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라소 구당신라소, 新羅所8세기 중엽 이후 당(唐)나라 연해(沿海)지역 각지에 신라인들을 통할하기 위해 설치한 자치기관. 개설 당(唐) 지방관아의 통제 아래 신라인에 의해 운영되던 일종의 자치기관으로 구당신라소(勾當新羅所)가 본래의 명칭이다. 그 장은 압아(押衙)이며, 그 아래에는 인보제(隣保制: 경찰·납세 업무의 효율성과 백성의 ...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성격 :
- 관청, 자치기구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신라 39대 왕, 소성왕 신라 제39대 왕, 昭聖王신라의 제39대 왕. 이름은 준옹(俊邕)이다. 원성왕의 태자인 인겸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김씨이다. 왕비는 계화부인 김씨로 대아찬 숙명의 딸이다. 785년 원성왕이 즉위하여 곧 인겸을 태자로 삼았으나 791년에 죽자 손자 준옹을 궁중에서 키웠다. 준옹은 789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서 대아찬이 되었고, 790년에는...
- 출생 :
- 미상
- 사망 :
- 800(소성왕 2)
- 국적 :
- 신라, 한국
- 재위 :
- 799년~800년
-
소성왕 소성(昭聖), 昭聖王내용 재위 799∼800. 혹은 소성왕(昭成王)이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준옹(俊邕). 원성왕의 큰아들인 인겸(仁謙, 惠忠太子)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김씨 성목태후(聖穆太后)이다. 비(妃)는 계화부인(桂花夫人)으로 숙명(叔明)의 딸이다. 소성왕은 원성왕의 장손으로서 왕위에 오르기 전 궁중에서...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800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신라 사로(斯盧), 新羅무역을 주도하였다. 당시 신라인의 내왕이 빈번한 산둥반도나 장쑤성[江蘇省] 같은 곳에는 반자치적인 신라인의 집단거류지가 생겼다. 이를 신라방(新羅坊)이라 불렀고, 신라소(新羅所)라는 행정기관까지 설치되었다. 이들은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는 사원을 세우기도 했는데, 장보고가 산둥성 원덩현[文登縣] 적산촌...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신라방 新羅坊실무를 담당한 듯하며, 역어(譯語)가 있어 교섭업무를 주관하였다. 한편 도시가 아닌 시골에 형성된 신라인들의 촌락들을 총괄하는 자치적 행정기관으로 구당신라소(勾當新羅所)가 있었고, 일정한 지역내의 신라인 사회를 관할하였다. 그 중 산둥성 원덩현(文登縣)의 신라소가 유명하였다. 신라소의 장인 압아(押衙)와...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부리주 所夫里州임천)싸움을 거쳐 신라의 군대가 백제의 전 영토에 다시 주둔하게 되어 어쩔 수 없이 물러났으며, 웅진도독부는 랴오둥(遼東) 지방으로 옮겨졌다. 당은 신라의 소부리주 설치에 대해 항의하고, 김인문(金仁問)을 문무왕을 대신해 신라 왕으로 삼는 등의 책동을 하였다. 그러나 결국 676년 소부리주 기벌포(伎伐浦 : 지금...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성격 :
- 행정구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671년
- 분야 :
- 역사/고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