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안 좌목(座目), 洞案
    동약(洞約)에 참여하는 사족들을 수록한 인명록. 좌목.|내용 좌목(座目)·명안(名案) 혹은 ()이라고도 하며, 사족들의 경우 생년월일·호·본관·등과명·부명이 기재되었다. 간혹 동안이라는 명칭이 동약 자체를 지칭할 경우도 있다. 16세기 이래 성행한 동약은 사족들에 의한 향촌지배기구로 구실하였다. 시초에...
    저작자 :
    미상
    성격 :
    인명록, 좌목
    유형 :
    문헌
    분야 :
    사회/촌락
  • 형지 形止案
    각년 형지에 부기(附記)된 물고(사망) 노비를 각별히 도목장으로 상납하는 것 등의 일은 각 도 감사에게 이문(移文)할 것.”이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라는 것은 관부문서(官府文書)의 성례(成例) 및 송옥논정(訟獄論定)한 것을 말한다. 조선의 관공기록(官公記錄)으로 형지안이라 한 것은 모모실록형지안...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경주부사선생 부사선생안(府司先生案), 慶州府司先生案
    신안(新案)의 2종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철을 대고 박을정으로 장식한 철장의 형태로, 책 크기는 세로 75.0㎝, 가로 40.0㎝이다. 표제는 ‘부사선생(府司先生)’이며, 신안에는 제첨(題簽)이 있다. 표지 안쪽 면지에 ‘함풍구년기미칠월전등신안봉안우기림사(咸豐九年己未七月傳謄新案奉安于祗林寺)’의 묵서...
    시대 :
    조선 전기, 근대/대한제국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국문연구 國文硏究案
    淵源)’이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연구을 제출한 것은 어윤적, 이능화, 현은, 권보상, 송기용, 윤돈구 7인이었다.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참호연구(參互硏究)을 제출한 것은 어윤적, 이능화, 권보상, 이억, 윤돈구 5인이었다. 이에 뒤이어 ‘연원평정(淵源評訂)’이 실려 있다. 이것은 이능화, 권보상 두 사람...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노비 奴婢案
    본사·본도·본읍 등 여러 곳에 비치하도록 하였다. 그 밖에 노비에는 속안과 정안을 작성하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초안(草案)·도안(都案)·대도(大都) 등이 있다. 초안은 일년 동안 노비의 출생·도망·사망 등을 기록한 안이다. 도안은 노비의 근파(根派)를 모두 실은 것이고 대도은 속안 3회분을 합한 것...
    시대 :
    조선
    성격 :
    용어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취고수군 吹鼓手軍案
    개설 『취고수군(吹鼓手軍)』은 취고수(吹鼓手)로 여겨지는 명단과 대포수(大砲手), 별세악군(別細樂軍), 겸내취(兼內吹), 세악겸내취(細樂兼內吹), 별파진(別破陣) 소속 군인의 성명과 여러 개인정보를 기록한 명단, 또는 이력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고종 17년(1880)에 무위소(武衛所)에서 편찬하였다. 서지적...
    시대 :
    조선
    저작자 :
    무위소(武衛所)
    창작/발표시기 :
    1880년
    성격 :
    인명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책(복본)
    분야 :
    예술·체육/국악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추조심리 秋曹審理案
    개설 『추조심리(秋曹審理)』은 1849년(철종 즉위) 12월부터 1850년(철종 1) 2월까지 형조에서 1824년(순조 24)부터 1848년(헌종 14)까지의 사건 중 재가가 필요하여 복계(覆啓)한 중대 사건과 이에 대해 왕이 내린 판부(判付)를 기록한 필사본이다. 서지적 사항 이 책은 1책(21장)으로 된 필사본이다. 크기는 세로...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형조
    창작/발표시기 :
    철종대
    성격 :
    문서, 공초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21장)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태인 고현동 향약 동안(洞案), 泰仁 古縣洞 鄕約
    동중좌목(洞中座目) · 고현동좌목(古縣洞座目) · 수정동안(修正洞案) · 동계좌목(洞稧座目) · 태산향약(泰山鄕約) · 동학당수계(洞學堂修稧案) · 고현동각수계(古縣洞閣修稧) · 동각계(洞閣稧案) · 고현동약(古縣洞約) 등 다소 다르다. 그러나 내용은 향약에 관한 자료로 분류되는 것이 24책이며...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은대선생 銀臺先生案
    1782년(정조 6)까지, 제3책이 1850년(철종 1)에서 1868년(고종 5)까지이며, 각각 임명된 인물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책으로 『승지선생(承旨先生)』이 있는데, 이 책은 1868년 2월에서 1894년 10월 사이에 승지를 역임한 이들의 연명부이다. 1894년을 기준으로 사망한 인물은 이름 위에 ‘仙(선)’자를...
    시대 :
    조선
    성격 :
    인명록, 연명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은대선생 銀臺先生案
    1729년(영조 5)까지, 제2책은 1745~82년(정조 6), 제3책은 1850(철종 1)~68년(고종 5)에 각각 승지를 지낸 인물들을 수록했다. 이 책은 뒤에 〈승지선생 承旨先生〉으로 이름이 바뀌어 1868년 2월부터 1894년 10월까지 승지를 지낸 인물들을 수록했다. 〈승지선생〉은 1894년을 기준으로 사망한 이의 이름 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탁부내거 度部來去案
    데 기인하는 것 같다. 정리된 것을 볼 때 1895년 3월 하순부터 1897년 12월 사이의 것은 내별번호 1에서 6까지의 탁지부내(度支部來)과 9에서 14까지의 탁(지부)〔度(支部)〕이 내용상 서로 겹쳐 있다. 전자가 탁지부 공문용지에 쓰여진 것으로 보아 탁지부에서 온 공문을 모아 놓은 데 비해, 후자는 전자의...
    시대 :
    근대/개항기
    창작/발표시기 :
    1895년(고종 32) 3월∼1905년
    성격 :
    관찬서, 관청기록물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6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내부내거 內部來去案
    1905년 12월까지 외부에서 접수하거나 발송한 내부 관계문서를 모은 17책의 필사본 『내부내거문』이다. 국한문 혼용이며, 각 책마다 표지명이 달라서 ‘내부내’(1∼5)·‘내안’(6∼9)·‘내부’(10·15·16·17)·‘내부내거’(11∼14)의 네 가지로 되어 있다. 수록 사건들은 주로 범죄 사건, 사회적 물의를...
    시대 :
    근대
    성격 :
    문서, 관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