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사시찰단 조선시찰단, 朝士視察團것이다. 그리고 1881년에는 영선사(領選使)를 청나라에 파견한 것은, 북학사상의 맥을 이어 이기(利器)의 수입을 도모한 조처였다. 이에 비하여 일본에 조사시찰단을 파견한 것은 국제적인 세력균형을 배려해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던 일본의 국정 내지 문물에 대한 관심의 표현이었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유신[明治...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일본에 조사시찰단 파견4월 10일, 박정양 ・ 어윤중을 비롯한 조사 12명과 수행원 등 62명으로 이뤄진 조사시찰단이 동래에서 일본으로 떠났다. 시찰단은 일본 정부의 부처별 현황을 조사하고 세관, 포병공창, 박물관 등을 돌아봤다. 이들은 귀국 후 통리기무아문의 요직에 임명돼 개화를 추진하는 주축 세력으로 활동했다. 참조
- 시대 :
- 1881년 4월 10일
- 국가/대륙 :
- 한국
-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중심의 만인소(萬人疏)를 올리는 등 저항운동을 크게 벌였다. 또 민중은 수신사 일행이 가는 연로에 돌과 기왓장을 던지는 따위로 반감을 보이기도 했다. 시찰단의 구성과 성격 1881년 2월에 들어 통리기무아문에서는 근대식 신무기의 시찰과 학습을 위해 청국과 일본에 시찰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먼저...
-
개화정책 開化政策않았다. 그러자 1881년 이른 봄, 초기 개화파들은 청일 양국 사이에 중립형평책을 써서, 일본에 대해서는 이른바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는 일본국정시찰단을, 청나라에 대해서는 공학도(工學徒)를 각각 파견하도록 하여, 두 이웃나라에 들어와 있는 근대 문물을 널리 받아들이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신사유람단은...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
현대경제일보 現代經濟日報11일부터는 ‘건설판’을 신설하고, 그 해 10월 1일부터는 타블로이드 2면의 ‘물가판’을 매일 부록으로 발행하였다. 이 신문은 2차에 걸친 동남아실업인시찰단 파견을 비롯, 1965년 3월의 세계산업시찰단, 7월의 일본농촌시찰단, 1968년 6월 동남아산업교육파견단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실업인을 해외에 파견...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서재학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10월 12일
- 성격 :
- 신문, 일간신문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고려신사 高麗神社고려씨족과 이 신사를 이용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 들어 조선 지도층들에 대한 일본의 협력을 확대할 목적으로 일본의 발전상을 견학시키는 내지시찰단(內地視察團)을 파견하는데, 그 방문지로서 이 신사도 포함한다. 그리고 1920년 5월 일본에 파견된 내지시찰단의 모습을 영화로 제작하여 동년 7월까지 조선...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
함낙기 옥파(玉派), 咸洛基있는 인식이 요구되었고, 나아가 이를 받아들여 개화정책을 추진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881년 초 12명의 조사(朝士)와 그 수행원으로 구성된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조사시찰단은 박정양(朴定陽)·엄세영(嚴世永)·홍영식(洪英植)·어윤중(魚允中) 등 12명의 조사와 함께 이들을...
- 시대 :
- 근대/개항기
- 출생 :
- 1850년(철종 1)
- 사망 :
- 미상
- 경력 :
- 조사시찰단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강릉(江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