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취악 鼓吹樂
    회랑(回廊)에 그려진 행렬도에 고구려 고취악대의 모습이 보인다. 수레의 앞에 담고(擔鼓)·담종(擔鐘) 등으로 편성된 악대와 수레 뒤에 이중고(二重鼓)·(簫)·각(角) 등으로 편성된 악대가 있다. 안악 3호분의 행렬도에 보이는 고취악대는 중국 한나라의 「단소요가(短簫鐃歌)」와 관련이 있어, 중국 한대(漢代)의...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군례악 軍禮樂
    陣門)을 여닫을 때 등의 행사에서 취주되었다. 어전 겸내취와 5영문에는 대취타를 상비하였고, 지방의 각 감영과 병영·수영 및 각 고을에는 취타를 배치하였다. 군례악대의 취고수와 세악수의 악복은 전립(戰笠)을 쓰고 누른 빛의 천익[黃天翼]이라는 전복을 입었으며, 여기에 남색 전대[藍纏帶]를 띠고 흰 행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등가 당상악, 登歌
    음려(陰呂)의 궁을 쓰고 당하에서는 양률의 궁을 쓰자고 임금에게 상세히 를 올린 적이 있다. 등가라는 말에서 오를 등(登)자는 높은 당상으로 올라간다는 뜻...등가의 주된 기능이다. 이처럼 등가에서는 노래를 위주로 하고, 당하악대의 일종인 헌가(軒架)에서는 죽관악기(竹管樂器)의 연주를 주축으로 하는 것이...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고취 鼓吹
    모습은 안악 제3호고분의 벽화에서 볼 수 있다. 357년(고국원왕 27)에 건축된 이 고분의 벽화에 기마악대(騎馬樂隊)의 그림이 전하는데, 기마악대에서 사용한 악기들은 고(鼓), (簫), 가(笳) 또는 각(角), 요(鐃)의 네 가지였다. 4세기 당시 고취 편성의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이 네 악기들은, 한나라의 황문고취...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아악 雅樂
    아악의 악대 편성(악현)은 악기의 소리가 8가지 자연 재료를 구비해야 한다는 조건이 중요하다. 8가지 자연 재료란 고대로부터 ‘팔음’으로 규정되어 온 금(金) · 석(石) · 사(絲) · 죽(竹) · 포(匏) · 토(土) · 혁(革) · 목(木) 등 각각의 재료로 만든 악기들이 있으며, 이 악기들은 일정한 원칙에 따라 단수...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매산집 梅山集
    화석정근화판상율곡선생운(花石亭謹和板上栗谷先生韻)」, 조헌(趙憲)의 시를 차운한 「도형강근차중봉선생운(渡荊江謹次重峯先生韻)」 등이 있다. 권4에는 11편, 계(啓) 12편, 의(議) 4편, 연설(筵說) 1편, 악대연설(幄對筵說)이 수록되어 있다. 「사대사헌겸진소회(辭大司憲兼陳所懷疏)」 등을 비롯하여 계·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홍직필(洪直弼)
    창작/발표시기 :
    1866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3권 28책
    간행/발행 :
    임헌회/한운성/조병덕/소휘면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해주도 병풍 海州圖 屛風
    묘사되어 있다. 행렬의 선두에 청도기(淸道旗)를 앞세운 기수단을 비롯해 악대, 군졸, 장교, 노비, 기생 등이 무리를 이룬 채 따르고 황해 감사가 탄 것으로...지역민들의 다양한 일상 풍속이 곳곳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들판의 를 탄 인물들, 괭이와 쟁기로 땅을 가는 농부들, 탁족을 즐기는 인물들, 빨래하는 여인...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향피리 향필률, 鄕피리
    당시 많은 지역에 수용된 피리와 대피리는 여러 나라에서 두루 쓰이는 악기로 기록되어 있으나, 『문헌통고(文獻通考)』에서 도피피리는 특히 고구려와 남만이...피리의 도상이 그려져 있는데, 피리 관대의 겉면에 도피 껍질을 두른 6관의 겹서 악기로 표현되어 있다. 이는 후에 송의 고취악대에서도 편성되어 연주...
    유형 :
    물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세악내취 내취세악(內吹細樂), 細樂內吹
    군악)·무지악(昭武之樂: 영산회상)·징각지악(徵角之樂: 여민락)을 연주했다. 사악에 내취를 내리는 것은 무과(武科)의 회방(回榜)·방방(放榜)·창방(唱榜)·사제(賜第) 등과 관련 있다. 변천과 현황 임진왜란 당시 척계광의 『기효신서(紀效新書)』의 전술 교리를 도입함에 따라 조선의 병제는 속오법(束伍法)에...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구군악곡 舊軍樂曲
    구군악곡 15곡의 곡명은 안확(安廓)에 의해 전해졌다. 대한제국 시기 군영 악대의 후예로서 일제강점기에 생존했던 이봉기(李鳳起), 이원근(李元根)에게 전해...曲)」, 「닷장」, 「자진한닙」, 「만(慢)」, 「령(令)」, 「해령」, 「낙양(洛陽)」, 「치각조(徵角調)」, 「무악(昭武樂)」, 「길군악」등이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키벨라 kivela
    새로 만든 말로, 1950년대에는 도회지풍 춤을 푸면서 호루라기를 부는 거리 악대의 음악을 나타내는 말로 확대되었고, 이후에 1~2대의 기타와 베이스 현악기가...포함되었다. 1950년대에는 스포크스 마시얀(플루트)과 레미 스페셜 마바(색소폰)가 인기 있는 키벨라 연주자였고 그 양식이 로디지아와 니아살란드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수산리벽화고분 修山里壁畵古墳
    편암을 썼고, 천장부 축조에는 면이 넓은 화강암판석을 사용했다. 널길의 길이는 450cm, 널방의 폭과 길이는 각 320cm이며, 널방 천장은 3단의 평행굄 위에 2단의 삼각굄을 얹은 평행삼각굄이다. 널길과 널방 내부에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 벽화 색채의 주조는 황색과 갈색류의 난색계통이며 주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구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