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악귀 (드라마) Revenant (TV series), 惡鬼 (電視劇)
    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 《악귀》는 2023년 6월 23일부터 2023년 7월 29일까지 방송된 SBS 금토 드라마이다. 악귀에 씐 여자와 그 악귀를 볼 수 있는 남자가 의문의 죽음을 파헤치는 한국형 미스터리 오컬트 스릴러 드라마 스튜디오 S BA엔터테인먼트 한정환 장원석 김은희 : 영화 《그해 여름》, tvN 토일 드라마...
    도서 위키백과
  • 악귀 도깨비, 惡鬼
    서양 민담에 나오는 떠돌이 요정.|대개 장난이 심하며 때로는 악의를 품기도 한다. 작은 동굴에서 살지만 민가에 드나들며 항아리와 냄비를 두들기고 잠자는 사람의 잠옷을 낚아채며 밤중에 가구를 옮겨놓고 벽과 문을 두두린 다음에 도망가버린다고 한다. 아이들이 착한 일을 했을 때는 상을 주고 부모 말을 듣지 않...
  • 악령 (관련어 악귀) Demon, 悪霊
    다른 뜻다른 뜻 악령(惡靈) 또는 악귀(惡鬼)는 종교나 전승, 신화에서 초자연적 존재로서 일반적으로 심술궂은 영 또는 귀신을 일컫는다. 기독교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느님을 따르지 않는 천사들을 일컫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다이몬은 신에 가까운 존재 또는 신과 인간과의 중간적 존재를 의미하였다. ...
    도서 위키백과
  • 손 없는 날
    본 뜻 예로부터 우리 민간 습속에 이사를 하거나 큰 행사가 있을 때는 '손 없는 날'이라 해서 좋은 날을 골랐다. 동서남북 네 곳을 이리저리 옮겨 다니면서 사람의 일을 방해하는 귀신이 곧 '손'이다. '손 없는 날'을 가리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음력으로 1이나 2가 들어가는 날은 동쪽에 손이 있고, 3이나 4가...
    유형 :
    관용구
  • 악귀인 서림각라씨 鄂貴人 (乾隆帝)
    왕족 정보 악귀인 서림각라씨 (鄂貴人 西林覺羅氏, 1733년 ~ 1808년)는 만주 양황기 기인, 순무 악락순의 딸이자 보화전 대학사 악이태의 조카손녀이자, 건륭제의 귀인이다. 옹정 11년 (1733년) 3월 24일에 태어났다. 악귀인의 숙조부 악이태는 옹정제의 총신이다. 악귀인 일가는 악이태의 직계 후손은 아니지만, 황제...
    도서 위키백과
  • 세상에 나쁜 악귀는 없다
    "세상에 나쁜 악귀는 없다" 또는 "세나귀"는 구하리가 악귀들의 사연을 찾아내는 이야기를 다루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구하리 등장: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두번째 이야기 3화 사연: 천연두에 걸려 얼굴을 가면으로 가리고 있는 동생의 형(인형술사)이 차별받으며 살다가 관리들이 마을에 불을 지르고 사람들을...
    도서 위키백과
  • 손없는 날
    손 없는 날'은 쉽게 말해 '악귀가 없는 날'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 날에는 무슨 일을 해도 해가 끼치지 않는다고 해서 주로 이사, 혼인 등의 행사를 하는 날로 여겨왔다.
  • 시흥 악귀 살인사건
    사건 정보 시흥 악귀 살인 사건(始興惡鬼殺人事件)은 2016년 8월 19일 오전 7시 경 김 모(54세 여성)가 아들 김 모(27세)와 함께 경기도 시흥시에서 자신의 딸을 살해한 사건이다. 어머니 김 모(54세 여성)가 평소 기르던 애완견이 심하게 짖기 시작하자 애완견에 악귀가 씌였다고 생각했다. 어머니와 아들과 딸은 3...
    도서 위키백과
  • 동지 冬至
    시절식(時節食)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즉,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팥은 색이 붉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陰鬼)를 쫓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옥갑경 옥갑보경(玉甲寶經), 玉甲經
    무경(巫經)의 대표적인 경문으로 ‘옥갑보경(玉甲寶經)’이라고도 한다. 모두 8장으로 분장되어 있다. 주로 질병을 구제하기 위하여 베풀어지던 악귀구축(惡鬼驅逐 : 악귀를 몰아냄)의 치병독경에서 많이 송독(誦讀 : 외어 읽음)되었다. 『옥갑경』에는 본경과 「옥갑육자대명왕(玉甲六字大明王)」 및 「옥갑해원(玉甲...
    저작자 :
    미상
    성격 :
    독경문, 무경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액운을 쫓고 예방해줄 재액예방구
    하는 위력을 지니기 때문이었다. 적색은 불의 상징, 즉 양(陽)을 나타내므로 예부터 사기(邪氣)를 쫓는 위력을 지닌다고 신앙했다. 특히 악귀는 붉은색을 싫어한다는 믿음에서 악귀를 쫓아내는 부적에는 반드시 주사나 주묵을 사용했다. 부적은 크게 문자부적과 도형부적으로 구분된다. 문자부적으로는 천(天)·일(日...
  • 달력을 선물하고 팥죽을 나누는 날, 동지 冬至
    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전염병 귀신이 되었는데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전염병 귀신을 쫓으려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고 하지요. 동지가 동짓달 초승에 들면 애동지, 중순이면 중동지, 그믐께면 노동지라고 합니다.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 시루떡을 쪄서 먹었는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악귀(gobli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