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항 이후 한국 주택
    기둥 위에 얹을 때 나비장을 쓰던 것을 못으로 대신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재래의 소로 대신에 이를 반쪽으로 갈라 쪽소로 또는 딱지소로라 하여 안팎으로 갈라 붙이다가 바깥쪽만 붙여 치장하게 되었다. 굴도리는 '집장사집'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때로 반쪽으로 갈라 외양으로만 온통 굴도리인 것처럼 보이도록...
  • 옹기 甕器
    옹기장사 길로 나섰습니다. 일제강점기 여인의 피폐한 삶이 느껴지는군요. 그날도 여인은 옹기를 팔러 나가 충북 청주의 민도식이란 사람 집에서 옹기를 사준다는 말을 듣고 들어갔다가 봉변을 당하고 맙니다. 가녀린 여인의 등에 업혀 기구한 사연을 담았던 옹기. 옹기는 조선 가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그릇이었으며 삶...
  • 감문위 監文衛
    6위가 정비되던 995년(성종 14)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성 안팎의 여러 문을 지키는 수문군의 일을 맡았으며, 6위 중 가장 질이 떨어지는 군대였다...장군 1명, 중랑장 2명, 낭장 5명, 별장 5명, 산원 5명, 위 20명, 대정 40명 등이었다. 이외에 장사 1명, 녹사 2명과 이속으로 사 3명, 기관 2명이 있었다.→ 2군6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구려 17대 왕, 소수림왕 소해주류왕, 小獸林王
    고구려로서는 안팎으로 위기를 맞은 시기였다. 주요 업적 소수림왕은 부왕의 전사에 따른 국내외적인 위기를 극복하면서 새롭게 지배체제를 정비해야 하는 시기에 즉위하여, 즉각적으로 국가 체제 정비에 나섰다. 372년 전진(前秦)에서 승려 순도(順道)가 외교사절과 함께 불상과 경전을 가지고 왔으며, 374년에는 아도...
    출생 :
    미상
    사망 :
    384(소수림왕 14)
    국적 :
    고구려, 한국
    재위 :
    371년~384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신라 51대 왕, 진성여왕 김만, 眞聖女王
    20세 안팎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주요 업적 진성여왕은 즉위 직후 죄수들을 사면하고, 모든 주·군의 조세를 1년 동안 면제하는 등 민심 수습에 힘썼다. 888년 각간 위홍(魏弘)으로 하여금 대구화상(大矩和尙)과 함께 향가를 수집·편찬하게 하여 〈삼대목 三代目〉이라는 향가집을 만들었다. 그해 위홍이 죽자 혜성...
    출생 :
    미상
    사망 :
    897(진성왕 11)
    국적 :
    신라,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887년~897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신라 , 역사 일반
  • 혜종 왕무(王武), 惠宗
    조정 안팎의 관리들은 모두 다 동궁(東宮)의 처분을 따르라.”라는 태조의 유언을 받들어 즉위한 혜종은 계속해서 박술희의 도움을 받으면서 정치적 안정을 모색하였지만, 왕위를 노리는 적대세력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특히 강력한 호족 출신이자 왕실의 외척이었던 왕규의 노골적인 암살 음모를 가까스로 모면...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관정 (후한) Guan Jing, 関靖
    관직 장사(長史)〔공손찬〕 작위 소속 공손찬 공손찬(公孫瓚)의 밑에서 장사(長史)를 지냈다. 법령에 철저한 혹독한 관리로, 아첨을 잘하였고 능력은 없었으나...공손찬을 설득하였다.공손찬은 관정의 말을 옳게 여겨 나아가지 않고, 원군이 오는대로 안팎으로 원소를 치기로 하였다. 이에 문칙(文則)으로 하여금 공손속...
    도서 위키백과
  • 공성계 Empty Fort Strategy, 空城計
    거의 되어 있지 않았고, 모두들 투지를 잃은 상태였다. 장수규는 성 위에 장사와 연석을 마련했다. 토번군은 성 안에 준비된 것이 있는 게 아닐까 의심하여 감히...성으로 도망갔다. 다케다 군이 이를 추격했는데 이에야스는 성문을 열고 안팎에 화톳불을 지핀 뒤 북을 두들겼다. 그러자 경계한 다케다 군은 군사를...
    도서 위키백과
  • 금병매 Jin Ping Mei, 金瓶梅
    왕성한 색욕(色慾)을 충족하려고 살인, 모함, 권력을 이용한 압력 행사 등 갖은 수단을 쓴다. 금전이나 권세에 지나치게 탐닉해 약방 외에 비단 등의 옷감 장사에도 손을 뻗치고 염인을 획득하여 소금을 판매하며, 엽관(獵官) 및 매직으로 관직도 얻는다. 집 안팎에서는 주로 반금련에 의해 첩끼리의 반목이 발생하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