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해박해 신해사옥(辛亥邪獄), 辛亥迫害신해박해는 1791년(정조 15) 전라도 진산에서 조상 제사 문제로 발생한 박해로, 신해사옥 또는 진산사건이라고도 한다. 진산의 윤지충이 모친의 상을 당해 외종형 권상연과 함께 신주를 불태우고 제사를 지내지 않아 체포되었고, 신앙을 증거하며 순교했다. 이로 인해 서울과 충청도에서도 박해가 일어났으나, 대부분의 ...
- 시대 :
- 조선
- 유형 :
- 사건/사건·사고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조선의 천주교 박해신앙모임이 만들어진 이래 탄압과 박해가 있었음에도 경기와 충청 내포(內浦)지방, 그리고 전주를 중심으로 신도가 많이 증가하였다.[네이버 지식백과] 신해박해 [辛亥迫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조(1776~1800)는 정도(正道)인 유학이 흥하면 사교(邪敎)인 천주교는 소멸될것이라 하면서 천주교를...도서 위키백과
-
교우촌 敎友村연원 및 변천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교우촌이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는 1791년(정조 15) 신해박해 이후이다. 신해박해로 진산의 윤지충과 권상연이 참수형을 당하자, 인접한 전라도 북부 지역과 충청도 남부 지역의 신자들은 박해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위해 산간벽지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을 중심으로...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