학파에게 자연과 운동은 오직 다양한 원자의 집합으로 이뤄진 물질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스토아학파가 보기에 세계는 물질의 우연한...
  • 에피쿠로스 Epicurus, エピクロス
    그 가운데 몇 권만 전해진다. 알려진 에피쿠로스 학파 철학 대부분은 후대 추종자나 해설자에서 유래한다. 에피쿠로스에게서 철학 목적은 행복하고 평온한 삶을 얻는데 있었다. 그가 말하는 행복하고 평온한 삶은 평정(ataraxia), 평화, 공포로부터의 자유, 무통(無痛, aponia)의 특징이 있다. 그는 쾌락과 고통은 무엇...
    도서 위키백과
  • 에피쿠로스주의의 학설
    에피쿠로스는 BC 306년 아테네에 있는 자기 집 정원에서 학파를 창시했다(정원학파). 그는 학설을 기억하기 쉬운 '주요명제들'로 요약했다. 그와 제자들이 보여준 인상적인 이론활동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그가 가르친 덕에 따라 살고 상호부조의 의무를 우정의 이름으로 존중하는 실천행위였다. 에피쿠로스에게 철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