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양만춘 양만춘(梁萬春), 楊萬春삼국시대 고구려 대당전쟁 당시의 장수. 생애와 활동사항 보장왕 때의 안시성(安市城) 성주이다. 그의 이름은 역사서에는 보이지 않고 ‘안시성 성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송준길(宋浚吉)의 『동춘당선생별집(同春堂先生別集)』과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의하면 양만춘(梁萬春) 또는 양만...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성주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대당전쟁
- 직업 :
- 장수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DDH-Ⅰ, 廣開土大王級 驅逐艦3,200톤급 헬기 탑재 구축함(DDH)으로서 한국형 구축함 1단계 사업(KDX-Ⅰ, Korean Destroyer, Experimental. Phase Ⅰ)에 따라 광개토대왕함,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등 3척이 건조되었다. 시작함인 광개토대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대양해군'으로 나아감을 알리는 선도함(leading ship)으로서 의미가 크다. 대함전...
- 분류 :
- 함정 > 전투함 > 구축함 > 광개토대왕급
- 크기 :
- 길이 135.4m, 폭 14.2m, 높이 35.1m, 흘수 4.4m
-
DDH-973 양만춘 DDH-973 양만춘, ROKS Yang Man-chu..군함 정보 DDH-973 양만춘(梁萬春/楊萬春)은 대한민국 해군 소속의 3,200톤급 구축함이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번함이다. 고구려 때 안시성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를 물리친 양만춘 장군의 이름을 함명으로 정했다.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해군 1함대에 배속중이다. 원래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해군 2함대의...도서 위키백과
-
70여 년에 걸친 중국의 침입을 막아내다, 안시성 전투 安市城戰鬪했다. 안시성 외곽에 자리 잡은 당나라는 돌을 날리는 포차(砲車)와 성을 부수는 충차(衝車) 등을 총동원해 하루 대여섯 차례씩 파상 공세를 폈지만, 양만춘 장군의 통솔력과 병사들의 투지로 성곽을 뚫지 못했다. 고구려군은 당 태종의 깃발을 보고 북을 치고 야유를 보내는 등 오히려 적군을 조롱하기까지 했다. 이세...
- 시대 :
- 645년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애국심에 불을 지핀 역사 전기 문학이 때 아리안 성은 도마 위에 살점이요 가마 안의 고기라 어찌 위태하지 아니리오. 옛적 우리 나라 고구려 시대에 당 태종의 백만 군병을 안시성 태수 양만춘이 능히 항거하여 백여 일을 굳게 지키다가 마침내 당병을 물리치고 평몰케 하였으며 고려 강감찬은 수천 병으로 걸안 소손녕의 삼십만 병을 물리치고 손경을...
- 시기 :
- 1907년
-
한국형 구축함 사업 韓國型 驅逐艦 事業, Korean Destroyer Experimen..3단계로 추진했다. 1단계는 3200t급 한국형 구축함을 건조하는 것으로 1번함인 광개토대왕함(DDH-1)이 1998년 진수했다. 광개토대왕함급은 이후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등이 건조되어 각 함대에 배치되었다. 이어 2002년 5월 대함, 대공, 대잠, 대지 공격 능력을 갖춘 한국형 구축함 2단계 사업의 1번함인 4400...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廣開土大王級驅逐艦, Gwanggaeto the Great-class ..있다. 이에 1986년부터 시작된 한국형 구축함 건조사업 1단계(KDX-1)의 결과로 건조된 것이 3200t급 광개토대왕함이다. 광개토대왕함은 KDX-1의 1번함으로 1996년 진수했으며, 이후 건조된 3000t급 구축함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으로 불린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1997년 을지문덕함, 1998년 양만춘함이 건조되었다...
-
-
안시성 安市城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에 유입되었다. 이 작품들에 설인귀(薛仁貴) 영웅담의 무대인 봉황산과 역사연의(歷史演義)의 무대인 안시성 및 안시성주로서 양만춘(楊萬春)의 활약이 나타나고 있었다. 그런데 17세기 연행로상에 봉황산성이 있었고, 이러한 작품들을 접했던 연행사들이 자연스럽게 안시성을 떠올리게...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산성, 고구려 산성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중국 요녕성(遼寧省) 해성시(海城市) 영성자둔(英城子屯) 영성자촌(英城子村)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