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형 나선을 이루는 체층들로 된 탑 모양의 패각에 깊은 골이 패여 있다. 대부분의 종은 색깔이 희며 길이는 5㎝ 이하이고, 분홍이나 자줏빛 염료가 스며나온다. 실꾸리고둥류는 영양분을 빨아먹을 대상인 해변말미잘류 근처에서 볼 수 있다. 에피토니움 클라트루스는 유럽의 바다에서 서식하며, 에피토니움...
실꾸리고둥과는 복족강(Gastropoda)에 속하는 한 과(family), Epitoniidae Berry, 1910 (1812)를 칭하는 국명으로 외국에서는 흔히 wentletrap(네덜란드어에서 기원했으며 나선형 계단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Amaea, Acrilla, Cirostrema, 그리고 Opalia가 있다. 복족강에 속하는 과들 중에 상대적으로 많은 나층(층)을...
같다. 눈썹끈은 눈썹대 끝에 잉앗대를 거는 줄이고, 잉앗대 밑에 들어가는 나무는 속대라고 한다. 베를 짤 때는 배 모양으로 생긴 북 속에 씨실로 사용하는 실꾸리를 넣은 다음 북바늘로 눌러서 실뭉치가 솟아나오지 못하게 막으면서 씨실을 날실과 교차시킨다. 이때 날실을 고르며 북의 통로를 만들어주고 씨실을...
각구를 막는다. 전새류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개오지','계란고둥류','대추고둥류','물레고둥류','민물복족류','밤고둥류','뱀고둥류','붓고둥류','뿔소라류','삿갓조개류','소라류','수염고둥류','수정고둥류','실꾸리고둥류','육상달팽이','전복','짚신고둥류','청자고둥류','총알고둥류','홍줄고둥류' 항목 참조...
매기 타래 지은 실을 다른 직물의 길쌈 때와 같이 풀칠을 해 말려서 도투마리에 감아준다. 명주짜기 도투마리에 감긴 명주실을 베틀에 올려서 잉아를 걸고 실꾸리를 북에 넣은 다음 명주를 짠다. 명주는 특히 올이 가늘어 가장 굵은 것이 10새이고 보통이 12~13새이며, 15새 정도가 되어야 상품(上品)으로 친다. 옷을...
뚫어 앞다리와 뒷다리를 세우고 가랫장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베틀의 부속품은 상당히 많은데, 베를 짤 때 배 모양으로 생긴 북 속에 씨실로 사용하는 실꾸리를 넣은 다음 북바늘로 눌러서 실 뭉치가 솟아 나오지 못하게 막으면서 씨실을 날실과 교차시킨다. 이때 날실을 고르며 북의 통로를 만들어 주고 씨실을 쳐주는...
체강은 주머니 모양이며, 여기에 연결된 2개의 관은 서로 많이 떨어져 있고, 이 관들의 배설(삼투조절) 부위는 옆머리 혈관 가까이 있다. 정포는 보통 실꾸리 모양이거나 원통 모양이며, 성체의 경우 보통 이 정포의 앞끝이 약하다. 촉수는 1~18개 있다. 세계적으로 2과에 빈촉수수염벌레·외촉수수염벌레 등 7속이...
글로켄슈필 또는 종금(鍾琴)은 금속제(오늘날에는 주로 강철제)의 반음계적으로 조율된 음판을 발음체로 하여 나무, 고무, 실꾸리 뭉치, 금속 등의 머리가 붙은 채로 두들겨 연주하는 타악기이다. '실로폰'이라고도 부르나, 잘못된 명칭이다(실로폰은 나무로 되어 있다). 글로켄슈필은 보통 명확한 리듬을 가지는 단선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