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질국민소득 實質國民所得, real national..
    물가수준의 변동분을 감안하여 나타낸 국민소득.|명목국민소득을 물가지수로 나누어 물가변동을 제거하여 나온 소득을 말한다. 국민소득이란 한 나라의 전국민이 일정한 기간(보통 1년)에 생산·분배·지출한 재화 및 서비스를 화폐로 환산하여 평가한 총액을 의미한다. 명목국민소득국민소득을 '3면등가의 원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국민 총소득 (관련어 실질국민소득) Gross national income, 国民総所得
    경제 부문 국민 총소득(國民總所得, Gross National Income)은 생산활동을 통해 획득한 소득실질구매력을 반영하는 소득지표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국내 총생산에 국외에서 순수하게 벌어들인 소득을 더하면 된다. 경제여건의 변화로 생산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의 구매력도 급변하므로 한 나라의 경제력을 측정...
    도서 위키백과
  • 1인당 국민소득 1인당 국민소득이 으랏차차
    수입할 수 있었는데 이제 300배럴밖에 수입할 수 없다면? 그만큼 수입물가가 오르고 국민들의 실질소득(구매력)인 실질GNI는 실질GNP보다 더 많이 감소하며 그만큼 국민들의 체감경기가 나빠지는 거지. 어쨌든 실질GNI(국민총소득)는 교역조건의 변화율을 반영해 GNP의 숫자를 조정해 준 거야. 명목소득(1인당 GNP)이...
  • 노동소득 분배율
    국민소득 가운데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노동생산성의 상승에 맞춰 실질임금이 오르지 않으면 노동소득 분배율은 떨어진다. 노동소득 분배율이 낮다는 것은 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기업의 주머니로 들어가는 부분이 늘었다는 것을 뜻한다. 세계적으로 노동...
  • 국민연금 國民年金
    제87조). 셋째, 국민연금재정의 장기적인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민연금의 급여수준을 현행의 가입자 평균 소득월액의 70%에서 60%로 조정하고, 그 급여의 수급연령을 2013년부터 5년 단위로 1세씩 연장하여 2033년에는 노령연금의 수급 연령이 65세가 되도록 하였다(법 제47조 및 부칙 제3조). 넷째, 실직근로자...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갭 분석 gap analysis
    s + t 이를 그림으로 설명하기 위해 가로축에 국민소득 Y를, 세로축에 총수요 E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옆의 그림에서 완전고용상태의 국민소득을 Yf라 하면, 실질국민소득은 그 이상 증가할 수 없다. Yf수준에서 총공급과 일치하는 총수요를 D라 할 때 현실의 총수요가 D보다 작은 D2로 나타날 경우에는 EB만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아르헨티나 경제
    공업과 농업에 기반을 둔 선진국형 경제구조의 자유시장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정치적 불안정과 심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1970년대초부터 실질성장률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현재 비슷한 경제수준의 나라들 가운데 가장 낮은 편이다. GNP의 약 1/5은 제조업이 차지하며, 그밖에 농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소득 所得
    계층에 편중되는 결과를 가져 왔다. 1950년 6·25전쟁으로 기존의 산업시설이 대부분 파괴되고 1952년의 미곡흉작, 그리고 전시인플레이션에 따라 일반국민실질소득은 현저하게 떨어졌다. 1953년 휴전 이후 각종 원조와 경제재건으로 1960년대 불변가격으로 볼 때 1인당 국민소득이 1953년 약 7,570원에서 1960년 약...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기본소득 基本所得, basic income
    넘어 실질적인 토론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1960~1970년대 미국에서 기본소득 주장이 큰 호응을 얻었다. 제임스 토빈 등 여러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이 '시민보조금(demogrant)'라는 이름으로 기본소득 제도을 지지했다. 신자유주의의 창사자로 알려진 밀튼 프리드먼과 조지 스티글러도 '마이너스 소득세'를 주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복지 , 사회제도 , 경제
  • 경제성장률 經濟成長率, economic growth rate
    연간 증가율을 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기준년도의 실질국민소득 증가분/전년도의 실질국민소득 = (기준년도의 실질국민소득 - 전년도의 실질국민소득)/전년도의 실질국민소득 국민소득의 주요한 지표로는 국민총생산이 이용되는데, 여기서 국민총생산의 크기를 화폐(금액)로 표시하여 경제성장률을 산정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개인별 소득분배
    오랜 세월에 걸쳐 경제학자들은 저소득계층의 실질적인 소득향상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차액지대론·자유무역론·노동가치론을 전개한 리카도는 지주계급...않으면서 지대를 통해 사회발전의 혜택을 독점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국민소득 가운데 지주의 몫이 커지고 자본가의 몫이 줄어들수록 경제는 정체상태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국외 순수취 요소 소득
    국내에서 노동, 자본 등 생산 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지급한 국외 지급 요소 소득을 뺀 값으로 계산한다. 명목 국민총소득은 명목 국내총생산에 명목 국외 순수취 요소 소득을 더해 계산하고, 실질 국민총소득은 실질 국내총생산에 실질 국외 순수취 요소 소득과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 손익을 더해 계산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