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사유람단 紳士遊覽團
    1880년 12월 근대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로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한 후 서구문물의 조사를 위해 신사유람단을 파견했다. 1881년 2월 통리기무아문은 조준영·박정양·엄세영 등 12명을 민정시찰을 위한 동래부 암행어사로 임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 메이지 유신 이후의 국정을 살피도록 했다. 이들은 4월 28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사 시찰단 (관련어 신사유람단) 朝士视察团
    조사 시찰단(朝士視察團)은 1881년(고종 18년) 5월 7일(음력 4월 10일)부터 8월 26일(음력 윤7월 2일)까지 김홍집의 주장에 따라 수신사에 이어 일본 제국에 파견되었던 집단이다. 과거에는 신사 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고 지칭하였으나 한국사 용어 수정안에 따라 조사 시찰단으로 바꾸어 부른다. 조사(朝士)는 조선의 ...
    도서 위키백과
  • 개화정책 開化政策
    되는 사업이라 여기도 적극성을 띠지 않았다. 그러자 1881년 이른 봄, 초기 개화파들은 청일 양국 사이에 중립형평책을 써서, 일본에 대해서는 이른바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는 일본국정시찰단을, 청나라에 대해서는 공학도(工學徒)를 각각 파견하도록 하여, 두 이웃나라에 들어와 있는 근대 문물을 널리...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1881년 조선의 관리들이 일본의 문물제도를 시찰한 일을 두고 우리 역사에서는 그동안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 불러왔다. 근래 이 역사용어가 적합한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신사유람단 파견의 시대 배경, 시찰의 목적과 구성, 시찰의 대상 등을 분석해 그 본질에 접근해보기로 한다. 시대 배경...
  • 개화정책의 추진
    일본에 다녀온 김기수와 김홍집이 일본의 근대 문물제도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자, 조선에서는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등으로 신사유람단을 조직하여 일본에 파견하였다. 신사유람단은 약 4개월간 일본에 머무르면서 일본 정부기관, 근대 산업시설 등 여러 가지 제도을 두루 시찰하고 돌아왔다. 이들은 일본의 선진...
    시대 :
    19세기
  • 신사척사론 辛巳斥邪論
    秀)와 1880년 수신사 김홍집(金弘集) 일행의 방일이 있었다. 비공식적으로는 1879년 이동인(李東仁)의 도일(渡日), 1881년 박정양(朴定陽) 등 62명으로 구성된 신사유람단의 일본시찰, 김옥균(金玉均)의 도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본과의 접촉으로 정부 내부에는 점차 개화사상이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동경일기 東京日記
    서지적 사항 1책 54장. 필사본. 개설 1881년 정부는 개화 정책의 일환으로 12개반, 60여 명으로 구성된 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1개반은 조사(朝士) 1명과 수원(隨員)·통사(通士)·하인(下人) 2∼6명으로 구성되었고, 각 반마다 부문별 담당 임무가 정해져 있었다. 송헌빈은 조사 이원회(李元會)의 수원...
    시대 :
    근대
    저작자 :
    송헌빈
    창작/발표시기 :
    1881년(고종 18)
    성격 :
    견문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 동경일기 東京日記
    1책(54장). 필사본. 1881년 3월 1일부터 같은 해 7월 23일까지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신사유람단은 1881년 민씨정권이 일본으로부터 근대문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12개반, 60여 명으로 구성하여 파견한 사찰단이다. 각 반은 조사 1명과 수원·통사·하인 2~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반마다 부문별 시찰분야가 정해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군물사 軍物司
    변정·통상·기계·선함·이용·전선·기연·어학 등 12사가 있어 개화행정을 담당했다. 1881년(고종 18) 조준영·박정양·홍영식·어윤중 등 62명의 신사유람단이 일본의 관청, 학교, 군대 및 각종 무기제작소를 시찰하고 돌아온 후 고종에게 그 결과를 보고했다. 신사유람단의 보고서에 입각하여 통리기무아문이 개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강문형 덕보(德輔), 姜文馨
    1874년에는 경기도암행어사로 나가, 전정(田政)·동포(洞布)·사창(社倉)·수령광관(守令曠官) 등의 폐단을 별단(別單)에서 일일이 고하였다. 1881년에는 신사유람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약 70일 동안 일본의 군사·교육·행정·공장 등을 시찰하고 돌아왔다. 그리하여 그해 정부기구 개편 때 감공사 당상에 임명...
    시대 :
    근대
    출생 :
    1831년(순조 31)
    사망 :
    미상
    경력 :
    이조참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갑신정변
    직업 :
    문신
    대표작 :
    일본견문사건, 일본국공부성시찰기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진주(晉州)
  • 통리기무아문 統理機務衙門
    이최응(李最應)이었고, 김보현(金輔鉉)·민겸호(閔謙鎬)·김병덕(金炳德)·김홍집(金弘集) 등 10명이 당상으로 임명되었다. 1881년 우선 영선사(領選使)와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을 각각 청과 일본에 파견했고, 별기군을 창설하여 신식군사훈련을 실시했다. 다음해에는 미국과의 통상수호조약 체결을 담당하고 무위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선책략 사의조선책략, 朝鮮策略
    많은 어려움에 부딪쳐 그것을 극복해 가면서 좀 더 개화된 의식 속에서 1881년에는 여기에 적응할 만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이 신설되고, 동시에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과 영선사(領選使)를 각각 파견(派遣)하고, 별기군(別技軍)을 편성해 신식 교련(敎鍊)을 하는 등 개화혁신책(開化革新策)을 수립해 나갔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황준헌
    창작/발표시기 :
    1880년(고종 17) 공개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박정양(朴定陽)
영선사와 신사유람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