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겹아가리토기 이중구연토기, 二重口緣土器개설 겹구연 토기, 겹입술 토기, 이중구연(二重口緣) 토기라고도 한다. 아가리 부분 바깥면에 일정한 폭의 점토띠를 덧붙이거나 성형할 때 점토띠 가장 윗단의 아래단 접합 흔적을 지우지 않고 선으로 남긴 토기를 말한다. 점토띠를 붙인 것은 신석기시대 후기∼말기 남해안 지역에 분포하였던 겹아가리 토기와 청동기...
- 시대 :
- 선사/청동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골아가리토기 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 ─土器개설 골아가리토기는 집자리·조개무지·무덤유적에서 출토된다. 토기의 입술부분을 시문구로 눌러 톱날과 같이 하거나 골을 내어 무늬 효과를 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형은 소형의 바리부터 대형의 항아리까지 있다.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제작되었는데, 특히 구멍무늬토기와는 함께 출토되거나 구멍무늬와 함께 시문...
- 시대 :
- 선사/석기, 선사/청동기
- 성격 :
- 토기
- 유형 :
- 유물
- 재질 :
- 흙
- 제작시기 :
-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가락식토기 겹아가리짧은빗금무늬토기, 可樂式土器특징과 변화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 토기인 가락식토기는 납작바닥의 바리모양토기에 겹아가리의 전체 혹은 하단, 몸통에 걸쳐 짧은빗금무늬, 석쇠무늬, 톱니무늬 등을 시문한 토기를 말한다. 가락식토기는 겹아가리의 하단부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에서 겹아가리와 몸통의 접합 부분이 희미하게 선상으로 남는 형태...
- 시대 :
- 선사/청동기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 생활/식생활
-
아가리를 놀리다 아가리 놀리다‘아가리’는 입을 속되게 일컫는 말이다. 아울러 병이나 그릇 따위의 입구 부분을 가리키기도 한다. 즉, 입을 바쁘게 움직인다는 뜻이다. ‘(속된 표현으로 쓰여) 적지 않게 말하거나 함부로 이야기하다’라는 뜻이다. 보기글 ㆍ여기가 어디라고 겁도 없이 아가리를 놀리느냐!
-
중앙아메리카다람쥐원숭이 Central American squirrel monkey, セア..생물 분류위키공용분류 중앙아메리카다람쥐원숭이(Saimiri oerstedii)는 다람쥐원숭이의 일종이다. 붉은등다람쥐원숭이로도 불린다.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의 태평양 해안가에 사는 종이다. 코스타리카 국경에 인접한 파나마의 북서 끝단과 코스타리카의 중부와 남쪽 태평양 해안가, 주로 마누엘 안토니오 국립공원과...도서 위키백과
-
바리모양토기 발형토기(鉢形土器), ─模樣土器개설 아가리의 지름보다 몸통의 높이가 높은 것을 깊은바리모양〔深鉢形〕 토기라고 하고, 아가리 지름과 몸통 높이가 비슷한 것을 바리모양 토기라고 부르며, 높이보다 지름이 더 긴 것을 얕은바리모양〔淺鉢形〕 토기라고 한다. 바리모양 토기는 아가리 지름보다 몸통 지름이 크고 몸통과 아가리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
- 시대 :
- 선사/석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팽이토기 팽이형토기, ─土器하며, 한자어로는 ‘각형토기(角形土器)’라고 한다. 청동기시대에 청천강 이남∼한강 이북의 서부지방에서 만들어진 토기로 외형은 팽이 또는 유방모양이고 아가리는 말아 붙여 겹으로 만들고 그 곳에 간단한 줄무늬가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용 이 토기의 기원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형태나 무늬...
- 시대 :
- 선사/청동기
- 성격 :
- 선사유물, 토기
- 유형 :
- 유물
- 재질 :
- 흙
- 제작시기 :
- 청동기시대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김해농소리패총 농소리유적, 金海農所里貝塚끌었다. 자연유물로는 굴과 꼬막 등이 있다. 인공유물 중 토기는 모두 빗살무늬토기조각이다. 바탕흙은 사질토와 점토의 두 종류가 있다. 사질토로 된 것은 아가리조각[口緣部片] 1점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점토로 된 것이다. 이로 미뤄볼 때 이 곳 토기의 바탕흙은 점토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벽...
- 시대 :
- 선사/석기
- 건립시기 :
- 신석기시대(말기)
- 성격 :
- 조개더미
- 유형 :
- 유적
- 면적 :
- 약 3,300㎡(1,000평)
- 소재지 :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농소리
- 분야 :
- 역사/선사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