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정화 stabilization
    (1) 피드백제어계 용어. 안정성을 얻는 것. 또는 상대적으로 안정성을 개선하는 것 〈참조어〉 피드백제어계 (2) 항법 용어. 하나 또는 복수의 기준방향에 대해, 이동체 또는 장치가 바라는 정위(定位)를 유지하는 것 〈참조어〉 항법
  • 자동안정화장치
    여러 가지 한계와 어려움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부 경제학자들은 수동적인 자동안정화장치를 경제정책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자동안정화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누진세를 꼽을 수 있다. 누진 세제는 경기가 침체할 때 추가적인 입법...
  •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business adjustment policy/..
    경기조절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또는 경제안정화정책(stabilization policy)은 경기가 지나친 확장 또는 수축 현상을 보일 경우 이를 정상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정책당국이 취하는 제반 조치를 말한다. 이는 정책당국이 경제 전체의 총수요 수준을 변동시킴으로써 경기 수위를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 경제안정화종합시책 經濟安定化綜合施策
    비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박정희 정부는 1978년부터 경제정책과 경제운영방식의 수정을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내용 1979년 4월 17일에 ‘경제안정화종합시책’을 제정한 취지는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안정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당면 정책과 함께 제도 및 경제 운영 방식 등에 관한 구조적 개선과 근원적...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유로안정화기구 ESM, European Stability Mechanism
    유로안정화기구(ESM, European Stability Mechanism)란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회원국의 구제금융 지원을 위해 설립된 비상 기금이다. 유럽 내에서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과 같은 역할을 한다. 2012년 공식 출범했으며 룩셈부르크에 본부를 두고 있다. 유로안정화기구의 결성은 2010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국제기구 , 금융
  • 부가 통신사 서비스 안정화 법령
    부가 통신사 서비스 안정화 법령 적용 대상은 하루 평균 이용자 수 100만 명 이상에 데이터 트래픽 양이 국내 총 트래픽의 1% 이상인 주요 부가 통신사다. 2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구글, 넷플릭스, 페이스북, 네이버, 카카오 등 5개 사업자가 대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매년 관련 데이터를 평가해 적용 대상을...
  • 코로나 대유행으로 배우는 기후 안정화 방안
    조치를 취함으로써 깨끗한 지구를 후세에게 물러줘야 할 것이다. 코로나 대유행 이후에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상호 작용이 쏟아져 나온다면 지구 기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협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현재의 COVID-19 대유행은 기후 변화를 완화하려는 노력에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알부민안정화 나노입자 파클리탁셀 paclitaxel albumin-stabi..
    항암제 파클리탁셀 (paclitaxel)을 알부민에 부착한 약제. 파클리탁셀에 비해 적은 부작용으로 고용량의 항암제 투약이 가능하다. 미세관(microtubule)을 억제함으로서 세포분열을 하지 못하도록 하여 암세포를 죽인다. 유방암 치료에 이용되며, 비소세포 폐암에서 카보플라틴과 함께 투약하고, 췌장암에서는 젬시타빈과...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건강
  • 안정화 선택 stabilizing selection
    숫자가 많고, 양 끝으로 갈수록 숫자가 적어지는 정규 분포를 보인다. 중간 표현형을 갖는 개체들이 선호되고 극단적인 표현형이 제거되는 자연선택을 안정화 선택이라고 한다. 이럴 때는 세대가 변해도 표현형의 범위와 분포가 같은 상태로 남아 있다. 보다 성공적으로 생존하고 생식하는 개체들은 중간의 표현형적 값...
    도서 다음백과
  • 금융안정화포럼 FSF, Financial Stability Forum
    세계 금융위기를 예방하고 위기 발생시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가 만든 국제기구다. 1998년 10월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제기돼, 1999년 G7 재무장관회의 주최국인 독일이 국제금융, 감독기관간 협력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금융안정포럼(FSF)의 창설을 제안하면서...
  • 자동 안정화 장치
    정부가 별도의 정책을 쓰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총수요가 변화하여 경기 변동폭을 줄이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 안정화 장치에는 소득세, 고용 보험, 사회보장 이전지출 등을 들 수 있다. 경기 침체기에는 소득 감소에 따라 소득세가 줄어 들고, 고용 감소에 따라 실업 급여 지급이 늘어날 뿐 아니라 빈민층의 소득을 보조...
  • 경기안정화정책
    경기변동의 진폭을 줄여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 크게 재정정책과 통화정책(금융정책)으로 나눌 수 있다.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은 단기에 총공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총수요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총수요관리정책이라고도 부른다. 재정정책(fiscal policy)은 세출이나 세입을 변경시켜 경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0건

유로안정화기구
안정화 운동 동작 3
안정화 운동 동작 2
안정화 운동 동작 4
안정화 운동 동작 1
안정화 운동 동작 6
안정화 운동 동작 7
안정화 운동 동작 9
안정화 운동 동작 2
안정화 운동 동작 5
안정화 운동 동작 5
안정화 운동 동작 6
안정화 운동 동작 4
안정화 운동 동작 8
안정화 운동 동작 3
안정화 운동 동작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