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언저리잠자리
    특징 배길이 32~37mm, 뒷날개길이 31~36mm. 머리는 회청색이며 가슴 전체의 갈색의 긴 털 존재. 앞가슴에는 뚜렷한 삼각형 모양의 흑색 줄무늬 존재. 등가슴은 황색이며 정중앙에 흑색 줄무늬 1개. 배마디는 흑색 바탕에 2~8마디의 좌우에 황색 무늬 1쌍 존재. 음판은 길어서 10마디의 반에 미치고 2분되지 않음. 수컷의...
    분류 :
    잠자리목 > 북방잠자리과
    학명 :
    Epitheca marginata (Selys, 1883)
  • peristome 입언저리 위구부, 圍口部
    [1] 극피동물의 입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 [2] 원생동물 섬모충류의 세포구(細胞口) 바로 앞의 체표 함요부(陷凹部), 즉 구부역(oral area)의 전체부위. [3] 자포동물 폴립형의 입을 에워싸는 부분. [4] 권패류에서 각구(殼口)의 가장자리. [5] 성게류의 주구부(周口部).
  • 김지하 예술과 정치, 문학과 사상을 통합한 시인
    지류들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지한 진술도 있다. 한마디로 시인 김지하를 생성해온 모든 것을 온전히 체험할 수 있다. 절, 그 언저리 수묵시화첩 『절, 그 언저리』는 2001년 봄부터 2002년 가을까지 여러 문예지에 발표한 절 순례 시편 32편에 매화, 난초, 달마를 주제로 한 수묵화들을 붙여 엮은 것이다...
    출생 :
    1941년 2월 4일
    국적 :
    대한민국
    대표작 :
    화개,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흰 그늘의 길, 절, 그 언저리, 유목과 은둔
    수상 :
    2002년 대산문학상
    도서 북 어워드 사전 | 태그 작가
  • 언저리잠자리
    특징 머리는 회청색이며, 가슴 전체에 갈색의 긴 털이 있다. 앞가슴에는 뚜렷한 삼각형 모양의 흑색 줄무늬가 있고, 등가슴은 황색인데 정중앙에 흑색 줄무늬가 1줄 있다. 배마디는 흑색 바탕에 제 2~8마디의 좌우에 1쌍의 황색 무늬가 있다. 수컷은 날개가 투명하며, 날개 밑에 매우 작은 흑색 반점이 있으나 암컷은 각...
    분류 :
    북방잠자리과 > 언저리잠자리속
    크기 :
    성충 : 배 길이 32~37mm, 뒷날개 길이 31~36mm / 유충 : 몸 길이 22~26mm, 머리 너비 6mm 내외
    학명 :
    Epitheca marginata Selys
    분포지역 :
    한반도 전역, 중국, 일본 등
    출현시기 :
    4월 중순(남부), 5월 초순~6월 하순(중 · 북부)
  • 명탕 『이세계 온천』 개척기 ~마흔 언저리 온천 마니아의 전생지는 유유자적 온천 천국이었습니다~ Isekai Onsen Paradise, 名湯『異世界の湯』開拓記 〜アラフォー温泉マニアの転生先は、..
    명탕 『이세계 온천』 개척기 ~마흔 언저리 온천 마니아의 전생지는 유유자적 온천 천국이었습니다~(名湯『異世界の湯』開拓記~アラフォー温泉マニアの転生先は、のんびり温泉天国でした~, Isekai Onsen Paradise)는 멘루이 코나오가 집필하고 그림을 그린 일본의 라이트 노벨 시리즈이다. 2019년 9월부터 하비 재팬의...
    도서 위키백과
  • 소화기, 위장병 胃腸病
    주요 증상 초기 증상으로 가장 많은 것은 명치의 통증과 팽만감이다. 식후나 식사 중 위가 거북하고 식욕이 사라진다. 암이 진행되면 구역질, 구토, 명치 언저리가 쓰리고 아픈 증상, 트림, 설사, 변비, 온몸의 권태감, 체중 감소 등의 여러 증상이 점점 심해진다. 토혈, 하혈, 빈혈, 흉통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급성...
  • 드무 방화와 길상의 상징 기물
    지금 상월대 동·서쪽에 각 한 개씩, 하월대 동·서쪽에 각 한 개씩, 모두 네 개의 드무가 놓여 있다. 드무는 청동제이며, 상월대의 것은 입언저리가 없고 하월대의 것은 넓은 입언저리가 안쪽으로 모아져 있다. 장식성이 강한 손잡이가 달려 있어 예기다운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순조 연간에 그려진 〈동궐도〉를...
    도서 궁궐 장식 | 태그 조선 , 건축물
  • 지연, 鳶
    아니라 높이 연을 날리는 경쟁과 더불어 연줄을 끊어먹는 연싸움도 전개된다. 연을 띄우는 장소는 가능한 한 바람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둑이나 야산의 언저리, 거칠 것이 없는 들판, 강가에 가까운 곳같이 나무가 없어 연이 걸리지 않는 곳이 좋다. 음력 대보름날에는 연을 날려보내고 이튿날부터는 띄우지 않는 풍습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물품
  •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테 鉢
    국보(1990.05.21 지정). 높이 7.7cm, 입지름 18.7cm, 밑지름 6.3cm. 안으로 굽은 아가리 언저리에 은으로 테를 둘러 장식적 효과를 높인 희귀한 대접이다. 안쪽 면 중앙에 원이 있고, 그 주변으로 연꽃덩굴무늬를 도드라지게 찍었다. 아가리 언저리에는 덩굴무늬 띠가 둘러져 있다. 바깥 면에는 모란무늬가 간결한 형태...
    문화재 지정 :
    국보(1990.05.21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백자 달항아리 백자 대호, 白磁 壺
    내용 1991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예각을 이루며 벌어진 넓은 입언저리와 어깨에서부터 팽창되어 동부(胴部)에서 최대로 벌어졌다가 다시 좁아진 몸체, 입언저리와 같은 굽다리를 지닌 둥근 달항아리이다. 유색은 유백색(乳白色)으로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굽다리에는 유를 닦아내고, 가는 모래받침으로 받쳐...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무왕 백제의 중흥을 꿈꾼 서동설화의 주인공
    다시 일으키려고 안간힘을 썼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것이다. 그런 탓에 백제의 왕들 가운데 가장 많은 이야깃거리를 남겼다. 그 당시 백제는 한강 언저리에 있던 도성에서 남쪽으로 쫓겨나 웅진과 사비성에 도읍지를 정해 새로운 각오로 나라를 일으키려 했지만 연달아 고구려와 신라의 압박을 받았다. 그리하여...
    출생 :
    미상
    사망 :
    641년
  • 경주 성덕왕릉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
    지정면적 1만 1,174㎡. 왕릉의 규격은 밑둘레 46m, 높이 5m이다. 그 북서쪽에는 성덕왕의 형인 효소왕의 능으로 전하는 원분이 있다. 분구(墳丘)의 언저리에 높이 90㎝ 정도의 판석을 두르고 그 위에 덮개돌인 갑석(甲石)을 올렸다. 판석들 사이에는 탱주(橕柱)를 끼워 고정시켰으며, 그 바깥쪽에 삼각형의 석재를 세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3건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언저리잠자리 분포지역
노랑부리 저어새의 눈언저리와 턱및에 피부가 들어난 모습
섬진강 언저리를 터전으로 삼고 있는 농민들의 삶의 세목에 자연과 인간 내면의 원초적 교감을 곁들인 첫 시집 〈섬진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