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해박해 신해사옥(辛亥邪獄), 辛亥迫害
    신해박해는 1791년(정조 15) 전라도 진산에서 조상 제사 문제로 발생한 박해로, 신해사옥 또는 진산사건이라고도 한다. 진산의 윤지충이 모친의 상을 당해 외종형 권상연과 함께 신주를 불태우고 제사를 지내지 않아 체포되었고, 신앙을 증거하며 순교했다. 이로 인해 서울과 충청도에서도 박해가 일어났으나, 대부분의 ...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사건·사고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신해박해 辛亥迫害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천주교에 대한 박해 사건이다. 신해교난(辛亥敎難) 또는 신해사옥(辛亥邪獄), 진산 사건(珍山事件)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도 진산의 선비 윤지충이 종교적 가르침을 지키고자 모친상을 천주교식으로 치른후 제사를 폐함으로 인해 사회적 파장이 일고 당쟁으...
    도서 위키백과
  • 신해박해 辛亥迫害
    1791년(辛亥, 正祖 15년)에 있었던 박해. 전라도 진산에서 윤지충(尹持忠)과 그의 외종사촌 권상연(權尙然)이 제사를 폐하고 신주(神主)를 불태운 이른바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1791년 5월(음) 모친상(母親喪)을 당한 윤지충은 북경교구장 구베아(Gouvea, 중국명 湯士選) 주교의 제사금지령에 따 이...
  • 을묘사옥 을묘박해, 乙卯邪獄
    을묘박해라고도 한다. 1791년의 신해박해(辛亥迫害) 후에 최창현(崔昌顯)·최인길(崔仁吉) 등 중인계급이 선교사 영입운동을 전개해 1794년말 주문모 신부가 서울로 들어왔다. 그러나 배교자 한영익(韓永益)의 밀고로 그의 입국사실과 거처가 관가에 알려지자 1795년 6월 27일(음력 5. 11) 포장 조규진이 포졸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신해 辛亥, 辛亥
    2031년 2091년 2151년 2211년 2271년 2331년 2391년 2451년 2511년 2571년 2631년 2691년 2751년 2811년 2871년 2931년 2991년 신해박해(辛亥迫害, 1791년) 신해통공(辛亥通共, 1791년) 신해혁명(辛亥革命, 1911년) 신해일(辛亥日)은 일진이 신해인 날로, 육십간지의 48번째 날이다. 1981년 - 2월 2일, 4월 3일, 6월 2일...
    도서 위키백과
  • 조선의 천주교 박해
    신앙모임이 만들어진 이래 탄압과 박해가 있었음에도 경기와 충청 내포(內浦)지방, 그리고 전주를 중심으로 신도가 많이 증가하였다.[네이버 지식백과] 신해박해 [辛亥迫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조(1776~1800)는 정도(正道)인 유학이 흥하면 사교(邪敎)인 천주교는 소멸될것이라 하면서 천주교를...
    도서 위키백과
  • 을묘박해 乙卯迫害
    박해로 최인길 등과 함께 잡힌 교우가 5명이 더 있었다고 하는데, 그 중 한 사람은 홍낙민(洪樂敏)으로, 그는 초기 교회 창설에도 참여했던 인물이었으나 이미 신해박해 때 배교했고, 이번에도 또 다시 배교하였다. 주 신부로 인해 발달된 을묘박해는 서울에서 일단락되었으나, 지방에서는 도리어 박해가 더욱 심해져...
  • 을묘박해
    위반된다는 사실을 인지한 천주교인들은 당시 담당교구였던 북경교회에 선교사 파송을 요청하여 약속을 받아내었다. 선교사로 임명된 중국인 주문모 신부는 신해박해(1791년)이후 탄압이 심해진 상황이라 1795년이 되어서야 서울에 잠입하였다. 그의 은밀히 활동은 밀고자에 의해 발각되어 포졸들이 들이 닥쳤으나...
    도서 위키백과
  • 신유박해 Catholic Persecution of 1801, 辛酉迫害
    신부는 강완숙의 집에 숨어지내며 은밀하게 활동을 지속했다. 그의 전교활동으로 1794년에 4,000명이었던 교인수가 1800년에는 1만명을 육박하게 되었다. 신해박해(1791년, 정조 15) 이래 “정도(正道)인 유학은 ‘사학’(邪學)인 천주교를 소멸시킬 것”이라면서, 천주교에 대해서 온건한 정책을 써 오던 정조가 1800년...
    도서 위키백과
  • 신해혁명 1911 Revolution, 辛亥革命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제2차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운동을 계기로 서구의 무기를 주목하게 된 청의 관리들이 1860년대 중반에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시작했다. 이런 시도는 차츰 민수 부문으로 확산되어 근대 특징이 될 만한 경향이 있는...
    도서 위키백과
  • 박해 迫害, persecution
    流配地)에서 한국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그 후 한국교회는 사대(四大)박해로 불리는 1801년의 신유(辛酉)박해, 1839년의 기해(己亥)박해, 1846년의 병오(丙午)박해, 1866년의 병인(丙寅)박해를 비롯하여 비교적 규모가 작았던 박해신해(辛亥, 1791년), 을묘(乙卯, 1795년), 을해(乙亥, 1815년), 정해(丁亥, 1827년...
  • 교우촌 敎友村
    연원 및 변천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교우촌이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는 1791년(정조 15) 신해박해 이후이다. 신해박해로 진산의 윤지충과 권상연이 참수형을 당하자, 인접한 전라도 북부 지역과 충청도 남부 지역의 신자들은 박해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위해 산간벽지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을 중심으로...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