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 시찰 개요』 朝鮮 視察 槪要진보를 도모하고, 나아가 일본의 발전에 공헌한다.’를 내걸었다. 이에 걸맞게 창립 당시부터 시찰단을 조직하여 조선의 지리를 조사하고 민정(民情)·산업을 시찰하면서 후일의 사업 계획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조선 시찰 개요(朝鮮視察槪要)』 역시 그 일환으로 청년 실업가 21명으로 시찰단을 편성하여 조선에 파견...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1881년 조선의 관리들이 일본의 문물제도를 시찰한 일을 두고 우리 역사에서는 그동안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이라 불러왔다. 근래 이 역사용어가 적합한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신사유람단 파견의 시대 배경, 시찰의 목적과 구성, 시찰의 대상 등을 분석해 그 본질에 접근해보기로 한다. 시대 배경...
-
-
조사시찰단 조선시찰단, 朝士視察團묵은 외무성, 어윤중은 대장성, 조준영은 문부성, 엄세영은 사법성, 강문형은 공부성, 홍영식은 육군, 이헌영은 세관 등을 책임지고, 각기 담당 분야에 대해 시찰을 하고 자세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4월 10일 일본상선 안네이마루[安寧丸]를 타고 부산을 출발, 대마도에 도착해 다시 나가사키[長崎...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보빙사절단 보빙사, 報聘使節團전개하고 개화정책에 필요한 미국인의 파견을 요청하였으며, 근대식 시설과 제도 · 문물을 살펴보았다. 그들 중 민영익 등은 유럽의 각국을 시찰하였다. 그들의 시찰은 조선이 호의적인 미국관을 형성하고 개화정책을 추진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역사적 배경 중국이 임오군란 후 조선의 내정에 직접 간섭하는 상황에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일본농상무성시찰기 日本農商務省視察記개설 2권 2책. 박정양은 일본의 내무성과 농상무성의 시찰임무를 맡았다. 귀국 후 공적 보고서로 『일본내무성급농상무성시찰서계(日本內務省及農商務省視察書啓)』·『일본내무성시찰기(日本內務省視察記)』와 이 책을 작성, 제출하였다. 개인적인 견문 기록으로 『일본국문견조건(日本國聞見條件)』을 작성하였다...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박정양
- 창작/발표시기 :
- 1881년(고종 18)
- 성격 :
- 보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장학제도 奬學制度지도성·인간관계 기술·집단과정을 통한 의사결정 기법·인사관리·평가기술 등을 들 수 있다. 장학지도의 일반적 방법으로는 학교 방문 또는 학사시찰, 연구학교 운영 및 연구수업·현직교육·회담·각종 연구집회·지역사회와의 관계 조정 등이 있다. 특히, 교수-학습지도를 포함한 모든 교육활동에 여러 관계자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이인직 국초(菊初), 李人稙1908년 3월 이완용 내각의 중추원 부찬의로 임명되었으나 곧바로 신병상의 이유로 사직하였다. 같은 해 7월 원각사가 개장하자 연극개량을 목적으로 일본시찰길에 올랐고 이때부터 원각사 대표를 맡았다. 9월 「치악산」 상편을 유일서관에서 발행하였고, 11월 「은세계」를 발간하였으며 1908년 대한학회찬성회 발기인...
- 시대 :
- 근대/개항기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원규 해룡(海龍), 金元圭1964년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교육감으로 선출되어 1965년까지 재임하였고, 1966년 경기공업고등학교 교장으로 취임하여 1968년 일본의 과학기술교육 현황을 시찰하던 중 일본에서 죽었다. 이밖에도, 1948년 중앙교육위원회 위원에 피임된 것을 비롯하여,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서울특별시 교육국장을 역임하였고...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4년
- 사망 :
- 1968년
- 경력 :
- 경기중고등학교 교장, 서울사범학교 교장, 서울특별시 교육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교육자
- 성별 :
- 남
- 분야 :
- 교육/교육
- 본관 :
- 김해(金海)
-
개화정책 開化政策다투어 조선에 자기의 영향력을 부식하려고 힘쓰고 있었다. 이러한 내외정세에 비추어 일본국정시찰단 파견은 극비리에 진행될 수 밖에 없었다. 조정은 시찰 단원을 동래 암행어사로 발령하여, 비밀리에 동래에 모여서 일본으로 출발하도록 하였다. 시찰단의 구성을 보면, 전원을 12개반으로 편성하여 책임자는 조사...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
동경일기 東京日記2∼6명으로 구성되었고, 각 반마다 부문별 담당 임무가 정해져 있었다. 송헌빈은 조사 이원회(李元會)의 수원이었는데, 이원회 반에 주어진 주임무는 군사시설 시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 내용은 서울을 출발한 1881년 3월 11일부터 일본을 거쳐 다시 서울에 도착한 같은 해 윤 7월 23일까지의 일기이다. 일본에...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송헌빈
- 창작/발표시기 :
- 1881년(고종 18)
- 성격 :
- 견문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박기종 朴琪淙상인들과 거래하면서 일본어에 능통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력이 계기가 되어 1876년 5월 김기수(金綺秀)를 수반으로 하는 제1차 수신사(修信使) 일행의 일본 시찰여행 때 역관으로 동행할 수 있었다. 이 때 일본의 각종 산업시설과 제도 등의 근대화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것이 후에 우리나라의 철도건설사업과 교육...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39년(헌종 3)
- 사망 :
- 1907년(고종 44)
- 경력 :
- 일본수신사 역관, 부하철도회사 설립자, 대한철도회사 설립자
- 유형 :
- 인물
- 직업 :
- 기업인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