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편치 아니하다
    ‘편치 아니하다’는 ‘편하지 아니하다’의 준말이다. 좀더 줄이면 ‘편찮다’가 된다. 사실 ‘편찮다’를 더 많이 쓴다. ‘편하다(便-)’는 몸이나 마음이 괴롭거나 불편하지 않아서 좋다는 뜻이다. ‘편치 아니하다’는 그 반대이다. ‘병이 있어 아프다’를 점잖게 이르는 말이다. ‘몸이 편치 아니하다’라고 하여...
  • 중외듀스파타린정135mg Duspatalin Tab. 135mg Choongwae
    알려진 것이 없으며, 증상치료가 추천된다. 위세척은 약 한 시간 안에 발견된 복합적 중독에만 고려되어진다. 흡수해서 농도를 줄이는 방법은 필요하지 아니하다. 7. 운전 또는 기계조작시 주의 이 약의 복용이 운전 또는 기계의 조작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8.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식약처 분류 :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239)
    전문/일반 :
    일반 의약품
    제조/수입사 :
    제이더블유중외제약
    급여정보 :
    보험코드 644902440_80원/1정, 급여(2017-02-01)
    임산부 금기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성상 :
    백색원형의 당의정
    제형 :
    당의정
    모양 :
    원형
    색상 :
    하양
    식별표기 :
    D135
    단일/복합 :
    단일 성분
    투여 경로 :
    경구(내용고형)
    보관방법 :
    차광기밀용기
    도서 의약품 사전 | 태그 의약품
  • 보조 용언
    꾸밈을 받는 위치에 있지만 의미적으로는 본용언을 보조하여 부정법, 피동·사동법 등의 문법범주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주로 부정법(-지 아니하다, -지 못하다), 피동법(-아/어 지다, -게 되다), 사동법(-게 하다), 동작상(-고 있다, -아/어 있다) 등의 문법범주를 형성한다. 보조 동사에는 '-(어) 가다...
    도서 다음백과
  • 조동사 助動詞
    주는 의미를 나타냄으로써 조동사로 쓰인 것들이다. 최현배(崔鉉培)의 ≪우리말본≫에서는 조동사를 그 의미에 따라 열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① 부정 : 아니하다, 못하다, 말다. ② 피동 : 지다, 되다. ③ 사동 : 하다, 만들다. ④ 진행 : 가다, 오다. ⑤ 종결 : 나다, 내다, 버리다. ⑥ 봉사 : 주다, 드리다, 바치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보조용언 補助用言
    예 : 먹어 보았다, 하게 되다, 가지 않았다, 먹고 싶다 등). 보조용언은 우선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누어진다. 보조동사로는 ① 지움[否定] : 아니하다(말하지 않는다), 못하다(가지 못한다), 말다(가지 말라), ② 하임[使動] : 하다(기쁘게 한다), 만들다(잘 되게 만들었다), ③ 입음[被動] : 되다(이기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907호, 重大災害處罰 等─ 關─ 法律
    과(科)한다. 다만, 법인 또는 기관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제6조제1항의 경우: 50억원 이하의 벌금 2. 제6조제2항의 경우: 10억원 이하의 벌금 이와 함께 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시민에 대한 재해에 대한 책임도...
  • 형용사 그림씨, 形容詞
    한다. 보조형용사는 형식상으로는 앞의 용언으로부터 꾸밈을 받는 위치에 있지만, 의미상으로 앞의 용언을 돕는 구실을 한다. 여기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아니하다(않다)'(나는 기분이 나쁘지)·'못하다'(건강이 좋지)와 동작이나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있다'(비가 오고), 원망(願望)을 나타내는 '싶다'(보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부정 표현
    된 동사나, 음절수가 많은 용언, '아' 등의 음으로 시작되는 용언 등에서는 짧은 부정문을 만들지 못한다. 또한 '못 알다'가 불가능한 대신 '모르다'가 쓰인다. '있다'는 '없다', '이다'는 '아니다'를 써서 부정문을 만들며, 명령문이나 청유문에서는 긴 부정문의 유형으로 하면서 '아니하다' 대신 '말다'를 사용한다...
    도서 다음백과
  • 집행유예 執行猶豫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한 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된 후 3년까지의 기간에 범한 죄에 대하여 형을 선고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형을 병과할 경우에는 그 형의 일부에 대하여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 집행유예 선고를 받은 뒤 그 선고의 실효, 또는 취소됨이 없이 유예기간을 경과한...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동사 움직씨, 動詞
    라 하여 그렇지 않은 일반동사와 구별하기도 한다. 한편, 동사 가운데에는 '-(어) 가다, -(고) 있다, -(어) 보다, -(어) 두다, -(게) 하다, -(어) 지다, -(지) 아니하다, -(고) 싶다, -(게) 되다 ……' 등과 같이 항상 본동사 다음에만 쓰이는 동사가 있다. 이들을 조동사(助動詞) 또는 보조동사(補助動詞)라 하여 본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용언 用言
    없이 일정한 활용형 뒤에서만 쓰여 그 말에 문법적 의미를 더해주는 용언을 보조용언이라 하는데, 품사를 구별하여 보조동사(조동사)·보조형용사라고 한다. 이들은 주로 부정법(-지 아니하다, -지 못하다), 피동법(-아/어 지다, -게 되다), 사동법(-게 하다), 동작상(-고 있다, -아/어 있다) 등의 문법범주를 형성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지방공무원법 地方公務員法, The Local Public Officials Act
    할 때에는 그 공무원에게 처분의 사유를 적은 설명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다만, 본인의 원(願)에 따른 강임·휴직 또는 면직처분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공무원은 누구나 인사·조직·처우 등 각종 근무조건과 그 밖의 신상문제에 대하여 인사상담이나 고충의 심사를 청구할 수 있으며, 임용권자는 이를 이유로...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3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