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4쌍8배는 어떤 수행자를 말하나 (관련어 아나함)
    <增一阿含經 제12권, 三寶品 제4경> 어느 때 붓다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붓다의 제자들은 모두 서로 화합하여 혼란스럽지 않다. 그들은 진리를 성취하고 계를 성취하고 삼매를 성취하고 지혜를 성취하고 해탈을 성취하고 해탈지견(解脫知見)을 성취한다. 붓다의 제자들이란 4쌍8배...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불환과 (관련어 아나함)
    불교 불환과. 《중아함경》 제30권 제127경 〈복전경〉4)ㆍ법행(法行)5)ㆍ신해탈(信解脫)6)ㆍ견도(見到)ㆍ신증(身證)ㆍ가가(家家)7)ㆍ일종(一種)8)ㆍ향수다원(向須陀洹)ㆍ득수다원(得須陀洹)ㆍ향사다함(向斯陀含)ㆍ득사다함(得斯陀含)ㆍ향아나함(向阿那含)ㆍ득아나함(得阿那含)ㆍ중반열반(中般涅槃)ㆍ생반열반(生般涅槃)...
    도서 위키백과
  • 성문 聲聞
    보살의 길로 인도하려는 정신에 입각한 것이다. 그리고 성문으로서 해탈하는 길은 ‘성문사과(聲聞四果)’라고 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4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수다원은 역류(逆流)로 번역되며, 생사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서 육진(六塵)에 물들지 않고...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잡보장경, 부모의 은혜에 대하여
    것보다 못하고, 수다원 백만 명을 공양하는 것은 사다함 한 사람을 공양하는 것보다 못하고, 사다함 수천만명을 공양하는 것은 아나함 한 명을 공양하는 것보다 못하고, 아나함 일억 명을 공양하는 것도 아라한 한 명을 공양하는 것보다 못하며, 아라한 십억 명을 공양하는 것은 벽지불(辟支佛) 한 명을 공양하는 것보다...
  • 아라한 나한, 阿羅漢
    의 음사이며 일래(一來)로 번역된다. 한 번 다시 태어나면 다시는 재생하는 일이 없는 사람이며 탐욕과 증오와 미망을 줄임으로써 도달되는 단계이다. ③ 아나함(阿那含):안아가민(anāgāmin)의 음사이며 불환(不還) 또는 불래(不來)라고 번역된다. 욕계(欲界)의 번뇌를 모두 끊어 결코 다시 태어나는 일이 없는 성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사향사과 Fruits of the noble path, 四向四果
    것이며, 일래는 사타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뒤로 물러가는 것으로서 유회의 세계에로 물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불환은 아나함(阿那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윤회의 세계로 물러가는 일이 없다는 데에서 불환이라고 하며, 아라한향(阿羅漢向)은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이르기까지의...
    도서 위키백과
  • 사리푸트라 Śāriputra, 舎利弗
    푸트라(Putra)를 음차하여 "부처 불(佛)"이라는 글자로 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부처이기도 하다. 석가모니불은 사리푸트라(사리불)가 이미 아나함과(아라한)를 성취하여, 윤회를 벗어났다고 증명해줬다. 반야심경에서 "사리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사리자(舍利子)라고 부른다. 마가다의 수도 라자그리하 밖에 있는...
    도서 위키백과
  • 팔단십의문
    위해서이다. 아뢰야식이라는 이름과 상응하는 아애집장현행위는 대승불교 수행계위로는 범부로부터 제7지 원행지까지이고 성문4과로는 범부로부터 아나함까지이다. 아나함의 완성은 욕계로의 윤회가 필요 없는 상태이다. 이숙식이라는 이름과 상응하는 선악업과위는 대승불교 수행계위로는 제8지 부동지부터 제10지까지...
    도서 위키백과
  • 무상천
    淨居天)에 태어나는 것으로, 정거천이란 색계 18천(十八天) 가운데 무번천(無煩天) 이상의 5정거천(五淨居天), 즉 무번천(無煩天) 성문(聲聞) 제3과인 아나함과(불환과)를 증득한 성자가 태어나는 곳이다.sfnsfnsfnsfn 무상천(無想天, 무상천이라는 낱말은 이 하늘 세계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닌 이 성질, 그리고 무상...
    도서 위키백과
  • 구차제정
    상태의 선정이다.구사 조, 실역인 한역. 《아비담감로미론》 상권. 2022년 8월 21일에 확인: 8지(地)의 욕심을 끊어 멸진정(滅盡定)을 얻는다. 이를 몸으로 아나함을 증득하는 것[身證阿那含]이라고 말한다. 만약 구해탈(俱解脫)의 아라한이라면 법이 열반과 비슷하게 몸 가운데 드러난다. 그렇기 때문에 9차제정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